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대 66%·연고대 80% 복귀 의사
최소 학점 수강·수업 불참 투쟁 거론
교육부 “수업 정상화 안되면 불인정”
사진=연합뉴스

서울대와 연세대 의대생들이 ‘복귀 후 투쟁’ 방침으로 돌아서고, 고려대도 대다수 학생이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년 넘게 이어졌던 의대 사태가 새 국면을 맞게 됐다.

이미 복귀 시한이 지난 대학들도 데드라인을 연장해주는 등 복귀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조치를 내놓고 있어 ‘복학 도미노’가 나타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다만 의대생들이 복귀 뒤 수업을 거부하는 방식으로 투쟁할 경우 정부·대학과 마찰이 불가피해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다는 평가다.


27일 대학가에 따르면 전국 의대들은 이날 오전에 발표된 서울대의 ‘투쟁 방향성 수요조사’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이 조사에서 서울대 의대생 66%가 ‘미등록 휴학’을 중단하자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서울대 의대생들은 일단 복학한 뒤 향후 투쟁 방식을 정하기로 했다.

의료계는 서울대 의대생의 복귀 결정이 다른 의대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2020년 문재인정부 당시 의대 증원에 반발해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가 의사 국가시험(국시) 거부 투쟁을 했었다. 당시 서울대 의대 학생회가 재학생의 70.5%의 동의를 얻어 집단행동을 중단키로 했다. 서울대 의대가 브레이크를 걸자 투쟁 동력을 상실했고, 국시 거부 투쟁은 마침표를 찍었다. 당시 의사 단체 대표를 지냈던 한 의사는 “서울대 의대의 상징성, 규모, 교수진 영향력 등을 고려하면 전체 의대생의 분위기를 좌우할 수도 있다”고 했다.

의대생 단체는 복귀 도미노 차단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의대협은 이날 공개한 공동성명서에서 “투쟁이 끝난 것이 아니다”며 “서울대와 연세대에서 일부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 38개 단위는 여전히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공동성명서에도 서울대와 연세대 대표를 뺀 38곳의 의대 대표 이름만 올랐다.

하지만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제적되면 의대생 단체가 책임지지 않는다’는 우려가 강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세대와 고려대 의대에서는 재학생 80% 이상이 복학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연세대 의대 학생 비상시국대응위원회는 1학기 대응 방침을 ‘미등록 휴학’에서 ‘등록 휴학’으로 바꿨다. 한 비수도권 의대 교수는 “의대생들도 눈치 게임을 하고 있다. 제적에 대한 긴장과 불안감이 훨씬 크다 보니 복귀 분위기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의대 교육 정상화까진 갈 길이 멀다. 의대생들이 복귀한 뒤 전개할 수업 거부 투쟁의 수위와 방향에 좌우될 전망이다. 의대생 커뮤니티에선 최소 학점 수강 신청, 수업 불참 등이 거론되고 있다. 서울대 의대생들도 “등록 후 투쟁 방향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빠른 시일 내에 안내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교육부와 대학들은 정상적으로 수업이 이뤄지지 않으면 복귀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96 이스라엘군, 가자지구 남부서 지상 작전 확대 랭크뉴스 2025.03.30
46095 김문수 “마은혁 임명 않는다고 탄핵? 대한민국 붕괴시킬 세력”…SNS서 주장 랭크뉴스 2025.03.30
46094 머스크, 트위터 인수 때의 지분 미공개로 집단소송 직면 랭크뉴스 2025.03.30
46093 "양육비 안 주면서 축구 볼 돈은 있냐?"…'나쁜 아빠들' 경기장서 쫓겨났다 랭크뉴스 2025.03.30
46092 몰도바 친러 자치구 수반 구금…푸틴에 'SOS' 랭크뉴스 2025.03.30
46091 美컬럼비아대 총장 사임…反이스라엘 시위·트럼프 압박 여파 랭크뉴스 2025.03.30
46090 '2000년 1월 1일 0시 정각' 출생…21세기 중국의 첫 소녀 사망에 '애도 물결' 랭크뉴스 2025.03.30
46089 강남 아파트서 흉기로 아내 살해한 60대 남성 체포 랭크뉴스 2025.03.30
46088 [르포] “쾌적한 생활환경의 시작”…나비엔매직, 에코허브 실증주택 가보니 랭크뉴스 2025.03.30
46087 꽃샘추위에도 탄핵 찬반집회…양쪽 모두 "헌재 미루지 말라"(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086 [르포] '거대한 콘크리트 산'된 방콕 30층 빌딩…실종자 가족은 눈물만 랭크뉴스 2025.03.30
46085 "싱크홀 사고로 딸 급식이" 불만글 올린 전 아나운서 결국 사과 랭크뉴스 2025.03.30
46084 미얀마 사망 1644명으로 늘어…공항 관제탑·지하 송유관 무너졌다 랭크뉴스 2025.03.30
46083 "4·2 상호관세 앞둔 트럼프, 참모들에 '더 세게 나가라' 압박" 랭크뉴스 2025.03.30
46082 물 없는 소화전…속수무책 소방차 랭크뉴스 2025.03.30
46081 '산불 헬기' 예산 172억 날아간 이유…이재명·한동훈도 설전 랭크뉴스 2025.03.30
46080 8년만 콘서트 73분 늦게 시작한 GD…"돌풍 때문" 뒤늦은 사과 랭크뉴스 2025.03.30
46079 군정이 통제하는 미얀마‥피해 집계·구조는 더디기만 랭크뉴스 2025.03.29
46078 "선고 지연 이유없다‥헌재 계속 신뢰해야 하나" 들끓는 여론 랭크뉴스 2025.03.29
46077 경남 산청 산불 진화율 '마지막 1%' 남았다...야간 진화 돌입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