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내외 증권사 엇갈린 전망
머스크 정치논란·전기차 수요 정체
JP모건·미래에셋證 등 목표가 낮춰
로보택시·자율주행이 성장 모멘텀
캔터피츠제럴드·LS證은 긍정 전망
개인 이달만 테슬라·ETF 2.2조 매집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서울경제]

서학개미 순매수 1위 종목인 테슬라가 올해 들어 28% 넘게 급락하면서 증권가에서도 이례적으로 엇갈린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정치적 논란으로 인한 브랜드 이미지 훼손과 글로벌 전기차 수요 둔화 등을 근거로 추가 하락 가능성을 경고하는 반면 한편에서는 “지금이 저가 매수 기회”라고 낙관론을 내놓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향후 로보택시·완전자율주행(FSD) 등 핵심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된다면 반등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진단도 나온다.

27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은 최근 테슬라의 목표 주가를 기존 135달러에서 120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현재 주가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테슬라는 전날(현지 시간) 5.58% 하락한 272.0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JP모건은 “머스크 CEO의 정치 활동이 진보적 성향이 강한 주요 전기차 소비자들의 이탈을 부추기고 있다”며 테슬라의 1분기 인도량도 기존 전망보다 11만 대 낮은 33만 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공세도 매섭다. 지난해 연간 매출 기준으로 이미 테슬라를 앞선 비야디(BYD)는 최근 5분 충전으로 400㎞ 주행이 가능한 신형 배터리 기술을 선보였다. 가뜩이나 기술 격차가 크게 좁혀진 상황에서 머스크 CEO의 행보가 중국 기업들에 반사이익을 안겨주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의 자동차 정보 업체 에드먼즈는 테슬라 중고차 반납 비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소비자들이 다시 테슬라를 선택하기보다 타 브랜드로 옮겨가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미국과 캐나다의 무역 마찰로 캐나다 정부가 테슬라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중단한 점도 우려를 키우고 있다. 이에 골드만삭스는 목표가를 345달러에서 320달러로 낮췄다. 국내에서는 미래에셋증권이 “전기차 수요 정체, 가격 인하에 따른 수익성 악화, 로보택시 일정 지연 가능성, 경쟁사의 기술 추격 등을 고려할 때 단기적인 주가 하락은 불가피하다”며 목표가를 390달러에서 310달러로 하향했다.

그럼에도 장밋빛 미래를 점치는 전망도 만만찮다. 미국의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 운용사인 아크인베스트의 캐시 우드 CEO는 향후 5년 내 테슬라 주가가 2600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테슬라 기업가치의 90%가 로보택시 사업에서 나올 것이라며 최근의 주가 급락을 오히려 저가 매수의 기회로 해석했다.

뉴스트리트리서치도 목표가를 465달러로 유지하며 “과거(트위터 인수)에도 CEO의 돌발 행동이 있었지만 실적에 실질적인 타격을 주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1분기 실적은 부진하겠지만 주가는 이미 이를 선반영했다는 분석이다. 파이퍼샌들러는 중국에서의 테슬라 인도량이 견조하다는 점을 들어 목표가를 450달러로 유지했고, 캔터피츠제럴드도 자율주행 및 저가형 전기차 출시를 반영해 목표가를 425달러로 상향했다. 국내에서는 LS증권이 긍정적인 입장을 내놓았다. LS증권은 테슬라가 30억 마일 이상의 자율주행 데이터를 통해 경쟁사 대비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으며 6월 로보택시 서비스가 본격화하면 반등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로 인해 머스크 CEO의 정치 논란이 잠잠해진 뒤 매수의 기회를 살펴야 된다는 주장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박승진 하나증권 연구원은 “머스크가 정치적 논란을 조속히 정리하고 FSD, 저가형 전기차 로드맵을 명확히 제시해야 시장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웨드부시도 “머스크가 정부효율부(DOGE) 활동보다 테슬라 CEO의 역할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야 주가 회복의 실마리를 잡을 수 있다”고 꼬집었다.

한편 국내 개인투자자들은 3월 들어(1~26일 기준) 해외 주식을 총 33억 2545만 달러(약 4조 8744억 원) 순매수했다. 이 가운데 테슬라와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2배 ETF’가 각각 9억 4403만 달러(약 1조 3840억 원), 5억 7573만 달러(약 8438억 원)로 순매수 1·2위를 기록했다. 테슬라 관련 종목에만 15억 1976만 달러(약 2조 2274억 원)가 몰려 전체 해외 주식 순매수액의 45.7%를 차지한 셈이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36 경찰, ‘경북 산불’ 최초 발화 추정 지점 현장 조사 랭크뉴스 2025.03.29
45935 정부 "지진 피해 미얀마에 30억원 긴급 지원" 랭크뉴스 2025.03.29
45934 주불 진화·잔불 정리…이 시각 안동 랭크뉴스 2025.03.29
45933 정부, ‘강진 피해’ 미얀마에 30억원 전달… “인도적 지원, 필요시 추가” 랭크뉴스 2025.03.29
45932 최상목, ‘환율 오르면 이익’ 미 국채 투자 논란…민주당 “언제 샀는지 밝혀라” 랭크뉴스 2025.03.29
45931 중상자 1명 추가 사망‥총 사망자 30명 랭크뉴스 2025.03.29
45930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명 넘어…부상자 2천376명(종합) 랭크뉴스 2025.03.29
45929 "MZ들이 쓸어 담더라"…불교박람회 품절 대란 '스밀스밀'이 뭐야? [이슈, 풀어주리] 랭크뉴스 2025.03.29
45928 가방에 뭘 주렁주렁 다냐고? 귀여운 게 최고잖아요 랭크뉴스 2025.03.29
45927 꽃샘추위에도 "탄핵무효"…탄핵반대 광화문 대규모 집회 랭크뉴스 2025.03.29
45926 "해고된 직원이 가게 인스타 삭제, 분통터져요"…보복성 행위에 법원이 내린 판결 랭크뉴스 2025.03.29
45925 90년 삶이 알려준 것...“용서하고 베풀고 사랑하라” 랭크뉴스 2025.03.29
45924 [속보] 경남 산청·하동 산불, 오후 3시 현재 진화율 99% 랭크뉴스 2025.03.29
45923 테슬라 31점 VS 웨이모 87점…머스크 ‘자율주행 낙제점’ 왜 [김기혁의 테슬라월드] 랭크뉴스 2025.03.29
45922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명 넘어…미 지질조사국 “1만명 넘을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921 윤택 "연락 닿지 않는 자연인 있다… 산불 피해 안타까워" 랭크뉴스 2025.03.29
45920 "천국에서 만나요"...의성 산불 끄다 숨진 헬기 기장 영원히 하늘로 랭크뉴스 2025.03.29
45919 경남 산청 산불 9일째, 험준한 산세에 지리산 권역 주불 진화 난항 랭크뉴스 2025.03.29
45918 남부 지역엔 벚꽃, 중부 지역엔 눈보라…이상 현상에 시민들 “황당” 랭크뉴스 2025.03.29
45917 국군 장병 600명, 오늘도 산불 끄러 간다…“필요시 5100명 추가 투입”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