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P, 한국과 뉴질랜드만 큰 폭 하향 조정
다른 아시아 국가들 소폭 조정과 대조적
중국은 성장률 그대로 유지
수출용 자동차들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주요 글로벌 신용평가사(S&P 글로벌)의 분석에 따르면 미국의 관세 압박과 최근 경기 부진으로 인해 한국의 올해 성장률이 아시아 국가 중 가장 크게 하향 조정(2.0%→1.2%)된 것으로 나타났다. S&P 글로벌에서 미국의 관세 압박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내리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 것과 대조적이다. 특히 일본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1.2%로 전망돼 한국이 일본에 또 다시 2년 만에 역전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글로벌 신용평가사 S&P 글로벌이 최근 발표한 2025년 2분기 아시아태평양 경제 전망 보고서를 단독 입수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2025년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의 2.0%에서 1.2%로 0.8%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이번 전망치 하향 조정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에서 가장 큰 폭이며, 뉴질랜드와 함께 예외적인 사례로 꼽혔다.

S&P 글로벌은 한국과 뉴질랜드만 성장률 전망치를 크게 하향 조정하고,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 대해서는 성장률 전망치를 소폭 조정하는데 그쳤다.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크게 하향 조정한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이유로 요약된다. 첫 번째 이유는 한국의 2024년 말 예상보다 부진했던 경기 흐름 때문이다. 제조업 부진과 수출 위축으로 인해 경기 회복 동력이 약화된 상황인 것이다. 둘째로 미국의 관세 인상 정책이 자동차 산업 중심으로 한국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해당 보고서를 직접 작성한 루이스 쿠이스 아태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가 크게 하향 조정된 이유는 경기 부진과 미국의 자동차 관세 영향이 맞물렸기 때문”이라며 “이러한 관세 정책이 지속될 경우 한국 경제는 장기적인 어려움에 처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서 그는 “중국과 인도 등 주요 신흥국들은 견조한 국내 수요 덕분에 외부 충격을 상대적으로 잘 흡수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미국 정부는 중국 수입품에 추가로 20%의 관세를 부과하고, 캐나다 및 멕시코 일부 제품에도 25% 관세를 적용하면서 글로벌 무역 긴장을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 주요 품목에도 관세 부과를 추진하고 있어, 자동차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 경제에 직접적 충격을 줄 것으로 S&P는 분석했다.

반면 중국의 경우 미국 관세 인상에도 불구하고 2024년 말 경제 성과가 예상보다 양호했고, 정부의 강력한 재정 부양책과 경제 성장 목표 상향 조정 덕분에 2025년 GDP 성장률 전망치를 4.1%로 그대로 유지했다. 중국 정부는 올해 GDP 성장 목표를 5%로 설정하고 정부 적자 및 특별채권 발행을 늘려 경제 부양을 강화하고 있다.

일본 경제도 2024년 4분기에 예상보다 견고한 성장을 기록했으며, 근원 소비자 인플레이션도 2025년 초 2.6% 수준으로 상승했다. 또한 일본의 주요 기업들이 임금 협상에서 평균 5.4%의 임금 인상을 합의하면서 소비 기반의 확대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러한 긍정적인 신호로 인해 일본 중앙은행은 향후 점진적인 금리 인상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되며, S&P 글로벌은 2027년 말까지 일본의 기준 금리가 중립 수준인 1.5%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일본 경제의 양호한 경제 흐름으로 인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한국(1.2%)과 같아졌다. 이로 인해 2023년에 이어 2년 만에 또 다시 한국이 일본에 역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아시아태평양 다른 국가들도 외부 충격에도 국내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되면서 GDP 전망 하향 조정 폭이 크지 않았다. 특히 인도는 내수 시장의 강력한 수요를 바탕으로 올해 6.5% 성장이 예상된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등 일부 국가들은 미국의 특정 품목 관세로 인해 GDP 성장률이 다소 위축될 것으로 보이지만,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라는 것이 S&P 글로벌의 분석이다.

경제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아태지역 각국의 중앙은행들은 금리 인하를 통해 대응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하여 호주, 뉴질랜드, 인도, 대만 등이 이미 금리 인하를 시작했고, 이러한 완화 기조는 올해 하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S&P 글로벌은 글로벌 경제 환경 변화에 따라 추가적인 전망치 조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999 [르포] 폐부를 찌르는 '죽음의 냄새'… 미얀마 지진 '골든 타임'은 끝났다 랭크뉴스 2025.04.03
47998 [단독] 요양원서 심혈관 약 처방 누락…80대 노인, 3개월 만에 사망 랭크뉴스 2025.04.03
47997 금융당국의 유상증자 오락가락···한화에어로는 제동, 삼성SDI는 승인? 랭크뉴스 2025.04.03
47996 탄핵선고 D-1…'진공상태' 헌재 인근 도로통제로 출근길 정체 랭크뉴스 2025.04.03
47995 [속보] 한덕수, 긴급 경제안보전략 TF… 트럼프 관세 대응책 논의 랭크뉴스 2025.04.03
47994 철강·자동차·반도체는 상호관세 예외… “기존 관세 품목엔 미적용” 랭크뉴스 2025.04.03
47993 흑석산에 뜬 헬기…경찰관이 맨몸으로 산 오른 이유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03
47992 “설마 저희 아기일 줄은” 태어난 지 9일 된 신생아에 간호사가 저지른 일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3
47991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49% 상호관세… 한국 25% 랭크뉴스 2025.04.03
47990 야권, 기초단체 4곳 석권‥부산교육감도 진보 랭크뉴스 2025.04.03
47989 [단독] "사즉생" 이재용, 시진핑 이어 이시바 만난다…전장 세일즈 랭크뉴스 2025.04.03
47988 韓 상호관세 25%, 日, EU보다 높다, 車 합산은 안 해[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4.03
47987 트럼프 “한국에 상호관세 25%” 중국 34%·일본 24%·EU 20% 부과 랭크뉴스 2025.04.03
47986 [인턴이간다] 화마와 싸우는 소방관들…'정원치유'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랭크뉴스 2025.04.03
47985 부산교육감 재선거, '진보진영' 김석준 당선…득표율 51.13% 랭크뉴스 2025.04.03
47984 박근혜 때처럼…헌재, 윤 탄핵 결정문에 사회 통합 ‘보충의견’ 내놓나 랭크뉴스 2025.04.03
47983 트럼프, 한국에 25% 상호관세…中 34% 日 24% EU 20% 부과 랭크뉴스 2025.04.03
47982 韓대행, 美 상호관세 발표에 긴급경제안보전략TF 주재 랭크뉴스 2025.04.03
47981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 관세…한국에 25% 부과” 랭크뉴스 2025.04.03
47980 인류 최장수 117세 스페인 할머니 DNA를 분석했더니…[이환석의 알쓸유이]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