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부동산원, 3월 넷째주 아파트 가격동향 조사
서울 아파트 주간 매매지수 상승률 0.25→0.11%
송파 1년1개월만 하락···강남·서초·용산도 반토막
강남3구·용산구 토허구역 지정에 관망 심리 확대
서울 시내 아파트. 연합뉴스

[서울경제]

강남·서초·송파구 등 강남 3구와 용산구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면서 1주일 만에 서울 아파트 상승률이 반 토막 난 것으로 나타났다. 토허구역 지정 해제 후 집값 급등 현상을 기록한 송파구의 경우 1년여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정부와 서울시가 시장 상황에 따라 토허구역 추가 지정을 경고한 만큼 당분간 관망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2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월 넷째 주(2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주 대비 0.11% 상승했다. 상승세를 이어가고는 있지만 1주일 전(0.25%)과 비교하면 상승 폭이 절반 넘게 줄었다.

이달 24일부터 강남 3구와 용산구가 토허구역으로 재지정되고 전세를 안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금지되면서 주요 지역의 상승세가 둔화됐다. 강남구의 상승 폭은 지난주 0.83%에서 이번 주 0.36%로 대폭 하락했고 서초구 역시 0.69%에서 0.28%로 떨어졌다.

특히 지난주 0.79%의 상승률을 기록했던 송파구는 이번 주 0.03% 떨어지면서 지난해 2월 둘째 주 이후 1년 1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지난달 13일 잠실·삼성·대치·청담동 등 ‘잠삼대청' 토허구역 지정 해제 이후 갭투자가 성행했던 잠실동의 매매 열기가 급격히 식은 여파다. 19일 정부와 서울시의 토허구역 확대가 발표되고 중개업 단속이 강화되자 잠실동 ‘엘리트(엘스·리센츠·트리지움)’ 단지에는 매도 호가를 수억 원씩 내린 급매물이 나왔다.

용산구도 0.18% 올랐지만 전주(0.34%)에 비하면 상승 폭이 반 토막 났다. 마포(0.29%→0.21%)와 △성동(0.37%→0.35%) △동작(0.20%→0.17%) △광진(0.25%→0.15%) △영등포구(0.21%→0.10%) 등 한강변에 위치한 자치구들도 하락을 면치 못했다.

목동이 있는 양천구의 경우 0.29%를 기록하며 지난주(0.32%)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목동은 토허구역으로 계속 묶여왔지만 최근 재건축에 속도가 붙으면서 구축 아파트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목동 신시가지 14개 단지는 지난해 8월 6단지를 시작으로 8·12·13·14단지 등 5곳이 정비구역으로 지정됐고, 4·5·7·9·10단지는 정비구역 지정안 주민공람을 완료했다.

정부와 서울시가 토허구역 추가 지정 가능성을 암시한 만큼 당분간 관망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부동산원의 한 관계자는 “재건축 등 일부 선호 단지에선 상승 거래가 체결되고 있지만 국지적인 급매 수요와 관망 심리 확대로 상승 폭이 지난주보다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경기는 지난주에 이어 이번 주도 보합(0.00%)을 기록한 가운데 인천은 0.07% 내리며 하락폭을 확대했다. 최근 급등세를 보인 과천의 경우 0.55%를 기록했다. 과천 상승률은 3월 둘째주(0.71%)를 정점으로 하향세를 보였지만 서울 주요 지역의 상승 폭을 웃돌고 있다.

수도권 전체 가격 상승률은 지난주보다 0.04%포인트 줄어든 0.03%로 집계됐다. 지방은 0.04% 떨어지며 전주와 같은 하락 폭을 나타냈다. 5대 광역시(-0.05%→-0.06%)와 8개도(-0.02%→0.03% ) 모두 하락 폭이 확대됐다.

전국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0.02% 오르며 지난주(0.01%)보다 상승 폭이 소폭 커졌다. 서울(0.07%→0.06%)은 상승 폭이 축소된 반면 지방(-0.02%→-0.01%)은 하락 폭이 축소됐다. 수도권(0.04%)은 지난주와 상승 폭이 같았다.

토허구역 확대 지정으로 서울 전세값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지만 올해 입주 물량이 줄줄이 대기 중이어서 당장 큰 혼란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1월부터 동대문구 이문동에서 래미안 라그란데(3069가구) 입주가 진행 중이고 조만간 성북구 장위동에서 장위자이레디언트(2840가구) 입주가 시작된다. 6월 동대문구 휘경동에서 휘경자이 디센시아(1806가구), 11월 이문동에서 이문아이파크자이(4321가구)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또 다른 관계자는 “역세권과 대단지 등 선호단지 중심으로 상승계약 체결이 지속되고 있다”며 “하지만 일부 입주 영향이 있는 지역과 구축 단지에서 전세가격이 하락하면서 서울 전체에서는 상승 폭이 소폭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79 이재명, 한덕수에 수차례 회동 제안…총리실 “경제·민생 우선” 답신 안 해 랭크뉴스 2025.03.31
46878 "일본 놀러 가면 꼭 먹었는데"…유명 덮밥집, '쥐' 이어 '바퀴벌레' 나오자 결국 랭크뉴스 2025.03.31
46877 김수현 "故김새론 미성년자 때 교제 안해…수사기관 통해 검증"(종합2보) 랭크뉴스 2025.03.31
46876 이재명 '한화 경영승계' 거론하며 "韓, 기어이 상법 거부할건가" 랭크뉴스 2025.03.31
46875 역대 최악의 산불…피해 규모 1조 원 넘을 듯 랭크뉴스 2025.03.31
46874 "불신 소용돌이에 빠진 미국과 동맹…종합격투기가 된 국제질서" 랭크뉴스 2025.03.31
46873 "전복죽 800인분 싣고 300km"…안유성, 이번엔 산불 현장 찾아 랭크뉴스 2025.03.31
46872 이재명, 한화 경영승계 콕 짚어 "韓대행, 기어이 상법 거부할 건가" 랭크뉴스 2025.03.31
46871 "탄핵 각오한 것 같다"…한덕수, 상법 거부권 서두르고 돌연 이천행 랭크뉴스 2025.03.31
46870 증권사 요즘 왜 이래… 신한證, 멀쩡한 ‘캐시우드 ETF’ 상폐 안내 후 정정 랭크뉴스 2025.03.31
46869 김수현 눈물의 회견 후 반격…"김새론 유족·가세연에 120억 손배소" 랭크뉴스 2025.03.31
46868 40분 울먹인 김수현 "김새론과 1년 교제... 유족 측에 120억 손배소" 랭크뉴스 2025.03.31
46867 헌재가 돌려보낸 한덕수, 침묵하며 '헌재 무시' 랭크뉴스 2025.03.31
46866 故휘성, 국과수 부검 결과 나왔다…"범죄 혐의점 없어" 랭크뉴스 2025.03.31
46865 野 "한덕수·최상목 마지막 경고"... 내일 마은혁 미루면 '쌍탄핵' 돌입 랭크뉴스 2025.03.31
46864 “미성년자이던 시절 교제하지 않았습니다”…눈물 보인 김수현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3.31
46863 여야, 野 '쌍탄핵' 가능성에 4월 임시국회 일정 충돌(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862 [영상] “하필 그때 지진이”…유리벽 매달린 청소부 ‘아찔’ 랭크뉴스 2025.03.31
46861 '순대 6조각 2만5000원'에 "오마이갓"…봄축제서 또 속았수다 랭크뉴스 2025.03.31
46860 김수현, 故 김새론 유족 측에 “가짜 증거로 명예훼손” 고소… ‘120억’ 소송도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