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발생 엿새째 주불 진화, "저녁 비 내리며 잔불까지 잡혀"…주민 대피령 해제


검게 그을린 산림청 헬기
(울산=연합뉴스) 김용태 기자 = 27일 엿새째 산불이 이어지고 있는 울산시 울주군 온양읍에서 진화 작업을 하는 산림청 헬기가 검게 그을려 있다. 2025.3.27 [email protected]


(울산=연합뉴스) 김근주 기자 = 울산 울주군 온양읍 대형 산불이 발생 엿새째에 진화됐다.

울산시는 27일 "오늘 오후 8시 40분을 기해 온양 (대운산) 산불을 완전 진화했다"고 밝혔다.

산림청도 '울주 산불 진화율 100%'라고 알렸다.

산림청은 산불 진화를 위해 헬기 13대, 차량 76대, 인력 1천278명을 투입해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진화된 전체 화선은 20.8㎞로 추산됐다.

다만, 산림청은 잔불이나 뒷불 감시 필요성 등 여지를 남겨뒀으나, 울산시는 현장 분석 결과 뒷불까지 정리됐다고 판단했다.

이번 산불 피해 면적은 931㏊(헥타르)로 추산된다. 축구장 1천304개 크기다. 이는 울산 지역 역대 산불 가운데 최대 피해 면적이다.

종전에는 2020년 3월 19일 울주군 웅촌면에서 발생한 산불의 피해 면적이 519㏊로 가장 컸다.

산림 태우는 불길
(울산=연합뉴스) 김용태 기자 = 울산시 울주군 온양읍 산불 닷새째인 26일 불길이 산림을 태우고 있다. 2025.3.26 [email protected]


이번 산불은 지난 22일 낮 12시 12분께 대운산 밑자락에서 시작됐다.

야산 바로 옆 농막에서 용접 작업 중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불씨는 건조한 대기에 불어 닥친 강한 바람을 타고 삽시간에 퍼져나갔다.

한때 부산울산고속도로 온양IC 양방향 차량 통행이 통제됐고, 불길이 경남 양산 경계를 넘어가기도 했다. 산불 현장과 인접한 마을 주민 355명이 임시 대피소나 친인척 집 등으로 대피했다.

진화 과정에선 거의 매일 헬기 12∼15대와 인력 1천∼2천 명이 동원됐으나 거센 바람으로 불길을 잡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영역을 넓혀가던 산불은 27일 새벽부터 가는 비가 내리면서 조금씩 진정하기 시작했다. 강수량은 0.5㎜가량으로 많지 않았으나 대기 중 습도가 올라가면서 불길을 누그러뜨렸다.

김두겸 시장은 이날 오후 3시 브리핑에서 "육안으로 봤을 때 이 정도면 주불을 100% 잡았다고 본다"고 밝히기도 했다.

울주 산불 지역에 내리는 단비
(울산=연합뉴스) 김용태 기자 = 27일 엿새째 산불이 이어지고 있는 울산시 울주군 온양읍에 비가 내려 외광리 한 마을 주민이 우산을 쓰고 걸어가고 있다. 2025.3.27 [email protected]


해가 지면서 산림 당국은 재발화 등에 대비했으나, 하늘이 다시 도왔다.

'후드득' 소리를 내며 산불 발생 이후 처음으로 굵은 빗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했고, 현장에는 오후 8시쯤부터 50분가량 4㎜의 비가 내리면서 뒷불까지 잡힌 것으로 보인다.

이에 울산시는 오후 8시 40분을 기준으로 완전 진화를 공식화했다. 주민 대피령도 해제됐다. 산불 발생 후 128시간여만이다.

이번 산불 진화 과정에선 시청 소속 공무원 2명이 가벼운 상처를 입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94 경북경찰청, '경북산불' 발화 추정 지점 현장조사 실시 랭크뉴스 2025.03.29
45893 ‘경북 산불’ 사망자 1명 늘어… 총 30명 숨져 랭크뉴스 2025.03.29
45892 '착한 침대'가 돈까지 벌어다줬다…2년 연속 매출왕 오른 비결 [비크닉] 랭크뉴스 2025.03.29
45891 "오늘 안에 주불 잡는다" 지리산 국립공원 진화 총력...경북·경남 산불 사망자 30명 랭크뉴스 2025.03.29
45890 안동·의성서 다시 발생한 산불 진화 완료…"재발화 아닌 잔불" 랭크뉴스 2025.03.29
45889 미얀마 7.7 강진에…美 지질조사국 “사망자 1만명 넘을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888 미얀마 강진 사망자 694명으로 늘어…부상자 1,670명 랭크뉴스 2025.03.29
45887 중대본 “산불 피해 면적 4만8천㏊…30명 사망” 랭크뉴스 2025.03.29
45886 ‘파기자판’ 뭐길래…국힘, ‘이재명 무죄’에도 왜 물고 늘어질까 랭크뉴스 2025.03.29
45885 '경남·북 산불' 사망자 1명 늘어 총 30명‥구호성금 554억 원 모여 랭크뉴스 2025.03.29
45884 미얀마 강진 사망자 694명으로 급증…부상자 1천670명 랭크뉴스 2025.03.29
45883 점복 대신 데이, 레몬 대신 귤…'폭삭', 한국적 소재로 어떻게 세계를 울렸나 랭크뉴스 2025.03.29
45882 '산불사태' 사망자 1명 늘어 총 30명…구호성금 554억원 모여 랭크뉴스 2025.03.29
45881 韓 대행 "이재민 온전한 일상 회복때까지.. 모든 지원 아끼지 않겠다" 랭크뉴스 2025.03.29
45880 경북 지역 밤사이 재발화 잇따라‥70명 사상 랭크뉴스 2025.03.29
45879 산불 ‘예비비’ 공방…여 “예산 부족 거짓말”, 야 “엉터리 숫자 놀음” 랭크뉴스 2025.03.29
45878 방심위, ‘의료계 블랙리스트’ 메디스태프에 시정 요구 “게시물 삭제해야” 랭크뉴스 2025.03.29
45877 ‘동맹 흔들리면 달러도 안전할 수 있나’…유럽, 통화시스템 다시 본다 랭크뉴스 2025.03.29
45876 韓대행 "산불 이재민 일상회복 때까지 모든 지원 아끼지 않을것"(종합) 랭크뉴스 2025.03.29
45875 [속보] 미얀마 강진 사망자 694명으로 껑충…부상자 1천670명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