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현대차, 조지아 공장 생산량 상향 ‘글로벌 시장 살아남기’
울산공장 노조 “올해 예정 물량 감소”…국내 타격 현실화
‘산업 공동화’ 우려 커져…“정부, 직접적인 영향 파악 필요”
현대차 조지아 공장 준공…정의선 회장·켐프 주지사 ‘셀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열린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에서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와 셀카 사진을 찍고 있다. HMGMA는 지난해 10월 아이오닉5 생산을 개시했고, 이달 아이오닉9 양산돌입에 이어 내년에는 기아 모델도 생산하며, 향후 제네시스로 생산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전기차(EV)는 물론 하이브리드차(HEV)까지 생산 차종을 확대한다.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의 약 31조원짜리 ‘통 큰 대미 투자’를 두고 국내 산업 공동화와 일자리 타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생존을 위해 불가피한 측면은 있으나, 현지 생산을 늘리면 국내 생산은 줄어 노동자와 영세 부품업체엔 큰 충격이 닥칠 가능성이 높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의 31조원대 대미 투자로 국내 자동차 생산 물량이 수십만대 축소되고 일자리도 그만큼 쪼그라들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애초 30만대 규모였던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공장이 50만대까지 생산이 가능하도록 증설되기 때문이다. 기존 앨라배마 공장(36만대)과 기아 조지아 공장(34만대)까지 합하면 현대차는 앞으로 미국 내에서 120만대를 제작할 수 있다.



전문가마다 추정하는 규모에 차이가 있지만 국내 생산 타격은 불가피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HMGMA 생산량이 50만대로 늘면 멕시코 물량(17만대)을 한국에서 흡수해도 산술적으로 국내 생산 물량이 33만대 축소될 수 있다”고 짚었다. 이 연구위원은 “33만대면 현대차 아산공장만큼의 규모다. 직원 4000명 그리고 부품업계 종사자까지 합하면 2만명의 일자리가 위협받을 수 있다”고 했다.

김경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대차가 신규 공장을 본격 가동하고 한국지엠까지 대미 수출 물량을 대폭 조정할 경우 70만~90만대의 국내 생산량이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있다”고 풀이했다.

현장에서는 이미 물량 감소가 시작됐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투싼을 만들어 주로 미국으로 수출하는 현대차 울산공장의 노조 관계자는 “내가 소속된 공장에서만 올해 제조 예정 물량이 지난해 대비 2만대 줄었다”고 했다. 이어 “사측에서는 그 이유에 대해 설명이 없지만 HMGMA에서 투싼 하이브리드를 소화하려는 계획과 연관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한 ‘미 현지 생산 확대’ 전략은 현대차그룹을 시작으로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자칫 산업 공동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국가 차원의 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박상인 서울대 교수(경제학)는 “대미 투자를 그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협상 전략 차원으로만 볼 게 아니다. 국내 산업과 노동자에게 미칠 영향을 엄중하게 따져야 한다”고 했다. 박 교수는 “국회가 청문회를 열어 현대차에 향후 계획을 따져묻고 국내 일자리에 악영향이 없도록 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비영리단체 ‘리쇼어링 이니셔티브’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 내 일자리 창출 기여도’ 1위 국가다. 2023년 한국 기업에 의해 만들어진 미국 일자리는 2만360개다. 리쇼어링(생산시설을 해외로 옮겼다가 되돌리기)이나 외국인 직접투자(FDI)로 새로이 생겨난 일자리의 14%에 달한다.

미 일자리 창출엔 적극 나서는 현대차그룹의 태도도 입길에 올랐다. 비상경영 체제를 선언하고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 현대제철은 마침 이날 창사 이래 최초로 인천공장 내 철근공장을 한 달간 전면 가동중단(셧다운)키로 했다. 현대차그룹 측은 앞서 24일 미 루이지애나에 신규 제철소를 짓겠다며 “1400개 이상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현대제철은 국내 물량을 미국으로 돌리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미국(신규 제철소)에서 제조하는 제품은 자동차용으로 인천공장 생산 제품과는 관계가 없다”며 선을 그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52 [속보] 헌재 "계엄선포는 사법심사 대상…헌법·법률 위반 심사 가능"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51 정청래 "윤석열, 헌법에 따라 8:0 만장일치로 파면돼야"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50 [속보] 헌법재판관 대심판정 입장…윤석열 탄핵심판 선고 시작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49 '8대 0' 단언한 野... "선고 불출석하는 尹, 파면 예감한 것"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48 밤새워 기다린 ‘윤석열 파면의 날’, 아침을 거리에서 맞이하는 사람들[현장 화보]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47 ‘선고 임박’ 헌재 인근 초긴장…방독면·저주인형까지 등장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46 尹측 윤갑근 "계엄은 대통령 헌법상 권한…현명한 판단 기대"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45 [속보] 군사법원,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 보석 허가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44 [속보]헌재 온 국민의힘 의원들 “100% 탄핵 기각을 확신한다”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43 '선고 임박' 헌재 인근…방독면·헬멧·저주인형까지 등장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42 "지금부터 선고를 시작하겠다"…곧 尹 정치적 운명 갈린다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41 “1971년 닉슨쇼크와 유사…저가매수는 떨어지는 칼 잡는 것”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40 [속보]정청래 “윤석열 만장일치 파면돼야”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39 美증시 폭락의 날…저커버그 26조·머스크 16조 잃었다 [마켓시그널]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38 [단독] 군사법원,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 보석 허가‥오늘 석방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37 '5대 3' '4대 4'? 與 막판까지 '기각' 기대감... "尹 돌아오면 개헌해야"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36 조기대선…정권교체 52%·정권유지 37%[한국갤럽]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35 오전 11시 탄핵심판 선고…이 시각 헌법재판소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34 [속보] 정청래 법사위원장 헌재 도착…"尹, 만장일치로 파면돼야" new 랭크뉴스 2025.04.04
48533 탄핵선고 앞두고 밤샌 찬반 지지자들…은박 담요에 텐트까지 ‘중무장’ [현장영상] new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