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 폄하 앞장선 국수주의 성향 '환구시보'
이례적으로 한국 드라마 성공 요인 심층 분석
양국 고위급 '문화 교류 증진' 공감대 힘입어
K팝 공연, '미키17' 한한령 완화 시그널 ↑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넷플릭스 제공


국수주의 성향 중국공산당 기관지 '환구시보'가 이례적으로
한국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극찬했다.
환구시보는 평소 김치와 한복의 중국 기원설을 옹호하는 등 한국을 자극하는 보도를 쏟아내는 것으로 악명 높다. 관변 매체의 갑작스러운 태도 변화에 '한한령 완화를 암시하는 청신호'라는 관측도 나왔다.

27일 환구시보는 '한국 시대극, 새로운 히트작 탄생'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아이유, 박보검 등이 출연하는 한국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가 지난 7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이후 국내와 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며 "도우반(중국 평점 사이트) 평점 9.4점을 기록하며 최근 몇 년 사이 이 플랫폼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한국 드라마가 됐다"고 보도했다.

새로운 장르+시대적 디테일+공감=성공

중국공산당 기관지 환구시보는 27일 '한국 시대극, 새로운 히트작 탄생'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국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성공 요인을 심층 분석했다. 베이징=이혜미 특파원


환구시보는 유사한 시대극인 '응답하라 시리즈'와 비교하며 드라마의 성공 요인을 조목조목 파헤쳤다. 그간 한국 드라마는 시대극보다 로맨스에 강점이 있었지만, 최근 넷플릭스와 협력을 심화하면서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고, 한국의 사회적 변화를 생활의 디테일에 접목해 평범한 사람들의 공감을 일으켰다는 게 환구시보가 분석한 흥행 요소다.

그간
K팝 등 한류 문화를 깎아내리기에 급급했던 환구시보의 한국 드라마 호평은 무척 이례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환구시보는 2020년 미국 비영리재단으로부터 밴 플리트상을 받은 방탄소년단(BTS)이 "올해는 한국전쟁 70주년으로 양국(한국과 미국)이 함께 겪었던 고난의 역사와 희생을 영원히 기억해야 한다"고 말한 것에 대해 "중국의 존엄성을 해쳤다"며 비난하는 등 수차례 한국을 폄하한 전력이 있다.

한중 문화 교류 증진 기류에... 환구시보 태세 전환?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21일 일본 도쿄의 한 호텔에서 왕이 외교부장과 회담을 하기 전 인사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환구시보의 이 같은 태세 전환은
양국 고위급에서 지속 확인되고 있는 문화 교류 증진에 대한 공감대와 무관하지 않다고 베이징 외교가는 보고 있다.
지난 21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중외교장관 회담에서 양국 외교수장은 문화교류 복원을 통해 양국 협력을 발전시키자는 데 뜻을 모은 바 있다. 올해 우원식 국회의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면담에서도 한중 문화교류 확대는 꾸준히 언급됐다.

그간 중국은 공식적으론 "한한령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도 실제로는 한국 콘텐츠를 제한해 왔다. 그러나 최근 한중관계 개선 기류를 타고 조금씩 빗장을 푸는 분위기가 베이징 문화계에서 감지된다. 문일현 중국 정법대 교수는
"일종의 '보이지 않는 장벽'인 한한령을 해제하기 위해 중국 입장으로서는 명분을 쌓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이번 보도를 평가했다.
이어
"영화나 공연처럼 일회성 콘텐츠가 아닌 드라마를 관영 매체가 전격적으로 다루는 것은 중요한 신호"
라고 설명했다.

대표적으로 내달 12일부터 이틀간 중국 남부 하이난섬에서 열리는 '워터밤 하이난 2025' 공연에는 K팝 가수들이 대거 포함됐다. 가수 제시, 에일리, 박재범, 지아, 피에이치원(PH-1), 타블로, 타이거JK&윤미래, 소녀시대 출신 제시카 등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모두 한국에 기반을 두고 왕성하게 활동하는 연예인들이지만, 국적은 미국 등 해외 국적이다. '한국인'이 아니기에 중국 내 공연을 허가받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 제작하고 배급한 영화는 아니지만,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한국 대표 감독인 봉준호 감독의 영화 '미키17'이 중국 내에서 개봉한 점도 한한령 완화 기대감을 더하고 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26 “전투식량 좀 대신 구매해달라” 군인 사칭 사기 기승 랭크뉴스 2025.03.30
46425 “민주당 해산” “내각 줄탄핵”···헌재 선고 지연에 극단 치닫는 여야 랭크뉴스 2025.03.30
46424 상호관세 앞두고 뭉치는 한·중·일 경제통상장관 “3국 협력 확대를” 랭크뉴스 2025.03.30
46423 흔적도 없이 사라진 집과 밭…“앞으로가 막막해요” 랭크뉴스 2025.03.30
46422 "살 쭉쭉 빠지길래 '다이어트 부작용'인 줄"…병원 가보니 '위암 말기'였다 랭크뉴스 2025.03.30
46421 경찰, '장제원 성폭력' 고소한 전 비서 추가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420 [단독] 경찰, 성폭력 피해 상황 쓴 3년 전 글 확보‥장제원, 경찰조사서 혐의 전면부인 랭크뉴스 2025.03.30
46419 1월엔 쥐, 이번엔 바퀴벌레 나왔다…日 3대 규동 체인점 발칵 랭크뉴스 2025.03.30
46418 이재명, 풍자 그림 올리며 “조작인가, 아닌가”…국힘 비판 반박 랭크뉴스 2025.03.30
46417 “원자폭탄 334개 위력”…미얀마 강진 나흘째, 사망자 1700명 넘어 랭크뉴스 2025.03.30
46416 “유효 기간? 영구적”…‘관세 펀치’ 더 세게 날리는 트럼프 랭크뉴스 2025.03.30
46415 "尹 기각될라"…한덕수 재탄핵에, 재판관 임기연장까지 꺼낸 野 랭크뉴스 2025.03.30
46414 실적 부담에 관세 불확실성… 목표가 낮아진 전력株 랭크뉴스 2025.03.30
46413 1분기 회사채 순발행 16.2조 최대…'IPO 대어 효과' 공모액 작년의 3배 [시그널] 랭크뉴스 2025.03.30
46412 “내 폰 찾아줘” 삼성 냉장고에 말했더니…세탁실에서 벨소리 울려 랭크뉴스 2025.03.30
46411 정전된 대피소서 음식 나누고 부둥켜안고... 이재민들 온기로 두려움 달랬다 랭크뉴스 2025.03.30
46410 트럼프 최측근 머스크에 찍힐라…기업들 엑스에 광고 재개 랭크뉴스 2025.03.30
46409 “유효 기간? 영구적”…트럼프, 관세 드라이브 ‘더 크게’ 건다 랭크뉴스 2025.03.30
46408 文 "계엄 내란 광기 원형 찾을 수 있어"…제주 4·3 관련 책 추천 랭크뉴스 2025.03.30
46407 천주교 시국선언 "군경으로 국회 장악, 단죄 식별 그렇게 어렵나"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