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왼쪽 다섯째) 등 헌법재판관들이 이날 열린 헌법소원심판사건 선고를 위해 심판정으로 들어와 자리에 앉아 있다. 김영원 기자 [email protected]

27일 서울을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를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시위가 열렸다. 민주노총이 하루 총파업을 선언하고 집회를 열었고, 평일임에도 많은 시민들이 일과를 접고 ‘시민 총파업’에 동참했다. 대학생들도 동맹 휴강을 하고 거리로 나섰다. 전날에는 한국노총이 결의대회를 열어 헌법재판소를 규탄했고, 지난 25일에는 농민단체들이 트랙터를 몰고 상경해 시위를 벌였다. 같은 날 노벨문학상 수상자 한강 작가를 비롯한 문인 414명의 성명이 나왔다. 내란 사태 장기화로 헌정 불안이 깊어지는데도 헌재는 도대체 언제까지 탄핵 선고를 미룰 것이냐는 아우성이 극에 이르고 있다.

26일에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선거법 사건 항소심 선고가 있었다. 그동안 윤 대통령 지지자와 국민의힘 쪽에선 헌재 선고를 이 대표 선고 이후로 미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왔다. 결과적으로 그 주장대로 됐다. 마치 헌재가 법원 선고 결과를 지켜본 뒤 입장을 정하는 듯한 모양새가 됐다. 이런 인상을 주는 것만으로도 헌재의 권위와 신뢰는 큰 상처를 입었다. 만에 하나 일부 보수 성향 헌법재판관이 특정 정치 세력의 의도대로 선고 일정을 미루고 있다면, 헌법과 양심에 따라 독립적으로 판단해야 하는 재판관의 사명을 저버리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리라고 믿는다.

이처럼 온갖 의심과 억측이 난무하는 것은 헌재가 뚜렷한 설명도 없이 마냥 선고 일정을 늦추고 있는 탓이다. 많은 헌법학자들이 지적하듯 윤 대통령 탄핵심판은 너무도 자명한 사안이다. 지엽적인 법리 논쟁이 있을 순 있다지만, 헌정 수호라는 큰 틀에서 충분히 정리할 수 있다. 탄핵심판 변론 종결 뒤에도 양쪽에서 여러 의견서를 헌재에 제출하고 있다고 한다. 대부분은 헌재가 이미 검토를 끝낸 쟁점들일 것이다. 신중함을 보여주기에 충분한 시간이 흘렀다.

무엇보다 헌재 선고가 늦어지면서 국가는 깊이 멍들고 국민들은 고통에 신음하고 있다. 헌정을 파괴한 내란 사태가 벌어졌는데 그 우두머리가 여전히 국가원수 자리를 지키고 있는 상황 자체가 헌정 위기의 지속이다. 이 사태를 조속히 마무리 짓는 것이야말로 헌법 질서를 회복하는 길이다. 헌법재판관들은 탄핵심판 대상자의 헌법 수호 의지를 평가하고 단죄하는 주체인데, 지금 보이는 행태는 헌법재판관들 자신의 헌법 수호 의지를 의심케 한다. 헌법재판관들은 헌법이 부여한 사명을 똑똑히 되새기고 조속히 대통령 윤석열 파면을 선고해야 할 것이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70 강남구 아파트서 아내 살해한 60대 남성 체포 랭크뉴스 2025.03.29
46069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천644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9
46068 "불 꺼져도 집에 못 가" 갈 곳 사라진 산불 이재민들 랭크뉴스 2025.03.29
46067 ‘불씨 되살아 날라’…이제는 잔불과의 전쟁 랭크뉴스 2025.03.29
46066 "추억도, 생업도 다 없어져"‥삶의 터전 앗아간 화마 랭크뉴스 2025.03.29
46065 1300㎞ 떨어진 건물도 붕괴...너무 얕은 '10㎞ 진원'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
46064 '산불사태' 인명피해 75명으로 늘어…산청 진화율 99%(종합3보) 랭크뉴스 2025.03.29
46063 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소환통보…“정치 탄압 칼춤” “법 위 군림 안돼” 랭크뉴스 2025.03.29
46062 ‘지진 피해’ 미얀마 군사정권, 국제 사회에 인도적 지원 요청 랭크뉴스 2025.03.29
46061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 명 넘어…‘건물 붕괴’ 지금 방콕은? 랭크뉴스 2025.03.29
46060 외교정책 비판도 ‘테러 옹호’ 규정…SNS 뒤져 비자 문턱 높이겠다는 미국 랭크뉴스 2025.03.29
46059 프로야구 30일 NC-LG 창원 경기 취소… 구조물 추락 사고 여파 랭크뉴스 2025.03.29
46058 산불 피해 반려견 사료 2톤 도난…“청년 대여섯명이 실어가” 랭크뉴스 2025.03.29
46057 산불로 폐허가 된 마을[현장 화보] 랭크뉴스 2025.03.29
46056 창원NC파크서 철제구조물 추락… 여성 2명 중경상 랭크뉴스 2025.03.29
46055 ‘입꾹닫’하고 사는 세상, 용기 내볼까[이다의 도시관찰일기] 랭크뉴스 2025.03.29
46054 ‘고중량 운동’하는 남성, 이 병을 조심하자[수피의 헬스 가이드] 랭크뉴스 2025.03.29
46053 보통 50~60km 깊이인데… 너무 얕은 '10km 진원'이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
46052 “헌재 빨리 판단 내려야”…주말 탄핵 찬반 집회 랭크뉴스 2025.03.29
46051 이재명 "국힘 '골프사진 조작' 비판…진실 직시해야"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