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세대 의대 비대위는 지난 26일 밤늦게 올해 1학기 휴학 방식을 ‘등록 후 휴학’으로 전환하기로 한 뒤 이를 학생들에게 공지했다. 27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학년 강의실이 굳게 닫혀 있다. 권도현 기자


전국 40개 의대의 ‘미등록 휴학’(등록 거부)에 동참했던 서울대와 연세대 의대생들이 등록은 하되 수업은 듣지 않는 ‘수업 거부’로 선회하기로 결정하면서 ‘의대생 동맹휴학 기조’에 균열이 생겼다. 서울대 의대생들은 올해 신입생을 제외한 재학생의 90% 이상이 수업 신청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대·연세대의 방향 전환 이후 여러 의대 내부에선 동요가 일고, 의대생 대표들 사이에서도 ‘수업 복귀’를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7일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 오후 5시까지 진행된 서울대 의대 1학기 등록에서 올해 신입생을 제외한 재학생 중 700명가량이 복학 신청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대 의대 관계자는 “군 휴학 등 휴학자와 수강신청을 이미 한 25학번을 빼고, 재학생의 90% 이상이 수업 등록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했다.

이날 서울대 의대생들의 대규모 수업 등록은 전날부터 진행된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이뤄졌다. 서울대 의대 의정갈등 대응 태스크포스(TF)는 전날 오후 10시에서 이날 오전 사이 ‘투쟁 방향성 수요조사’를 진행했다. 서울대는 이날 오후 5시가 올해 1학기 등록 마감 기한으로, 사실상 복학 신청을 할지 결정하는 투표였다.

수요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65.7%(399명)가 ‘미등록 휴학으로 투쟁을 지속할 의향이 있다’는 문항에 ‘아니오’라고 답했다. TF는 이날 오전 “다수 학생들이 미등록 휴학의 방식으로 투쟁을 이어나가는 것에 동의하지 못해 등록 후 투쟁의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결정했다”며 “이날 오후 2시까지 복학원 제출과 수강신청을 통해 등록 절차를 마무리해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서울대에 앞서 연세대 의대 학생들도 ‘수업 등록’을 하기로 결정했다. 연세대 의대 비대위는 지난 26일 밤늦게 올해 1학기 동맹휴학 방식을 ‘등록 후 수업거부’로 전환하기로 한 뒤 이를 학생들에게 공지했다.

연세대는 복학 의사를 밝힌 의대생들이 조금씩 늘어났고, 학생들의 기류도 바뀌면서 동맹휴학 방식이 바뀌었다고 본다. 연세대 의대는 전날 오전까지 복학 신청 의사를 직·간접적으로 밝힌 의대생을 75% 안팎으로 파악했다. 복학을 전제로 의대 학장과 교수진에게 상담 신청을 한 학생을 기준으로 집계한 수치다. 고려대도 복귀 의사를 밝힌 의대생을 70~80% 수준으로 보고 있다.

연세대 의대 비대위는 지난 26일 밤늦게 올해 1학기 휴학 방식을 ‘등록 후 휴학’으로 전환하기로 한 뒤 이를 학생들에게 공지했다. 27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의 모습. 권도현 기자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서울대와 연세대의 동맹휴학 이탈 움직임에도 기존의 미등록 휴학을 이어가겠다며 성명을 냈다. 의대협은 이날 성명에서 “서울대와 연세대에서 일부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 38개 단위는 여전히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며 미등록 휴학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했다. 이날 의대협 성명에는 서울대와 연세대 의대 대표의 이름이 빠졌다.

의대협이 미등록 휴학을 이어가겠다고 했지만 의대생 대표들 중에서도 “일단 등록을 해야하지 않겠냐”는 의견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대와 연세대가 동맹휴학 기조에서 이탈하면서 의대생 대표들도 출구 전략 마련에 고심 중이다. A대 의대 대표는 1학기 등록 마감 전후로 의대 학장단과 면담을 하면서 “등록하고 싶어하는 학생들이 크게 늘었는데 강경파 목소리에 방향을 바꾸는 게 쉽지 않다”고 했다. B대 의대 대표도 의대 학장단에 “어떻게 출구 전략을 마련해야 할지” 고민을 토로했다고 한다.

의대생 내부에서도 동요가 적지 않다. 정부와 학교의 ‘학칙대로’ 기조에서 수업 미등록시 제적될 가능성이 커진 데다, 여학생들은 학칙에 규정된 휴학 신청 방법도 마땅치 않아 고민이 크다고 한다. 남학생들 중에는 동반입대나 지게차 운전기능사 등 자격증 취득을 통해 입대 일자를 앞당기는 방법으로 군휴학을 택하는 이들이 많다. 한 비수도권 의대 교수는 “군휴학을 한 학생이 체감상 3분의 1 정도 되는 것 같다”고 했다.

이날 서울대를 비롯해 경상국립대, 동국대, 부산대, 영남대, 이화여대 등에서 등록 마감을 한다. 이화여대 의대는 28일 중 제적 통보서를 보낸다. 동국대 의대는 지난 25일 휴학 기간 만료에 따라 제적 예정 통보서를 보냈고 오는 31일 전에 제적 통보서를 발송하기로 했다. 이화여대 관계자는 “추가 등록을 받을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했다. 동국대 의대 관계자는 “등록 마감을 한 뒤 다른 대학과 유사하게 (추가 복학을 받을지) 결정하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79 ‘울며 겨자 먹기’ 건설사 부채, 주식으로 떠안는 기업들…2000원대 주식 16만원에 인수 랭크뉴스 2025.03.30
46278 이재명 “헌재, 노고 얼마나 큰가…국민 불신 목소리도 커져” 랭크뉴스 2025.03.30
46277 김수현 영화 '리얼' 노출신·오디션 논란... 前 감독이 밝힌 입장 랭크뉴스 2025.03.30
46276 ‘최장기간 산불’ 경신 10분전 “산청산불 진화 완료” 선언한 산림청 랭크뉴스 2025.03.30
46275 박찬대 “한덕수,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
46274 "종일 헬스장서 살았는데"…'운동광' 20대, 갑자기 '이 암' 진단받은 사연 랭크뉴스 2025.03.30
46273 산불 진화 핵심 역할한 軍...누적 7500명 투입, 헬기·의료 지원도 랭크뉴스 2025.03.30
46272 [단독]도움 호소했던 영양군수 “주민 ‘대성통곡’에도 헬기 지원조차 되지 않았다” 랭크뉴스 2025.03.30
46271 [속보] 경북도지사 “산불 잔불정리 오늘 마무리…뒷불감시 전환” 랭크뉴스 2025.03.30
46270 산청 산불 213시간 34분 만에 주불 잡혀…역대 두번째 ‘긴 산불’ 랭크뉴스 2025.03.30
46269 "화장실서 매일 쓰는 건데 어쩌나"…비누 속 꽃향기가 뇌세포 손상 시킨다 랭크뉴스 2025.03.30
46268 발생 213시간 만에 꺼진 산청 산불… 산림 1,858㏊ 태웠다 랭크뉴스 2025.03.30
46267 이재명 "헌재, 노고 얼마나 컸나…불신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랭크뉴스 2025.03.30
46266 방콕서 지진에 왜 '건설 중' 33층 건물만 붕괴?‥中시공사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265 국민의힘, '줄탄핵' 경고에 "명백한 내란 자백‥정당해산 심판 대상" 랭크뉴스 2025.03.30
46264 혁신당, 헌재에 ‘화병’ 위자료 집단소송 추진…“4일까지 선고일 지정” 랭크뉴스 2025.03.30
46263 한부모 월평균 양육비 58만 원인데…10명 중 7명 “한 푼도 못 받아” 랭크뉴스 2025.03.30
46262 [가족] "내일 안락사 확정"… 봉사자 다급한 전화로 구조된 강아지 '빵떡이' 랭크뉴스 2025.03.30
46261 핵무장론 부추기는 외교부의 '민감국가' 해명... 논란은 끝나지 않았다 [문지방] 랭크뉴스 2025.03.30
46260 박찬대 "한덕수,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민주당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