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02년 울진 산불, 비 덕분에 주불 잡아
27일 의성 안동 청송 영양에 거의 안 내려
내달 4일까지 강수 확률도 대부분 10%
불타는 화선만 333.6㎞ 로 '역대급'
경북소방본부 119산불특수대응단이 27일 안동시 남후면에서 산불을 진화하고 있다. 경북소방본부 제공


역대 최악의 산불이 타오르고 있는 영남지방에 27일 기대했던 만큼의 비는 내리지 않았다. 경남과 경북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 거세게 확산한 대형 산불들 진화는 또 실패했다. 지금까지 27명의 사망자와 수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산불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과 안계면에서 잇따라 발생한 산불은 25일 강풍을 타고 동해안 영덕군으로 급속히 번진 데 이어 27일 오후까지 계속 확산했다. 산림당국은 이날 비 예보가 나오자 2002년 3월 울진 산불처럼 극적인 '종료 선언'에 대한 기대감을 가졌지만 비는 찔끔 내리고 말았다. 특히 산불이 가장 거센 경북 북부의 안동시에는 한 방울도 오지 않았다. 일부 지역에는 천둥번개가 쳤지만 진화에 도움이 될 만한 강수량은 아니었다.

날씨의 도움을 받지 못한 산림당국은 이날도 화마와 사투를 벌였지만 주불을 잡지 못했다. 오후 5시 기준 평균 진화율은 63.2%에 그쳤다. 산불이 타오르는 전체 화선 771.9㎞ 중 남은 화선이 283.9㎞나 된다. 지역별로는 의성 62%, 안동 63%, 청송 82%, 영양 60%, 영덕 55%다. 직간접적 피해가 예상되는 산불영향구역은 5개 시군을 합쳐 3만5,697㏊로 집계됐다. 역대 산불 중 가장 큰 규모다. 이날 영덕에서 산불감시원이 숨진 채 발견되면서 경북 산불로 인한 사망자는 23명으로 늘었다.

영남 산불 사망자. 그래픽=송정근 기자


앞으로가 더 문제다. 기상청에 따르면 산불이 꺼지지 않고 있는 의성, 청송, 영덕, 영양에는 내달 4일까지 강수 확률이 10% 수준이다. 사실상 비의 도움 없이 화마에 맞서야 하는데, 오전에 잠잠하던 바람이 오후부터 강해지는 패턴은 반복될 것으로 보인다. 인명과 산림 피해는 물론 진화시간도 2002년 3월 울진 산불(213시간), 2000년 강원 강릉·고성·동해 산불(191시간)을 넘어설 수 있다.

다만 25일 낮 최고기온이 28.8도(의성)까지 치솟은 고온 현상은 사라지고 30일 의성 지역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4도까지 떨어진다. 고온일 때 더 잘 생기는 상승기류가 줄어 급속한 확산의 주범인 비화(飛火)현상이 줄 것으로 예상된다.

경북소방본부 119산불특수대응단이 27일 청송군 주왕산국립공원 입구 대전사 주변에서 산불 확산을 막기 위해 벌목한 나무 사이에 산불지연제를 살포하고 있다. 경북소방본부 제공


지난 21일 오후 발생한 산청·하동 산불도 1주일이 다 됐으나 진화율은 80%대에 머물러 있다. 기대한 비 대신 안개와 구름만 잔뜩 끼면서 헬기 운항은 중단과 재개를 반복했다. 그사이 불길은 지리산국립공원까지 밀고 들어갔다. 소방당국은 불이 지리산국립공원에 있는 덕산사(옛 내원사) 방면으로 번지자 절에 보관돼 있던 국보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을 동의보감촌 한의학박물관으로 옮겼다.

산청·하동 산불 진화율은 오후 5시 기준 81%다. 전체 화선은 70㎞, 잔여 화선은 13.5㎞(산청 12km, 하동 1.5km)로 집계됐다. 산불 영향 구역은 지리산국립공원 30~40㏊를 포함해 1,745㏊로 늘었다. 지리산국립공원 초입에 있는 중산리 주민을 비롯해 1,800여 명은 선비문화연구원 등으로 대피했다. 같은 지리산권인 전남 구례군과 광양시 등 지자체도 비상근무에 들어갔다.

그나마 울산 울주군 온양읍 산불은 진정세를 보였다. 이날 오전 약한 비가 내리면서 대기 중 습도가 오른 덕분이다. 산불영향구역은 900㏊ 정도이고, 오후 5시 기준 진화율은 89%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육안으로 봤을 때 이 정도면 주불은 100% 잡았다고 본다"며 "불길이 다시 살아나지 않도록 잔불 정리 작업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007 문화재·코로나19·면세점… 14년 발목 잡힌 호텔신라 한옥호텔 랭크뉴스 2025.04.01
47006 [속보] 장제원 전 의원, 어젯밤 서울 강동구서 숨진 채 발견…“타살 정황 없어” 랭크뉴스 2025.04.01
47005 "언제 집에 갈까요" 앞길 막막한 산불 이재민들... 대피소 생활 장기화 우려도 랭크뉴스 2025.04.01
47004 [속보]美, 소고기부터 車·법률·국방까지…韓 무역장벽 조목조목 지적[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4.01
47003 모회사 금양 거래정지 불똥 튄 에스엠랩… 1000억 투자한 VC도 골머리 랭크뉴스 2025.04.01
47002 작년 '7대 암' 수술 2000건 줄고, 절반이 한 달 넘게 대기···생존율 악영향 우려 랭크뉴스 2025.04.01
47001 더이상 공장에서 꿈을 꿀 수 없다···밀려나는 노동자 [문 닫는 공장] 랭크뉴스 2025.04.01
47000 [속보] 소고기부터 망사용료까지…美, 韓무역장벽 7쪽 분량 발표 랭크뉴스 2025.04.01
46999 한화 '3세 경영 시대' 막 열렸지만...김승연 회장 지분 증여 두고 "등 떠밀려 한 것 아니냐" 랭크뉴스 2025.04.01
46998 벼랑끝 자영업자 눈물에도 여야는 또다시 추경 밀당[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4.01
46997 [속보] 美 무역장벽 보고서 발표…한국 소고기·망 사용료 언급 랭크뉴스 2025.04.01
46996 마비 환자의 생각 실시간 전달…18년 만에 목소리 찾았다 랭크뉴스 2025.04.01
46995 [단독] 더 건강해지는 서울시 손목닥터…효과성 평가 추진한다 랭크뉴스 2025.04.01
46994 [속보] 美, 한국 무역장벽으로 소고기부터 네트워크 망 사용료까지 망라 랭크뉴스 2025.04.01
46993 마은혁 카드가 자충수 됐다…헌재 지연 부른 민주당의 선택 랭크뉴스 2025.04.01
46992 [속보] 美 "韓자동차시장 접근 확대 미국업계의 우선순위" 랭크뉴스 2025.04.01
46991 [속보] 美정부, 상호관세 발표 앞두고 국가별 무역평가 보고서 공개 랭크뉴스 2025.04.01
46990 [단독] 검찰, '명태균·오세훈 대화 전 국민의힘 경선룰 결정' 문건 확보 랭크뉴스 2025.04.01
46989 野 "헌재 재판관 임기 연장", 與 "후임 임명" 맞불... 당리당략만 판친다 랭크뉴스 2025.04.01
46988 머스크 "철밥통 공무원 다 자른다"…예산 1500조 삭감 폭탄 선언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