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P, 한국과 뉴질랜드만 큰 폭 하향 조정
다른 아시아 국가들 소폭 조정과 대조적
중국은 성장률 그대로 유지
수출용 자동차들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주요 글로벌 신용평가사(S&P 글로벌)의 분석에 따르면 미국의 관세 압박과 최근 경기 부진으로 인해 한국의 올해 성장률이 아시아 국가 중 가장 크게 하향 조정(2.0%→1.2%)된 것으로 나타났다. S&P 글로벌에서 미국의 관세 압박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내리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 것과 대조적이다. 특히 일본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1.2%로 전망돼 한국이 일본에 또 다시 2년 만에 역전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글로벌 신용평가사 S&P 글로벌이 최근 발표한 2025년 2분기 아시아태평양 경제 전망 보고서를 단독 입수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2025년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의 2.0%에서 1.2%로 0.8%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이번 전망치 하향 조정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에서 가장 큰 폭이며, 뉴질랜드와 함께 예외적인 사례로 꼽혔다.

S&P 글로벌은 한국과 뉴질랜드만 성장률 전망치를 크게 하향 조정하고,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 대해서는 성장률 전망치를 소폭 조정하는데 그쳤다.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크게 하향 조정한 데에는 크게 두 가지 이유로 요약된다. 첫 번째 이유는 한국의 2024년 말 예상보다 부진했던 경기 흐름 때문이다. 제조업 부진과 수출 위축으로 인해 경기 회복 동력이 약화된 상황인 것이다. 둘째로 미국의 관세 인상 정책이 자동차 산업 중심으로 한국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해당 보고서를 직접 작성한 루이스 쿠이스 아태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가 크게 하향 조정된 이유는 경기 부진과 미국의 자동차 관세 영향이 맞물렸기 때문”이라며 “이러한 관세 정책이 지속될 경우 한국 경제는 장기적인 어려움에 처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서 그는 “중국과 인도 등 주요 신흥국들은 견조한 국내 수요 덕분에 외부 충격을 상대적으로 잘 흡수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미국 정부는 중국 수입품에 추가로 20%의 관세를 부과하고, 캐나다 및 멕시코 일부 제품에도 25% 관세를 적용하면서 글로벌 무역 긴장을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 주요 품목에도 관세 부과를 추진하고 있어, 자동차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 경제에 직접적 충격을 줄 것으로 S&P는 분석했다.

반면 중국의 경우 미국 관세 인상에도 불구하고 2024년 말 경제 성과가 예상보다 양호했고, 정부의 강력한 재정 부양책과 경제 성장 목표 상향 조정 덕분에 2025년 GDP 성장률 전망치를 4.1%로 그대로 유지했다. 중국 정부는 올해 GDP 성장 목표를 5%로 설정하고 정부 적자 및 특별채권 발행을 늘려 경제 부양을 강화하고 있다.

일본 경제도 2024년 4분기에 예상보다 견고한 성장을 기록했으며, 근원 소비자 인플레이션도 2025년 초 2.6% 수준으로 상승했다. 또한 일본의 주요 기업들이 임금 협상에서 평균 5.4%의 임금 인상을 합의하면서 소비 기반의 확대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러한 긍정적인 신호로 인해 일본 중앙은행은 향후 점진적인 금리 인상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되며, S&P 글로벌은 2027년 말까지 일본의 기준 금리가 중립 수준인 1.5%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일본 경제의 양호한 경제 흐름으로 인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한국(1.2%)과 같아졌다. 이로 인해 2023년에 이어 2년 만에 또 다시 한국이 일본에 역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아시아태평양 다른 국가들도 외부 충격에도 국내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되면서 GDP 전망 하향 조정 폭이 크지 않았다. 특히 인도는 내수 시장의 강력한 수요를 바탕으로 올해 6.5% 성장이 예상된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등 일부 국가들은 미국의 특정 품목 관세로 인해 GDP 성장률이 다소 위축될 것으로 보이지만,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라는 것이 S&P 글로벌의 분석이다.

경제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아태지역 각국의 중앙은행들은 금리 인하를 통해 대응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하여 호주, 뉴질랜드, 인도, 대만 등이 이미 금리 인하를 시작했고, 이러한 완화 기조는 올해 하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S&P 글로벌은 글로벌 경제 환경 변화에 따라 추가적인 전망치 조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73 '이민 천국'이던 뉴질랜드…"헬이다" 자국 청년들 탈출 급증, 왜 랭크뉴스 2025.03.30
46172 "트럼프, 관세 더 세게 나가라 주문"… 자동차 가격 인상에는 "신경 안 써" 랭크뉴스 2025.03.30
46171 민주당, 文 전 대통령 소환 통보에 격앙…“무도한 칼춤” 랭크뉴스 2025.03.30
46170 관세에 내일부터는 공매도까지…개미는 어찌 할까요 [선데이 머니카페] 랭크뉴스 2025.03.30
46169 트럼프 "관세 의한 車값 상승 신경안써…소비자들 미국차 살것" 랭크뉴스 2025.03.30
46168 경남 산청 산불 진화율 98%로 낮아져, 주불 진화 난항 랭크뉴스 2025.03.30
46167 [비즈톡톡] KT스카이라이프, 적자에 잉여금 줄었는데… 배당금 가져간 모회사 ‘KT’ 랭크뉴스 2025.03.30
46166 묘소 정리 중 실화 혐의…‘경북 산불’ 피의자 경찰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165 "아저씨, 사고 조심하세요" 조언한 아이들에 욕설 퍼부은 60대 랭크뉴스 2025.03.30
46164 "주 3일만 일하세요"…석유 부국인데 연료 없어서 근로시간 확 줄인 '이 나라' 랭크뉴스 2025.03.30
46163 눈 날리는 꽃샘추위 기승…전국 강풍 불어 산불·화재 주의 랭크뉴스 2025.03.30
46162 "尹 탄핵선고 언제까지 기다리나" 랭크뉴스 2025.03.30
46161 이재명 '골프 사진 조작' 비판한 국민의힘에 "진실 직시하라" 랭크뉴스 2025.03.30
46160 추성훈 '아조씨' 탄생 비결…아귀찜 사장님이 바꾼 유튜브 판 [비크닉] 랭크뉴스 2025.03.30
46159 강진 사망자 1천 6백여 명‥"1만 명 넘을 수도" 랭크뉴스 2025.03.30
46158 ‘명품 가방 대신 보석’... 불황에도 까르띠에·반클은 날았다 랭크뉴스 2025.03.30
46157 中단체관광객 무비자 확대에…"제주 패싱할라" vs "오히려 기회" 랭크뉴스 2025.03.30
46156 “삶의 ‘중심’을 잃고, 돌만 계속 쌓았다”… 중심 잡기, 예술이 됐다 랭크뉴스 2025.03.30
46155 "죄책감 갖고 살아" 깨진 병으로 제 손목 그어 전연인 협박 30대 랭크뉴스 2025.03.30
46154 하마스, 대내외 압박에 휴전 제안 수용… "이스라엘 인질 5명 석방"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