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싱크홀 발생지점 지하에 지하철 터널 공사
'싱크홀 현장' 방향 비추던 CCTV 나흘 전 고장
사고 원인·책임소재 규명 증거 확보 난항
지난 24일 오후 서울 강동구 한영외고 앞 도로에서 지름 20m, 깊이 18m가량의 대형 싱크홀(땅 꺼짐)이 발생한 가운데 25일 경찰이 사고 현장을 통제하고 있다. 하상윤 기자


1명이 사망한 서울 강동구 명일동 싱크홀(땅 꺼짐) 발생 지점 지하 굴착 공사 현장에 설치된 폐쇄회로(CC)TV가 고장나 사고 당시 장면이 녹화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상황을 규명할 결정적인 실마리가 사라진 셈이라 사고 원인과 책임 소재를 규명하는 데에도 난항이 예상된다.

27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25일 싱크홀이 생긴 동남로 지하에서는 지하철 터널 굴착 공사가 진행 중이었으나 시공사 측이 공사 현장에 설치한 CCTV는 사고 나흘 전부터 작동하지 않았다. 서울시는 사고 당일 오전 시공사로부터 CCTV가 고장나 수리 중이라는 보고를 받았지만, 불과 몇 시간 뒤 사고가 발생했다.

이 공사는 현 9호선 종점인 강동구 중앙보훈병원역부터 고덕강일1지구까지 잇는 4단계 연장사업이다. 중앙보훈병원역을 시작으로 길동생태공원·한영외고·고덕역, 고덕강일1지구까지 4.12㎞ 구간에 4개 역을 신설하는데, 사고지점은 대우건설·KCC건설 등 5곳이 참여한 대우건설 컨소시엄의 보훈병원역~한영외고역 1공구에 해당한다. 당시 도로 바로 아래 상수도관이 지나는 11m 깊이 싱크홀에 더해, 그 보다 더 깊은 곳에서 공사 중인 9호선 터널 상층부도 무너지며 오토바이 운전자 박모(34)씨가 18m 아래로 추락했다.

시공사는 해당 공사 현장에 CCTV 4대를 설치했지만, 하필 공사 현장 출입구(터널 끝)에 설치돼 80m 가량 떨어진 싱크홀 발생 지점 쪽 내부를 비추던 유일한 CCTV가 사건 발생 전인 21일 오후 2시 고장났고, 사고 당일까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고 직후 시공사 측에 CCTV 자료를 요청했지만, 제출받지 못했다"며 "공사 현장 CCTV가 시 서버와 연결돼 있어 확인한 결과, 21일부터 공사 현장(터널 내부) 촬영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사고 원인 따라 책임 소재 갈리는데... 결정적 장면 증발

26일 오전 서울 강동구 싱크홀(땅 꺼짐) 사고 현장에서 관계자들이 복구작업 준비를 하고 있다. 뉴시스


사고 원인으로 ①지하철 9호선 연장 굴착 공사(시공사 책임) ②상수도관 누수(서울시 책임)가 지목되는 가운데 원인 규명에 상당한 도움을 줄만한 단서가 사라진 것이다. 실제로 사고 직전 야간작업에 투입된 작업자들은 터널에 들어갔다 누수를 확인하고 이상 징후를 느껴 대피했다고 했으나 서울시는 상수도관 파열이나 누수 증거는 확인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CCTV 고장으로 사고 전후 공사 현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부재해, 원인 규명이 지체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시공사 관계자는 "굴착 작업으로 먼지가 많이 발생하고, 작업자들의 이동도 많은 구간이라 CCTV가 고장난 것으로 추정된다"며 "나머지 제출 가능한 CCTV 자료는 최대한 제출해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국토교통부와 중앙지하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사고 원인을 규명할 계획이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31 중상자 1명 추가 사망‥총 사망자 30명 랭크뉴스 2025.03.29
45930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명 넘어…부상자 2천376명(종합) 랭크뉴스 2025.03.29
45929 "MZ들이 쓸어 담더라"…불교박람회 품절 대란 '스밀스밀'이 뭐야? [이슈, 풀어주리] 랭크뉴스 2025.03.29
45928 가방에 뭘 주렁주렁 다냐고? 귀여운 게 최고잖아요 랭크뉴스 2025.03.29
45927 꽃샘추위에도 "탄핵무효"…탄핵반대 광화문 대규모 집회 랭크뉴스 2025.03.29
45926 "해고된 직원이 가게 인스타 삭제, 분통터져요"…보복성 행위에 법원이 내린 판결 랭크뉴스 2025.03.29
45925 90년 삶이 알려준 것...“용서하고 베풀고 사랑하라” 랭크뉴스 2025.03.29
45924 [속보] 경남 산청·하동 산불, 오후 3시 현재 진화율 99% 랭크뉴스 2025.03.29
45923 테슬라 31점 VS 웨이모 87점…머스크 ‘자율주행 낙제점’ 왜 [김기혁의 테슬라월드] 랭크뉴스 2025.03.29
45922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명 넘어…미 지질조사국 “1만명 넘을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921 윤택 "연락 닿지 않는 자연인 있다… 산불 피해 안타까워" 랭크뉴스 2025.03.29
45920 "천국에서 만나요"...의성 산불 끄다 숨진 헬기 기장 영원히 하늘로 랭크뉴스 2025.03.29
45919 경남 산청 산불 9일째, 험준한 산세에 지리산 권역 주불 진화 난항 랭크뉴스 2025.03.29
45918 남부 지역엔 벚꽃, 중부 지역엔 눈보라…이상 현상에 시민들 “황당” 랭크뉴스 2025.03.29
45917 국군 장병 600명, 오늘도 산불 끄러 간다…“필요시 5100명 추가 투입” 랭크뉴스 2025.03.29
45916 머스크, 자신의 AI 기업 xAI에 2022년 인수한 X 매각 랭크뉴스 2025.03.29
45915 "살려줘요" 비명에 맨손 구조…사망자 1000명 '아비규환' 미얀마 랭크뉴스 2025.03.29
45914 “즉각 인용” vs “원천 무효”… 尹 대통령 탄핵 찬반 단체 전국서 집결 랭크뉴스 2025.03.29
45913 미얀마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어… "1만 명 이상 사망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912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000명 넘어서”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