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9년 속초·고성 산불 기록 넘어 역대 최고
순간최대풍속 27m 태풍급 바람에 예측 난항
27일 경북 청송군 파천면 덕천마을에 산불이 번져 주택과 차량이 불에 타 있다. 의성군에서 시작된 산불은 안동·청송·영양·영덕으로 번지며 엿새째 꺼지지 않고 있다. 청송=뉴스1


경북 의성군에서 지난 22일 시작된 대형 산불은 시간당 8.2㎞의 속도로 동해안 영덕군 강구항까지 번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산불 역사상 가장 빠른 확산 속도다.

산림 당국은 당초 청송군과 영덕군 경계까지 확산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태풍급 강풍 탓에 산불은 이런 예측을 벗어났다. 건조한 날씨와 소나무 위주의 산림도 산불을 키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27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드론과 적외선 탐지 항공기, 미국 항공우주국(NASA) Suomi NPP 위성에 탑재된 가시적외선이미지센서(VIIRS) 등 첨단 장비를 동원한 경북 산불 화선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당국은 드론으로 촬영한 고해상도 지도와 해양경찰청의 고정익 항공기, 위성 사진 등의 정보를 활용해 구체적인 산불 이동 경로를 추적했다.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 확산 경로. 그래픽=송정근 기자


분석 결과 의성에서 타오른 산불은 건조한 봄 날씨와 순간최대풍속 27m의 태풍급 강풍에 안동과 영양, 청송, 영덕으로 비화(飛火)하며 확산한 것으로 조사됐다. 태풍 기준은 초속 17.5m 이상이다.

22일부터 24일까지 의성과 안동 부근에 머물던 산불은 강풍을 타고 확산하면서 25일 오후 2시쯤부터 12시간 만에 영덕 강구항까지 약 51㎞를 날아갔다. 시간당 속도는 8.2㎞다. 2019년 강원 속초·고성 산불 당시 확산 속도(5.2㎞)보다 무려 3㎞나 빨랐다.

이런 속도 때문에 당초 예상한 청송과 영덕 경계를 넘어 동해안까지 산불이 확산했다. 의성에서 영덕까지 직선거리는 78㎞인데, 산불이 초고속으로 날아가며 곳곳에 불씨를 뿌려 민가와 산림 등 피해도 커졌다.

원명호 국립산림과학원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장은 "산불 발생 3, 4일차부터 확산 속도가 빨라지면서 영덕까지 비화 역시 빠르게 진행됐다"며 "산불 위험 예측 프로그램 구동을 통해 우리나라 임상과 온도, 습도, 기상상태 등을 종합해 분석하는데, 이번에는 예측하지 못한 강풍 같은 기상 현상이 있었다"고 말했다.

27일 오전 경북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조계종 천년고찰 대전사에서 119산불특수대응단 대원들이 잠시 휴식하고 있다. 청송=뉴스1


산림 당국은 5m 해상도로 한 번에 120㎞를 촬영할 수 있는 농림 위성이 내년에 발사되면 기존 VIIRS 위성과 함께 활용할 계획이다. 두 위성으로 대형 산불 모니터링 정확도를 높이고 주민 대피 동선 확보와 산불재난 대응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당국은 이날도 산불 진화헬기 79대와 인력 4,635명 등을 동원해 진화에 총력을 기울였다. 현재 산불 피해 면적은 3만6,009㏊로 집계됐는데, 2000년 동해안 산불의 피해 면적(2만3,794㏊)을 뛰어넘은 역대 최대 규모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29 “거기 김○○ 있나요?”… ‘중국 공안’ ‘가짜경찰’ 음모론 이렇게 퍼졌다 랭크뉴스 2025.03.30
46228 "이 자세로 10초 못 버티세요? 10년 내 사망할 수도"…'수명 예측' 테스트 해보니 랭크뉴스 2025.03.30
46227 與, 野 줄탄핵 경고에 "명백한 내란 자백…제도적 체제 전복" 랭크뉴스 2025.03.30
46226 산림청장 "지리산 산불, 국립공원 외곽 200m 남아‥오늘 주불 진화 최선" 랭크뉴스 2025.03.30
46225 민주 "모레까지 마은혁 임명안하면 중대결심…모든 권한 행사"(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224 여성 한부모가족 소득, 전체 가구 ‘절반 수준’…70%는 “양육비 못 받아” 랭크뉴스 2025.03.30
46223 다시는 뛰지 못하는 ‘가자의 아이들’…“마취도 없이 수술”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30
46222 매번 ‘통화 중’인 전단지 속 전화번호···누구랑 통화하나 봤더니 랭크뉴스 2025.03.30
46221 경북경찰, 실화 성묘객 공식 입건..."조부모 묘소 정리 중 불났다" 랭크뉴스 2025.03.30
46220 “나무 꺾다 라이터로 태우려…” 의성 산불 최초 발화 의심 50대 입건 랭크뉴스 2025.03.30
46219 집에 혼자 있다 화재로 숨진 초등생…친모 ‘방임 혐의’ 검찰 송치 랭크뉴스 2025.03.30
46218 힐러리, 트럼프 직격 “얼마나 더 멍청해지려고” 랭크뉴스 2025.03.30
46217 명품 플랫폼 ‘발란’ 정산지연…결국 결제서비스 전면 중단 랭크뉴스 2025.03.30
46216 민주당, ‘이재명 산불 방화’ 가짜뉴스 유포 16명 고발…‘음모론’ 전한길엔 경고 랭크뉴스 2025.03.30
46215 박찬대 "한덕수, 4월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중대 결심" 랭크뉴스 2025.03.30
46214 서울시 대포킬러 업그레이드…정지 처리 기간 30일→48시간으로 랭크뉴스 2025.03.30
46213 [르포] 보일러 만드는 경동나비엔 ‘에코허브’의 변신... 주방기기 생산해 “3년내 국내 매출 1兆” 랭크뉴스 2025.03.30
46212 혼자 집에서 화재로 숨진 초등생…방임 혐의 친모 입건 랭크뉴스 2025.03.30
46211 지리산 산불, 국립공원 외곽 200m 남아…“진화 최선” 랭크뉴스 2025.03.30
46210 [속보] 박찬대 “한덕수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하면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