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역대 단일 산불 최대 규모인 3만8373㏊
안동·청송 등 특별재난지역…장기화 조짐도
지난 22일 시작된 의성산불이 엿새째 이어진 27일 낮 청송군 파천면 지경리 마을이 불에 타 폐허가 되어 있다. 김태형 기자 [email protected]

경북과 경남, 울산 등 영남지역 8개 시·군을 휩쓸고 있는 산불의 피해 규모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기대했던 비도 거의 내리지 않은 데다 최소 열흘가량 비 소식이 없어 장기화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27일 밤 8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집계를 보면, 산불 사망자는 전날에 견줘 2명 늘어 모두 28명이다. 1989년 26명을 넘어선 역대 최다 기록이다. 부상자는 32명이다. 이날 오후 5시 산림청이 집계한 결과, 전체 산불영향구역은 3만8373㏊로 서울 면적(6만520㏊)의 63.4%가 불탔다. 역대 단일 산불 최대 규모다. 이 불로 발생한 산불 이재민은 1만7346명에 이른다.

경북 영덕군에서 지난 25일 산불 진화 현장에 투입됐다 실종된 산불감시원 ㄱ(68)씨는 이날 오전 11시50분께 영덕군 영덕읍 매정리 영덕제2농공단지 인근 도로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이날 헬기 122대, 인력 8307명, 장비 1073대 등을 투입해 진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중·지상진화대는 8개 시·군의 총 화선(불줄기) 730.7㎞ 가운데 약 52%인 377.56㎞를 진화하고 353.14㎞에서 불길과 맞서고 있다. 경남 산청·하동 산불은 지리산으로 번져 우리나라 1호 국립공원인 지리산국립공원을 위협하고 있으나 험준한 지형으로 진화 작업이 늦어졌다. 불길이 지리산 주봉인 천왕봉 4.5㎞ 앞까지 다가온 상태에서, 소방당국은 방어선을 설치해 불길 확산을 막고 있다.

경북 의성 산불은 엿새째 불길이 잡히지 않고 있다. 이날 오후 5시 기준 진화율은 의성 62%, 안동 63%, 청송 80%, 영양 60%, 영덕 34%이다. 5개 시·군의 산불영향구역은 3만5697㏊이다.

한편, 지난 25일 밤 많은 인명 피해를 낳은 의성 산불이 순간 초속 27m 내외의 태풍급 바람을 타고 시간당 8.2㎞ 속도로 12시간 이내에 51㎞ 떨어진 동해안 영덕까지 날아간 것으로 분석됐다.

원명수 국립산림과학원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장은 27일 “위성 정보 등을 활용해 산불 화선을 분석한 결과, 이번 산불 확산은 사상 초유의 확산 속도를 보였다. 과거 2019년 속초·고성 산불 당시 순간 초속 33m(시속 119㎞) 바람이 불었고, 이때 기록된 산불 확산 속도는 시간당 5.2㎞로 불이 확산했는데, 시간당 8.2㎞ 속도는 국내에서 보고된 산불 확산 속도 가운데 가장 빨랐다”고 설명했다. 이 속도는 환산하면 순간 초속 52m(시속 187㎞)의 강풍이 분 것이다.

산불 확산은 강풍 예측에 실패해 피해가 커졌던 것으로 보인다. 원 센터장은 “지형, 기상 등을 반영해 산불 확산 예측 프로그램을 가동하는데, 당시 이런 강풍은 기상 예보에도 없었다. (산불이) 영덕까지 넘어설 것이라는 예측을 하지 못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날 산불 피해가 심각한 경상북도 안동시,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선포했다.

이날 울산시와 산림청은 “밤 8시40분을 기해 울주 온양 대운산 산불을 발생 엿새째 만에 완전 진화했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울산에는 아침에 약한 비가 내리고 습도가 올라 불길 확산이 늦춰졌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68 "불 꺼져도 집에 못 가" 갈 곳 사라진 산불 이재민들 랭크뉴스 2025.03.29
46067 ‘불씨 되살아 날라’…이제는 잔불과의 전쟁 랭크뉴스 2025.03.29
46066 "추억도, 생업도 다 없어져"‥삶의 터전 앗아간 화마 랭크뉴스 2025.03.29
46065 1300㎞ 떨어진 건물도 붕괴...너무 얕은 '10㎞ 진원'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
46064 '산불사태' 인명피해 75명으로 늘어…산청 진화율 99%(종합3보) 랭크뉴스 2025.03.29
46063 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소환통보…“정치 탄압 칼춤” “법 위 군림 안돼” 랭크뉴스 2025.03.29
46062 ‘지진 피해’ 미얀마 군사정권, 국제 사회에 인도적 지원 요청 랭크뉴스 2025.03.29
46061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 명 넘어…‘건물 붕괴’ 지금 방콕은? 랭크뉴스 2025.03.29
46060 외교정책 비판도 ‘테러 옹호’ 규정…SNS 뒤져 비자 문턱 높이겠다는 미국 랭크뉴스 2025.03.29
46059 프로야구 30일 NC-LG 창원 경기 취소… 구조물 추락 사고 여파 랭크뉴스 2025.03.29
46058 산불 피해 반려견 사료 2톤 도난…“청년 대여섯명이 실어가” 랭크뉴스 2025.03.29
46057 산불로 폐허가 된 마을[현장 화보] 랭크뉴스 2025.03.29
46056 창원NC파크서 철제구조물 추락… 여성 2명 중경상 랭크뉴스 2025.03.29
46055 ‘입꾹닫’하고 사는 세상, 용기 내볼까[이다의 도시관찰일기] 랭크뉴스 2025.03.29
46054 ‘고중량 운동’하는 남성, 이 병을 조심하자[수피의 헬스 가이드] 랭크뉴스 2025.03.29
46053 보통 50~60km 깊이인데… 너무 얕은 '10km 진원'이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
46052 “헌재 빨리 판단 내려야”…주말 탄핵 찬반 집회 랭크뉴스 2025.03.29
46051 이재명 "국힘 '골프사진 조작' 비판…진실 직시해야" 랭크뉴스 2025.03.29
46050 일요일 아침 ‘꽃샘추위’ 영하권… 전국 건조하고 강풍 랭크뉴스 2025.03.29
46049 창원 NC 구장 추락 구조물, 관중 덮쳤다…30일 LG전 경기 취소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