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6일 미국 워싱턴 디시(D.C.)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사인을 했다. 연합뉴스

미국 트럼프 정부가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자동차에도 ‘관세 폭탄’을 예고하며 국내 완성차·부품 업계에 일제히 비상이 걸렸다. 연간 140만대에 이르는 미국 수출 차량에 관세가 매겨지면 국내 자동차 생산·수출·고용 전반이 직격탄을 맞게 돼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했던 충격인데도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선 정부를 향한 비판도 적지 않다.

국내 자동차 산업은 생산 물량 기준 세계 7위로, 제조업 노동자 10명 중 1명이 차·부품 제조업체에서 일한다. 전체 자동차 수출액의 절반에 육박하는 최대 시장인 미국의 관세 장벽과 현지 생산 확대 등으로 중소·중견 업체들이 존폐의 위기를 겪고 일자리 감소로 인해 ‘한국판 러스트벨트(제조업 쇠락 지역)’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018년 전북 군산에선 한국지엠(GM)이 자동차 공장을 폐쇄하면서 지역 경제가 심각한 타격을 입은 바 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통계를 보면, 지난해 국내 공장에서 생산된 자동차(상용차 포함) 413만대 가운데 수출 물량은 278만대다. 3대 중 2대가 국외로 나간다는 뜻이다. 전체 자동차 수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차량 대수 기준으로 51.5%(143만대), 수출액 기준으론 49.1%(347억달러)에 이른다.

수출 확대를 이끈 것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2016년부터 시행된 자동차 무관세였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다음달부터 25%의 관세를 외국산 자동차에 물리면, 국내 자동차 제조 생태계는 미국 현지 생산에 견줘 경쟁력을 잃을 판이다. 전체 완성차 생산 물량의 51%(2024년 기준) 남짓을 국내 울산·화성 공장 등에서 만드는 현대차와 기아도 발등에 불이 떨어진 건 마찬가지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현대차그룹의 미국 현지 생산 비중이 다른 경쟁사보다 낮은 편이어서 이번 조처의 여파도 더 클 수밖에 없다. 한국은 안보 문제로 유럽연합(EU)이나 캐나다처럼 강경하게 나서기 어려운 만큼 국내 일자리 감소 등을 막기 위한 민관 협업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했다.


한국지엠의 위기감은 더 크다. 국내 생산 물량의 84.8%(지난해 기준 약 42만대)를 미국으로 수출해 미국 시장 의존도가 절대적이다. 트럼프 정부 출범 직후 공장 철수설이 7년 만에 다시 불거진 이유다. 금속노조 관계자는 “최악의 경우 현대차그룹과 한국지엠의 국내 생산 물량이 100만대까지 줄어들 수 있는 만큼 산업 공동화 우려가 나올 수밖에 없다”며 “정부가 국산 부품 사용과 내수 촉진 등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 게 필요하다”고 했다.

특히 타격이 큰 건 대응 여력이 떨어지는 중소·중견 부품 업체들이다. 한국자동차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 1만7천곳에서 일하는 종사자 수만 약 29만2천명에 이른다. 전체 하청 부품사의 44.7%는 연 매출 300억원 미만으로,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가 부품까지 확대 시행되는 오는 5월3일 이전에 자구책을 마련하기가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다.

이 판국에 정부는 대책을 다음달에 내놓겠다고 ‘지각 대응’을 하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지난달 중순부터 자동차·반도체·의약품 등 품목별 관세를 매기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7일 현대차·만도 등과 회의를 열고 “우리 자동차 기업들의 대미 수출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거로 우려된다”며 다음달께 자동차 산업 비상 대책을 내놓겠다고 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97 때아닌 눈인데 색깔도 낯설다?…수도권서 '검은 눈' 목격담 랭크뉴스 2025.03.29
45996 산불 속 봄 축제 고심…‘축소 진행’ 진해군항제 두고 갑론을박도 랭크뉴스 2025.03.29
45995 권성동 "'내각총탄핵'은 내란음모, 이재명·김어준·野 초선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94 미얀마 강진 사망자, 하루만에 1000명 넘었다…부상자 2376명 랭크뉴스 2025.03.29
45993 검찰, 천하람 소환… 명태균, 이준석 만난 '칠불사 회동' 확인 랭크뉴스 2025.03.29
45992 미얀마 혈액 턱없이 부족…"사망 1만명 이상, 여진 몇달 갈수도" 랭크뉴스 2025.03.29
45991 명태균 수사팀, ‘칠불사 회동’ 천하람 원내대표 참고인 조사 랭크뉴스 2025.03.29
45990 권성동 “‘내각 총탄핵’ 예고 민주당 초선의원·이재명 등 72명 내란선동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89 부동산 계약 체결 후 잔금지급기일 이전 매도인이 사망하면?[이철웅의 법으로 읽는 부동산] 랭크뉴스 2025.03.29
45988 권성동 "'내각 줄탄핵 경고' 민주당 초선·이재명 등 72명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87 [속보] 산림청, 경남 산청·하동 오늘 주불 진화 어려워…진화율 99% 랭크뉴스 2025.03.29
45986 경찰, 의성 산불 발화 추정 지점 현장조사 착수 랭크뉴스 2025.03.29
45985 "한국 0% 성장" 충격 전망 나와…관세·계엄 여파에 성장률 줄하향 랭크뉴스 2025.03.29
45984 권성동 "이재명·김어준·野초선 등 72명 내란선동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83 미얀마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었다…외교부 “30억원 인도적 지원 결정” 랭크뉴스 2025.03.29
45982 챗GPT ‘지브리풍’ 이미지 폭발적 인기…“판도라의 상자 열었다” 랭크뉴스 2025.03.29
45981 점복 대신 에이, 레몬 대신 귤…'폭삭', 한국적 소재로 어떻게 세계를 울렸나 랭크뉴스 2025.03.29
45980 권성동 "'내각총탄핵' 이재명·김어준·野초선 내란선동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79 효성 故조석래 회장 1주기 추모식… "혜안·도전정신 이어받겠다" 랭크뉴스 2025.03.29
45978 효성 故조석래 회장 1주기 추모식…“혜안·도전정신 이어받아 격랑 헤쳐 가겠다”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