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대 등 의대생 일단 '등록'
연세대도 '등록 후 휴학' 결정
의대협, 미등록 투쟁 기조 유지
의대생 복귀 가능성 커졌지만
수업 거부땐 교육 파행 불보듯

[서울경제]

미등록 투쟁을 고수하던 서울대·연세대 의대생들이 학교 복귀를 선언하면서도 등록 후에도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제적은 피하되 휴학, 수업 불참 등의 방식으로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방침에 반대 의사를 표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40개 의대가 의대생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반려하기로 한 만큼 현재로서는 ‘수업 거부’를 투쟁 방식으로 택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서울대 의대 등의 복귀 결정으로 대규모 의대생 제적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피할 가능성은 높아졌지만 투쟁이 이어질 경우 내년 24·25·26학번이 동시에 수업을 듣게 되는 ‘트리플링’이 불가피해 의대 교육 파행을 막을 수 없게 된다.

서울대 의대 의정 갈등 대응 태스크포스(TF)는 27일 의대생들의 복귀 여부를 놓고 실시한 투표 결과를 전하면서 “미등록 휴학으로 투쟁을 이어나가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등록 후 투쟁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미등록 시 제적이라는 학교 측의 강경 대응과 복귀 호소에 일단 학교에 돌아가기는 하겠지만 백기를 들지는 않겠다는 설명이다. 앞서 연세대 의대생도 서울대 의대생과 같은 길을 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연세대 의대 비상시국대응위원회는 전날 휴학 방식을 ‘등록 후 휴학’으로 바꾸겠다고 학생들에게 안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생들의 미복귀 단일대오는 사실상 붕괴됐지만 투쟁 기조가 흔들리는 것은 아닌 만큼 의대생들이 1학기 등록을 마쳐도 수업 정상화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수도권 의대 교수는 “등록 자체가 정부 정책을 인정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의대생들이 등록 이후 수업에 참여할지는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전국 의대생을 대표하는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 역시 미등록 투쟁 의지를 꺾지 않고 있다.

의대협은 이날 “서울대와 연대 일부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 38개 단위는 여전히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며 “적법한 휴학원을 우리 스스로 찢어야 할 이유는 없다”고 강조했다. 40개 의대 중 처음으로 등록 후 투쟁으로 선회한 연대 의대도 직격했다. 의대협은 “대의원으로서 각 단위의 형평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었으나 자신의 안위를 위해 39개 단위를 져버렸다”며 “사태 종결은 오직 총회원의 의사를 반영해야 하며 한 개인의 선언으로 결정돼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다만 두 대학 의대생들이 등록 의사를 밝히면서 의대생 대규모 제적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일단 서울대와 연대 의대생들이 학내 의견을 수렴해 등록하기로 결정한 만큼 전원 복귀의 가능성이 높아졌다. 고려대의 경우 아직 학생들의 입장을 대표할 만한 입장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등록 마감 직후 등록 의사를 밝히는 학생들이 급증하고 있어 미등록으로 제적을 통보 받는 학생은 많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3개 대학 의대생들의 복귀가 타 의대 학생들의 등록 결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날 서울대를 비롯해 이화여대·부산대·영남대 등 7개 의대가 등록 모집을 마감한다. 대부분의 의대는 복귀 데드라인을 이달 말로 설정했다. 지방 국립대 의대의 한 교수는 “SKY의 등록 움직임은 다른 의대 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며 “등록을 고심하는 타 대학 의대생들도 복귀를 선택할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17 “통장 0원 찍혔지만…” 번식장 60마리 구한 주인공 [개st하우스] 랭크뉴스 2025.03.29
45816 헌재 “피청구인 윤석열 파면” 선언할 때다 [김민아의 훅hook] 랭크뉴스 2025.03.29
45815 뉴턴 사과나무도 직접 본다…'한강의 기적' 함께한 이곳 개방 랭크뉴스 2025.03.29
45814 [속보] 경북 안동·의성 산불, 부분 재발화‥헬기 투입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3.29
45813 미얀마 7.7 강진에…美 "사망자 1만명 넘을 가능성 70% 넘어" 랭크뉴스 2025.03.29
45812 “애타는 이재민·가족들 위해” 지리전공 대학생들이 만든 ‘대피 지도’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3.29
45811 안동·의성 산불 재발화…긴급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3.29
45810 "51번째 주라고? 캐나다가 美 인수 가능" 이런 계산 나왔다 [세계한잔] 랭크뉴스 2025.03.29
45809 우의장, 한 대행에 권한쟁의심판…여 “또 헌재·한 대행 겁박” 랭크뉴스 2025.03.29
45808 [속보] 도로공사 "중앙고속도 남안동∼서안동IC 통행 재개" 랭크뉴스 2025.03.29
45807 안동 이어 의성 산불 재발화...산림당국 "헬기 투입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3.29
45806 韓 기업들 어쩌나...트럼프 때문에 '초비상' 랭크뉴스 2025.03.29
45805 안동·의성 산불, 부분 재발화…헬기 투입 진화작업(종합) 랭크뉴스 2025.03.29
45804 尹 탄핵 선고 연기에…여야, 3월 마지막 주말 ‘장외 총력전’ 랭크뉴스 2025.03.29
45803 꺼져가던 산불 밤새 살아나…안동 이어 의성도 다시 번진다 랭크뉴스 2025.03.29
45802 트럼프 "상호관세, 협상 가능해" 랭크뉴스 2025.03.29
45801 “설마 했는데”…산불 재발화, 남안동∼서안동IC 전면 차단 랭크뉴스 2025.03.29
45800 [산불 속보 (오전)] 경북 안동·의성 일부 산불 재발화…헬기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3.29
45799 엇갈린 이재명 선거법 1·2심…예측 불가 대법원 판단 [서초동 야단법석] 랭크뉴스 2025.03.29
45798 안동 이어 의성 신평 등 일부 지역도 부분 재발화…헬기 6대 투입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