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체 화장 시설 없는 경북 청송
안동 '포화' 의성 '산불' 이용 불가
27일 경북 청송군 주왕산국립공원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청송=뉴시스


경북 의성에서 시작돼 북부권으로 번진 '괴물 산불'로 숨진 청송 지역 희생자 3명의 장례가 100㎞ 넘게 떨어진 대구시에서 치러진다. 청송엔 화장 시설이 없는데 인근 의성, 안동의 화장 시설마저 이용할 수 없어서다.

27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경북 청송군보건의료원 장례식장에 안치된 사망자 3명은 대구에서 장례 절차를 마무리하기로 했다. 대구가 자녀의 거주지라 그곳을 택한 1명의 고인을 뺀 나머지 2명은 어쩔 수 없이 경북 바깥으로 나가게 됐다. 경북도의회 관계자는 "청송엔 자체 화장 시설이 없어 인접한 의성, 안동의 화장 시설을 이용하는데 이번 산불로 이마저도 녹록지 않게 돼 희생자 분들을 편히 모실 수 없게 됐다"고 씁쓸해했다.

공공데이터포털상 경북 화장 시설은 지난해 기준 12곳이다. 포항에 2곳 △경주 △김천 △안동 △영주 △상주 △문경 △의성 △울릉 △구미 △울진에 1곳씩 있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경북의 사망자 수는 2만7,385명(2022년 기준)으로 17개 시도 가운데 경기(7만4,239명), 서울(5만1,622명)에 이어 3번째로 많아 평소에도 화장 수요가 적잖은 편이다.

더구나 청송의 경우 자체 화장 시설이 없어 차로 각각 50분, 1시간 거리의 의성과 안동까지 가야한다. 그러나 안동 화장 시설은 포화 상태고 의성 화장 시설은 주변부가 산불에 초토화돼 이용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에도 불길이 시설 바로 앞까지 오는 등 극도로 위험한 상태라 가동을 최소화하고 있다고 한다. 결국 유족들에게 남은 선택지는 대구뿐이었다. 청송에서 대구는 114㎞, 차로 2시간 가까이 걸린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63 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소환통보…“정치 탄압 칼춤” “법 위 군림 안돼” 랭크뉴스 2025.03.29
46062 ‘지진 피해’ 미얀마 군사정권, 국제 사회에 인도적 지원 요청 랭크뉴스 2025.03.29
46061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 명 넘어…‘건물 붕괴’ 지금 방콕은? 랭크뉴스 2025.03.29
46060 외교정책 비판도 ‘테러 옹호’ 규정…SNS 뒤져 비자 문턱 높이겠다는 미국 랭크뉴스 2025.03.29
46059 프로야구 30일 NC-LG 창원 경기 취소… 구조물 추락 사고 여파 랭크뉴스 2025.03.29
46058 산불 피해 반려견 사료 2톤 도난…“청년 대여섯명이 실어가” 랭크뉴스 2025.03.29
46057 산불로 폐허가 된 마을[현장 화보] 랭크뉴스 2025.03.29
46056 창원NC파크서 철제구조물 추락… 여성 2명 중경상 랭크뉴스 2025.03.29
46055 ‘입꾹닫’하고 사는 세상, 용기 내볼까[이다의 도시관찰일기] 랭크뉴스 2025.03.29
46054 ‘고중량 운동’하는 남성, 이 병을 조심하자[수피의 헬스 가이드] 랭크뉴스 2025.03.29
46053 보통 50~60km 깊이인데… 너무 얕은 '10km 진원'이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
46052 “헌재 빨리 판단 내려야”…주말 탄핵 찬반 집회 랭크뉴스 2025.03.29
46051 이재명 "국힘 '골프사진 조작' 비판…진실 직시해야" 랭크뉴스 2025.03.29
46050 일요일 아침 ‘꽃샘추위’ 영하권… 전국 건조하고 강풍 랭크뉴스 2025.03.29
46049 창원 NC 구장 추락 구조물, 관중 덮쳤다…30일 LG전 경기 취소 랭크뉴스 2025.03.29
46048 美군기밀 유출 특종기자 "트럼프 거짓말에 다 까발리기로 결심" 랭크뉴스 2025.03.29
46047 일요일도 꽃샘추위 기승…경상권 강풍에 대기 건조 랭크뉴스 2025.03.29
46046 경남 산청 산불 진화율 99%…1m 낙엽층에 진화 지연 랭크뉴스 2025.03.29
46045 1165회 로또 1등 ‘6, 7, 27, 29, 38, 45’···보너스 번호 ‘17’ 랭크뉴스 2025.03.29
46044 “더는 못 기다린다 탄핵이 답”…시민들, 헌재 앞 간절한 외침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