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동차 관세 현실화]
현대차 미 판매 절반 이상 국내서
미 생산 늘려도 수출 타격 불가피
내수 힘든 한국GM은 존립 기로에
부품도 관세... 생태계 뿌리째 흔들
27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전용부두에 수출용 차량들이 세워져 있다. 평택=뉴스1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물린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엄포가 현실이 되면서
국내 자동차 업계는 비상이 걸렸다
. 한국의 대(對)미 수출 1위 품목 자동차에 고관세가 붙으면 국내 기업은 가격 경쟁력을 잃고 국가 경제는 치명상을 피하기 쉽지 않다. 이틀 전 현대차그룹이 210억 달러(약 31조 원)라는 '역대급' 대미 투자 계획을 알렸는데 그 계획서의 잉크도 채 마르지 않은 상황에서 관세 폭탄이 터져 업계의 셈법은 더 복잡해졌다.

車 관세 25% 현실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 미 워싱턴 DC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현대차그룹의 대미 투자계획을 발표하기 앞서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트럼프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에 4월 3일부터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하자 업계 관계자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가능성을 내비쳤던 만큼 업계도 예상은 했지만 그사이 정부와 업계는 이렇다 할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했다.

그나마 현대차그룹은 최근 미 현지 생산을 강조한 대미 투자 계획을 밝히며 관세 사정권에서 최대한 벗어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를 위해 현대차그룹은 이날 미 조지아주에서 준공식을 연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생산량을 현지 판매량의 약 70%(120만 대)까지 늘리기로 했다.

자동차는 극심한 내수 침체 속 우리 경제를 이끌어주는 수출 버팀목이다. 2024년 우리가 미국에 수출한 자동차만 143만 대가 넘는다. 전체 자동차 수출 물량(약 280만 대)의 절반을 웃돈다. 대미 자동차 수출액만 366억 달러(약 53조 원)에 이른다. 미국은 한국 자동차의 최대 시장이다.

한국GM 존립 기로에

안덕근(오른쪽)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자동차 관세 부과 민관 합동 긴급 대책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이런 상황에서 관세는 곧 위기다.
관세율이 올라가면 한국 차량의 현지 가격 경쟁력은 내려간다
.
지금까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면세 효과를 봤는데 산술적으로 순식간에 가격이
25% 뛰는 셈이
다. 지난해 한국에서 101만 대를 만들어 미국에 팔았던 현대차·기아(미국 총판매량은 170만 대)만 해도 관세 폭탄이 시작되면 손해는 불 보듯 뻔하다.

절대적으로 미국에 의존한 한국GM이 받을 충격은 더 크다
. 미 제너럴모터스(GM)의 한국 사업장인 한국GM은 국내 생산량의 85%가량을 미국으로 수출한다. 미국의 관세는 한국GM의 영업이익에 직격탄이다.

한국GM으로선 한국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가 미 본사와 협상력을 높이는 요소가 될 수 있지만 그마저도 여의치 않다. 한국GM이 지난해 한국 시장에 판매한 차량은 약 2만5,000대에 그쳤다. 이 회사 전체 판매량의 5%다. 본사가 트럼프발(發) 관세에 무릎을 꿇고 한국 생산 물량을 미국 공장으로 가져가면 존립 자체가 어려워진다. 사업장 철수 시나리오가 계속 나오는 이유다.

부품사도 관세 비상



고관세로 수출이 타격을 받으면 국내 생산 라인은 도미노처럼 무너진다
.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5월을 목표로 하는 25% 관세 대상에 엔진, 변속기 등 자동차 핵심 부품도 포함되면서 부품 업계도 상황이 복잡해졌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 약 82억 달러(12조 원)에 달했다. 각종 부품, 소재 협력사 등 국내 자동차 관련 업체 수만 4,800곳에 달한다는 통계도 있다. 협력사 직원까지 고려한 직간접적 일자리 수는 33만 명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줄줄이 무너지면 국가 경제 전체 손실로 이어진다.

국내 자동차 생태계 자체가 뿌리째 흔들릴 수 있는 전례 없는 위기에 정부가 협상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려야 한다는 목소리
가 잇따른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자문위원은 "수출 감소, 기업의 수익률 저하 등 관세 부과가 촉발하는 부정적 영향은 곧 국가의 피해로 이어진다"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을 세워 협상 테이블에 하루라도 빨리 앉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71 尹선고일 정해지자 아전인수 여론전…"4:4 기각" "8:0 인용" 랭크뉴스 2025.04.01
47270 ‘두 학번 같은 수업’ 돌아온 의대생… 일부 ‘재휴학’ 조짐도 랭크뉴스 2025.04.01
47269 유승준, 데뷔 28년 자축 "팬 실망시킬 줄 몰라…참 어리석었다" 랭크뉴스 2025.04.01
47268 한덕수 권한대행 “적 도발하면 압도적으로 대응해 도발 의지 분쇄” 랭크뉴스 2025.04.01
47267 지진 붕괴 직전 52층 다리 뛰어넘은 한국인… “딸 구해야 한다는 생각만” 랭크뉴스 2025.04.01
47266 ‘헌재 100m 진공상태’ 시작됐다…선고 당일 안국역 폐쇄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1
47265 “코인도 금도 아냐”1~2년 후 가격 6배 뛰는 유망 투자처는? 랭크뉴스 2025.04.01
47264 “고된 뱃일에 스트레스 받았다”…동료 선원 살인·시신유기한 선장 랭크뉴스 2025.04.01
47263 성범죄 혐의 조사 받던 20대, 경찰서 건물서 투신해 사망 랭크뉴스 2025.04.01
47262 “붕괴 이전으로 돌아가요”…박해일 등 영화인 1025명 ‘윤석열 파면’ 성명 랭크뉴스 2025.04.01
47261 헌재 본관 창문 커튼 싹 내렸다…'尹 운명의날' 지정 후 철통 보안 랭크뉴스 2025.04.01
47260 中서 샤오미 전기차 사고 후 폭발… 3명 사망 랭크뉴스 2025.04.01
47259 임지봉 "선고일 공지 의미?‥탄핵 인용 결정" [4일 尹탄핵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258 ‘반값 실손’ 연말께 나온다…중증 입원 자기부담 500만원 한도 신설 랭크뉴스 2025.04.01
47257 ‘1호 헌법연구관’의 확신 “윤석열, 만장일치 파면…기각 땐 군사 독재 시대로” 랭크뉴스 2025.04.01
47256 尹 운명 쥔 8인의 헌법재판관…앞선 탄핵·권한쟁의 판단은 랭크뉴스 2025.04.01
47255 서울 관악경찰서에서 조사받던 피의자 투신해 숨져 랭크뉴스 2025.04.01
47254 미얀마 강진 닷새째… 2700명 사망·440명 실종 랭크뉴스 2025.04.01
47253 이재명 ‘위증교사 사건’ 항소심, 6월3일 변론 종결···이르면 7월 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252 이재명 위증교사 항소심 6월 3일 종결… 선고일은 '미정'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