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벌써 104일째 시간을 보내고 있는 헌법재판소가, 대통령 탄핵심판에 대해선 오늘도 침묵했습니다.

선고 시점은 여전히 안갯속인데요.

헌법재판소 연결합니다.

김현지 기자, 결국 헌법재판소가 2025년 1분기를 다 보내고, 이제는 4월로 넘어가는 게 확실해진 거죠?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헌법재판관 8명은 오늘 오전 10시에 대심판정에 모습을 드러내긴 했습니다.

매달 넷째 주 목요일에 진행하는 정기 선고를 위해서였습니다.

보복범죄 등으로 형사처벌을 받은 사람의 택시·화물기사 면허를 취소하도록 한 현행법을 합헌이라고 판단하는 등 40건에 대한 선고를 약 20분 만에 마무리했습니다.

오늘 선고는 문형배, 이미선 두 재판관의 퇴임 전 마지막 정기선고였는데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을 언제 선고할지 오늘도 공지는 없었습니다.

지난주 생각해보시면, 한덕수 국무총리 선고 기일을 목요일에 공지하고 월요일에 선고했잖아요.

만약 오늘 공지가 됐다면 3월 31일 월요일에 윤 대통령 선고가 가능했을 수 있지만, 선고일을 정하지 않으면서 사실상 4월로 넘어가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앵커 ▶

벌써 탄핵안 가결된 지 104일째잖아요?

헌법재판관들이 왜 이렇게 고심을 하고 있고, 무얼 보고 있는 건가 싶은데, 평의가 왜 이렇게 길어질까요?

◀ 기자 ▶

저희가 오늘도 전직 재판관, 헌법학자들 10여 명을 취재해봤는데요.

종합하면 시간이 걸리는 이유를 크게 3가지 정도로 압축할 수 있었습니다.

우선 일부 재판관이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며 시간을 끌고 있을 수 있다는 분석이 있었고요.

파면은 분명하지만 만장일치를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는 관측이 여전히 많았습니다.

인용 의견이 확실한 재판관이 아직 5명이라 나머지 재판관들을 설득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것 아니냐는 분석을 조심스레 내놓은 학자들도 있었습니다.

재판관들 평의는 오늘도 이어졌는데요.

매일 평의를 하는 시간 자체는 길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평의가 짧은 이유에 대해서도 '결론에 다다랐기 때문'에 길 필요가 없을 거라는 의견과, '결론 못 내린 재판관들 때문'에 오래 논의할 수 없을 거라는 의견으로 나뉘었습니다.

현재로서는 또다시 "다음 주 금요일이 유력하다"는 말씀을 드릴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4월 4일인데요.

선고가 늦어지면서, 재판관들이 적시에 선고를 하지 않는 것도 헌법상 책임을 다하지 않는 거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고요.

국민 알 권리를 위해 어느 정도 논의가 진행됐는지 설명이라도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는 상황입니다.

지금까지 헌법재판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편집: 배우진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60 [속보] '경북 산불' 영양·의성서 사망자 2명 추가 랭크뉴스 2025.03.29
45859 韓대행 "산불 이재민 일상 회복 때까지 모든 지원 아끼지 않을 것" 랭크뉴스 2025.03.29
45858 "살려줘요" 비명에 맨손으로 잔해 파헤쳐…'아비규환' 미얀마 랭크뉴스 2025.03.29
45857 [속보] 韓대행 “이재민 일상 회복까지 모든 지원 아끼지 않을 것” 랭크뉴스 2025.03.29
45856 피해 ‘눈덩이’ 미얀마 강진, 각국 항공기·구호대 급파…트럼프도 지원 약속 랭크뉴스 2025.03.29
45855 이낙연, ‘이재명 무죄’에 “사법부 의심”…‘파기자판’ 썼다 지우기도 랭크뉴스 2025.03.29
45854 봄철 러닝족 괴롭힌 아킬레스건 비명…"깔창이 뜻밖 구세주" 랭크뉴스 2025.03.29
45853 80년대생부터 여성이 남성보다 고학력…첫 취업은? 랭크뉴스 2025.03.29
45852 안동·의성 산불 재발화…이 시각 대피소 랭크뉴스 2025.03.29
45851 주유소 기름값 7주 연속 내렸다…휘발유 L당 ‘1669.8원’ 랭크뉴스 2025.03.29
45850 경찰, '헌재소장 살인예고' 극우 유튜버 압수수색‥휴대폰 포렌식 진행 랭크뉴스 2025.03.29
45849 부산대 의대 "미등록자 내달 5일부터 제적 절차 진행" 랭크뉴스 2025.03.29
45848 산불 인명피해 70명으로 늘어‥안동·의성 일부 재발화 랭크뉴스 2025.03.29
45847 생명보다 영업?…산불 속 캐디에 ‘후반 나가라’ 지시한 골프장 논란 랭크뉴스 2025.03.29
45846 산림청 “경북 안동·의성 일부 산불 재발화…진화 완료” 랭크뉴스 2025.03.29
45845 기장의 황당 실수…필리핀서 15시간 발 묶인 아시아나,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3.29
45844 트럼프도 “돕겠다”…‘지진 강타’ 미얀마 군정 호소에 국제 사회 지원 약속 랭크뉴스 2025.03.29
45843 [속보] 경남 산청군, 신촌마을에 대피령‥바람 방향 바뀌며 산불 확산 우려 랭크뉴스 2025.03.29
45842 미 지질조사국 “미얀마 강진, 사망자 1만명 넘을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841 文 전 대통령 소환 통보에 격앙된 민주당 "무도한 정치탄압 칼춤"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