메뉴 건너뛰기

여권 대선 주자들 2주째 전원 한자릿수
민주당 41%·국민의힘 33%…격차 ↑


장래 정치 지도자 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4%로 지지율 1위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8일 나왔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8%로 뒤를 이었다. 여권 주자들의 지지율은 2주째 전원 한 자릿수다. 정권교체론은 53%로 정권유지론(34%)과 격차가 조사 이래 최대치로 벌어졌다.

한국갤럽은 지난 25~27일 성인 1000명에게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정치 지도자로 누가 좋은지 물은 결과(자유 응답) 이 대표가 34%로 1위를 기록했다고 이날 밝혔다. 뒤이어 김 장관 8%,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5%, 오세훈 서울시장·홍준표 대구시장 3%,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2%,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1% 순이다. 6%는 이외 인물(1.0% 미만 약 20명 포함), 37%는 특정인을 답하지 않았다.

이 대표 지지율은 지난주 37%에서 3%포인트 하락했다. 이 대표 지지율은 4개월째 30%대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12월3주차, 지난주 각각 기록한 37%가 최고치다. 김 장관은 지난주 처음으로 한 자릿수대로 내려온 데 이어 1%포인트 더 하락했다. 여권 주자들 지지율을 모두 더해도 20% 정도로 이 대표와 격차가 컸다.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윤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이 늦어지는 데 따른 진보 진영 결집현상이 이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표가 지난 26일 공직선거법 혐의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 받은 영향은 일부만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지지층(406명)에서는 이 대표가 75%로 확고하고, 국민의힘 지지층(331명)에서는 김 장관 22%, 한 전 대표 13%, 오 시장 10%, 홍 시장 8%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층 39%는 의견을 유보했다. 윤 대통령 탄핵 찬반 기준으로 보면 찬성자(598명) 중 56%가 이 대표를, 탄핵 반대자(336명)의 23%는 김 장관을 꼽았다.

다음 대선시 동의하는 주장으로는 ‘현 정권 교체를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53%, ‘현 정권 유지를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34%로 나타났다. 양론간 격차는 지난 1월3주차 조사를 시작한 이래 최대인 19%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중도층에서는 여당 승리(24%)보다 야당 승리(62%) 쪽이 많았다.

윤 대통령 탄핵 찬반은 60%가 찬성, 34%가 반대로 나타났다. 7%는 의견을 유보했다. 20대 57%, 30대 69%, 40대 76%, 50대 72%가 탄핵에 찬성한다고 답했고, 60대에서는 찬반(47%:50%) 비슷했다. 70대 이상은 찬성 34%, 반대 59%다. 성향 중도층에서는 탄핵 찬성 70%, 반대 22%다.

3주째 평행선을 그리던 정당 지지도는 이번 조사에서 격차가 더 벌어졌다. 더불어민주당 41%, 국민의힘 33%, 조국혁신당, 개혁신당 각각 2%, 진보당 1%, 지지하는 정당 없는 무당층이 21%로 나타났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간 격차는 8%포인트다. 앞선 3주 동안 민주당 지지도는 40%, 국민의힘 지지도는 36%로 4%포인트 차를 유지했다.

성향별로는 보수층의 70%가 국민의힘, 진보층에서는 79%가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중도층에서는 국민의힘 21%, 더불어민주당 42%, 특정 정당을 지지하지 않는 유권자가 30%다.

한국갤럽 조사는 무선전화 인터뷰로 진행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응답률은 13.0%였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68 발생 213시간 만에 꺼진 산청 산불… 산림 1,858㏊ 태웠다 랭크뉴스 2025.03.30
46267 이재명 "헌재, 노고 얼마나 컸나…불신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랭크뉴스 2025.03.30
46266 방콕서 지진에 왜 '건설 중' 33층 건물만 붕괴?‥中시공사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265 국민의힘, '줄탄핵' 경고에 "명백한 내란 자백‥정당해산 심판 대상" 랭크뉴스 2025.03.30
46264 혁신당, 헌재에 ‘화병’ 위자료 집단소송 추진…“4일까지 선고일 지정” 랭크뉴스 2025.03.30
46263 한부모 월평균 양육비 58만 원인데…10명 중 7명 “한 푼도 못 받아” 랭크뉴스 2025.03.30
46262 [가족] "내일 안락사 확정"… 봉사자 다급한 전화로 구조된 강아지 '빵떡이' 랭크뉴스 2025.03.30
46261 핵무장론 부추기는 외교부의 '민감국가' 해명... 논란은 끝나지 않았다 [문지방] 랭크뉴스 2025.03.30
46260 박찬대 "한덕수,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민주당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
46259 [속보]산림청 “산청·하동 산불 주불 진화”···발생 213시간 만에 꺼졌다 랭크뉴스 2025.03.30
46258 경남 산청 산불 213시간 만에 진화‥역대 2번째 오래 탄 산불 랭크뉴스 2025.03.30
46257 [산불 속보 (오후)] 경남 산청·하동 산불 주불 진화…213시간 여 만 랭크뉴스 2025.03.30
46256 남편이 성폭행한 10대, 60대 아내는 4번이나 찾아가 "합의를" 랭크뉴스 2025.03.30
46255 [단독] 도움 호소했던 영양군수 “주민 ‘대성통곡’에도 헬기 지원조차 되지 않았다” 랭크뉴스 2025.03.30
46254 尹탄핵 정국에 文 소환 통보…전주지검장 "어떻게 처분 안하냐"[이슈추적] 랭크뉴스 2025.03.30
46253 [속보] 213시간만에 꺼진 산청 산불, 축구장 2602개 면적 태웠다 랭크뉴스 2025.03.30
46252 교민 인명피해 아직 없어‥"구조 기다리는 중" 랭크뉴스 2025.03.30
46251 산림청장 "30일 오후 1시 경남 산청 산불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3.30
46250 "요즘 누가 밥을 먹어요, 빵 먹지" 확산에…CU 또 일냈다 '샐러드빵' 3종 출시 랭크뉴스 2025.03.30
46249 장미향 ‘시트로넬롤’, 고농도 쓰면 신경·행동 장애 유발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