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7일째 이어진 경남 산청군 산불이 전날(26일) 밤사이 지리산 국립공원 방향으로 더 확산했다. 국립공원 내 화마(火魔)가 영향을 미친 범위는 축구장(면적 0.714㏊) 42~56개 규모일 것으로 추정된다. 산림당국은 일반 헬기보다 담수량이 최대 5배 큰 미군 대형 헬기를 포함 총 29대 헬기를 산불 현장에 투입, 진화에 나선다.

미군 시누크 헬기. 지난해 3월 20일 오전 경기 연천군 임진강에서 열린 한미연합 제병협동 도하훈련에서 미군 시누크 헬기가 전술부교를 강 위에 놓고 있는 모습. 뉴스1


“국립공원 내 산불 영향 30~40㏊ 추정”
27일 산림 당국에 따르면 산불은 전날 오후 경남 산청군 구곡산 정상(961m) 부근을 지나 지리산국립공원 경계를 넘어 확산 중이다. 깊은 골짜기를 따라 강한 바람과 함께 돌풍이 일면서 구곡산 불길이 지리산까지 번진 것이다.

산림 당국과 지리산국립공원경남사무소가 추정한 공원 내 산불영향구역은 30~40ha다. 산림청 관계자는“연무가 심해 장비로 직접 확인한 게 아니어서 정확하진 않다”면서도 “나무가 빽빽해 그 밑에 상황을 알 수가 없다. 밤새 불길이 더 파고든 것으로 본다”고 했다.

김영옥 기자
박완수 경남지사는 “대한민국 1호 국립공원을 지켜내야 할 절체절명의 순간”이라며 “중앙정부 차원의 신속하고 전폭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했다. 지리산국립공원은 산세가 험하다. 또 원시림이 잘 보존된 곳이 많아 멸종위기 야생동물인 반달가슴곰 등 희귀 야생동물 서식지다.



일반 헬기 5배 물 폭탄 쏠 미군 헬기 온다
하지만 산림당국은 험준한 산악지형 때문에 지리산에 진화 인력 투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바람도 문제다. 기상청은 산청 산불 현장에 오후 한때 초속 10m 이상의 강풍이 불 것으로 예상했다. 바람과 함께 불길이 확산하면 진화대원 안전도 위험하다.

경남 산청·하동 산불 일주일째인 27일 오전 지리산과 인접한 산청군 시천면 동당마을 위로 산불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뉴스1
이에 산림당국은 진화 헬기를 통해 지리산 산불 확산을 저지할 계획이다. 우선 물을 뿌려 불길을 잡고, 산불 지연제(리타던트)를 투하해 재발화하는 불길을 저지하겠단 생각이다. 이날 산림당국이 운용할 헬기는 29대다. 이중 미군 헬기 4대도 투입한다. 시누크(CH-47) 1대와 유에이치60(UH-60) 헬기 3대다. 담수 용량이 5t인 시누크는 대형 헬기다. 유에이치는 1.5t이라는 게 군 당국 설명이다. 여기에 우리 군 헬기 5대도 투입된다. 의료용 헬기 1대를 제외한 4대가 시누크다.

군 헬기는 기본적으로 담수용량이 크다. 지자체 임차 헬기(1~1.2t 담수) 헬기보다 최대 5배(시누크 기준) 많은 물을 한 번에 뿌릴 수 있다. 현재 산청 산불 현장에 투입 중인 산림청 대형 헬기인 에스64(S64·담수량 8t) 1대를 제외하면 시누크 담수량이 가장 크다.

산림청 관계자는 “헬기 대수보다 용량이 더 중요하다”며 “한 방에 뿌리는 게 더 효과적이어서 일반 3대보다 대형 1대가 더 낫다”고 했다. 미군 헬기에는 우리 군 조종사가 함께 탑승한다. 미군 헬기 조종사가 처음 접하는 지리이고,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산불 현장에는 연무(연기와 안개)가, 군 헬기가 대기 중인 사천공항에는 구름이 껴 아직 출동하지 못하고 있다.

산림청 공중진화대와 산불재난특수진화대가 26일 밤부터 27일 새벽 사이 경남 산청군 시천면 동당리 일대에서 민가와 지리산을 지키기 위해 산불과 사투를 벌이고 있다. 뉴스1


“하동 완진 목표…다 잡으면 지리산 집중”
산림 당국은 불길이 확산한 하동은 전날 야간 진화 작업으로 불길이 많이 잡혔다고 했다. 산림 당국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오늘 중 완전 진압이 목표”라며 “일찍 불길을 다 잡아 인명·재산 피해를 막으면, 모든 인력과 장비를 지리산에 집중할 수 있다”고 했다.

한편, 이날 오후부터 비 소식 예보됐다. 하지만 산청·하동 산불 현장에는 5㎜의 적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측됐다. 오전 9시 기준 산청·하동 산불 진화율은 77%로 전날 오후와 별 차이 없었다. 전체 화선 67㎞ 중 남은 불의 길이는 16㎞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56 민간 기업이 무기체계 제안한다… 방사청, 도입형태 변경 랭크뉴스 2025.03.31
46555 국민의힘 36.1%·민주 47.3%…정권 교체 57.1%·연장 37.8%[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3.31
46554 [속보] 2월 산업생산·소비·투자 모두 증가… 1월 부진 기저효과 영향 랭크뉴스 2025.03.31
46553 [마켓뷰] "기댈 곳이 없네" 관세·경기우려에 공매도까지 사면초가 코스피 랭크뉴스 2025.03.31
46552 제2의 티메프 되나… 정산금 밀린 발란, 결국 결제까지 중단 랭크뉴스 2025.03.31
46551 이 회사 없으면 삼성도 TSMC도 없다… "AI산업, 창소년기 접어들어"[김현예의 톡톡일본] 랭크뉴스 2025.03.31
46550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새 6배 넘게 증가" 랭크뉴스 2025.03.31
46549 "미국 해방일" 온다…협상 없는 관세 전쟁 드라이브[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③] 랭크뉴스 2025.03.31
46548 “반트럼프, 반USA”…트럼프가 불지핀 분열 [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②] 랭크뉴스 2025.03.31
46547 '자사고 희망' 초1 사교육비 월 59만 원...5년 새 두 배 늘어난 까닭은 랭크뉴스 2025.03.31
46546 “이렇게 될 줄이야”..논란의 ‘백설공주’, 처참한 성적 랭크뉴스 2025.03.31
46545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전 대비 6.1배 많아져" 랭크뉴스 2025.03.31
46544 공짜 와인이 태안 해변에 깔렸다…캘리포니아의 로드트립 유혹 랭크뉴스 2025.03.31
46543 최상목에게 국민을 위한 나라는 있는가[정동칼럼] 랭크뉴스 2025.03.31
46542 오늘 의대생 복귀시한 '디데이'…집단휴학 사태 종지부 주목(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541 현대차 한국 공장 품질 초월한 미국 공장 가보니…로봇 수 백 대 '행렬' 랭크뉴스 2025.03.31
46540 [단독]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 "월1회 주사 맞는 장기제형 플랫폼 개발…비만 치료제에 우선 적용할 것" 랭크뉴스 2025.03.31
46539 법은 실수도 응징했다...봄철 산불에 유독 엄한 이유 있었다 랭크뉴스 2025.03.31
46538 미국인들이 신차 뽑으려고 줄 선 이유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3.31
46537 '챗GPT 지브리풍 그림' 유행 올라탄 백악관... "부적절" 논란, 왜?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