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망자 1명 늘어 총 28명
중상 8명·경상 24명…인명피해 총 60명

26일 오후 경북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야산에 산불진화용 헬기가 추락해 당국이 사고 수습을 하고 있다. 헬기 조종사는 사고 현장에서 사망 한 채 발견됐다./연합뉴스

산불로 인한 사망자가 1명 더 발견돼 총 28명으로 늘었다. 중상은 8명, 경상 24명으로 전체 인명피해 규모는 60명으로 불어났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27일 오후 8시 기준 경북에서 사망자가 1명 더 확인돼 전체 사망자 수는 28명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경북이 사망 24명·중상 3명·경상 18명으로 의성을 중심으로 피해가 가장 컸다. 경남은 사망 4명·중상 5명·경상 4명 등 13명이며, 울산은 경상 2명이다.

이날 오후 6시 기준 중·대형 산불 피해가 난 곳은 11곳에 달한다. 이중 전날 산불이 시작된 무주를 포함해 7곳에서 진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 21일 경남 산청에서 시작된 산불 사태로 피해 영향을 받은 산림 구역은 3만8665㏊(축구장 5만4153개)로 집계됐다.

산불로 인해 집을 떠나 인근으로 대피한 주민은 이날 오후 7시 기준 3만7829명이다. 이 중 8536명은 아직 집으로 복귀하지 못했다.

시설물 피해도 늘어 주택, 공장, 창고, 사찰, 문화재 등 2639곳이 피해를 봤다.

한편, 피해가 가장 큰 경북 의성 산불 현장에는 오늘도 진화헬기 80대와 5000명에 가까운 진화 인력이 동원됐다. 낮 동안 바람이 잠잠해 불길도 빠르게 번지지 않았다. 여기에 저녁 무렵 5분 정도 내린 가랑비 덕분에 오전에 44%였던 진화율은 오후 6시 기준 62%의 진화율을 기록하고 있다.

경남 산청과 하동의 진화율은 81%를 기록하고 있고, 울산 울주 온양읍의 산불은 저녁 8시 40분쯤 완전 진화됐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84 미얀마 사망 1644명으로 늘어…공항 관제탑·지하 송유관 무너졌다 랭크뉴스 2025.03.30
46083 "4·2 상호관세 앞둔 트럼프, 참모들에 '더 세게 나가라' 압박" 랭크뉴스 2025.03.30
46082 물 없는 소화전…속수무책 소방차 랭크뉴스 2025.03.30
46081 '산불 헬기' 예산 172억 날아간 이유…이재명·한동훈도 설전 랭크뉴스 2025.03.30
46080 8년만 콘서트 73분 늦게 시작한 GD…"돌풍 때문" 뒤늦은 사과 랭크뉴스 2025.03.30
46079 군정이 통제하는 미얀마‥피해 집계·구조는 더디기만 랭크뉴스 2025.03.29
46078 "선고 지연 이유없다‥헌재 계속 신뢰해야 하나" 들끓는 여론 랭크뉴스 2025.03.29
46077 경남 산청 산불 진화율 '마지막 1%' 남았다...야간 진화 돌입 랭크뉴스 2025.03.29
46076 '산불사태' 역대 최대 피해 규모…축구장 6만 7000개 크기 잿더미 랭크뉴스 2025.03.29
46075 "헌법 수호 의지 있는가"‥尹에 노·박 전 대통령 대입하면 랭크뉴스 2025.03.29
46074 미얀마 강진 인명피해 급증‥사망 1천644명·부상 3천408명 랭크뉴스 2025.03.29
46073 편의점서 젤리 훔친 6살 아이 지적하자…父 "왜 도둑 취급해" 난동 랭크뉴스 2025.03.29
46072 미얀마 강진 사망자 1644명으로 늘어… 부상자 3408명 랭크뉴스 2025.03.29
46071 러 "우크라, 에너지 시설 공격 계속…수자 가스계측시설 파괴" 랭크뉴스 2025.03.29
46070 강남구 아파트서 아내 살해한 60대 남성 체포 랭크뉴스 2025.03.29
46069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천644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9
46068 "불 꺼져도 집에 못 가" 갈 곳 사라진 산불 이재민들 랭크뉴스 2025.03.29
46067 ‘불씨 되살아 날라’…이제는 잔불과의 전쟁 랭크뉴스 2025.03.29
46066 "추억도, 생업도 다 없어져"‥삶의 터전 앗아간 화마 랭크뉴스 2025.03.29
46065 1300㎞ 떨어진 건물도 붕괴...너무 얕은 '10㎞ 진원'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