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꺼지지 않는 산불…통신두절 속출, 도로 통제·재개 반복에 불안·불편 극심
"불탄 집 생각에 앞날이 막막"…쏟아지는 대피문자에 걱정만


통제된 서산영덕고속도로, 불탄 청송휴게소
(청송=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27일 경북 청송군 서산영덕고속도로 청송휴게소가 산불에 폐허가 돼 있다. 2025.3.27 [email protected]


(안동=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지난 22일 의성에서 난 산불이 엿새째 경북 북동부지역으로 확산하고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늘면서 주민들이 힘겨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피해 지역 주민들은 집과 생활 터전을 잃은 채 장기간 불편한 대피 생활을 이어가고 있고, 다행히 화마가 비껴간 지역 주민은 빗발치는 대피 안내 문자를 보며 불길이 닥칠까 걱정스럽기만 하다.

산불에 따른 짙은 연무와 단전·단수, 교통 통제까지 더해져 일상생활도 여의찮은 상황이다.

안동에서는 산불 피해에 단수까지 이어져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산불로 가압장에 전기 공급이 끊겨 일직면, 남선면, 길안면, 임하면, 남후면, 임동면, 풍천면 일부 지역에는 이틀째 수돗물 공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시는 비상 급수와 병물을 지원하고 있으나 일상생활을 지탱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또 일직면, 남선면, 길안면, 임하면, 임동면 2천487호는 정전됐다가 전날 대부분 복구됐으나 177호는 복구작업이 진행 중이다.

영덕 바다에 닿은 의성 산불
(영덕=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26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 마을이 산불에 폐허가 돼 있다. 2025.3.26 [email protected]


영덕에서도 지난 25일 오후 5시 54분께 청송군 신촌면 산불이 지품면 황장리로 넘어와 초속 25m 이상의 강풍을 타고 해안까지 휩쓸면서 단전과 단수가 속출했다.

지품 정수장이 불에 타고 영덕 정수장 전기가 끊겨 달산면 전 지역과 지품면 일부, 매정 2·3리, 삼계리 등에 수돗물 공급이 중단된 상태다.

또 변전소 정지로 25일 오후 9시 6분께 관내 전 지역에 전기 공급이 끊겼다가 대부분 복구됐으나 지품면 등 산불 피해가 극심한 지역에서는 아직 복구가 제대로 되지 않은 곳도 있다.

영덕은 25일 밤 10시부터 통신이 두절됐다가 다음 날 새벽에 대부분 다시 개통됐으며 피해가 심한 지품면 일부에서는 다시 휴대전화에 장애가 발생했다가 정상화되기도 했다.

영양군 입암면, 청기면, 석보면 지역도 정전이 발생했다가 복구됐다.

도로 통제와 해제가 반복하면서 이동도 여의찮다.

서산영덕고속도로 동상주 나들목(IC)∼영덕 IC 구간 양방향과 중앙고속도로 의성 IC∼풍기 IC 구간 양방향 통제가 유지되고 있다.

또 안동 임동면 마령리 마령교 삼거리에서 영양 입암면 산해리 산해 교차로를 연결하는 도로가 26일 오후 3시 45분부터 통제 중이다.

안동 길안면 천지리∼길안면 배방리 지방도 차량 통행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외에 국도와 지방도, 군도 8개 구간과 일부 철도 노선은 통제됐다가 통행이 재개됐다.

산불 피해 주민들은 생활의 전부를 잃고 불편한 대피소 생활을 계속하면서 힘겨워하고 있다.

산불 피해 주민을 위한 텐트
(청송=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26일 경북 청송군 청송읍 청송국민체육센터에 설치된 대피소에 산불 피해 주민들을 위한 개별 텐트가 설치돼 있다. 2025.3.26 [email protected]


이번 산불로 인한 경북도내 대피 인원은 3만3천여명으로 이 가운데 1만5천400여명은 여전히 귀가하지 못하고 있다.

주택 2천448개소와 공장 등 건축물 2천572개소·2천660동이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이재민들은 언제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 막막하기만 하다. 처참하게 그을린 집을 생각하면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산불 발생 이후 6일째로 접어들면서 대피소 생활에 지친 이재민들을 위한 임시 주거시설 확보도 시급한 상황이다.

시민들도 쉬지 않고 오는 재난 문자에 긴장의 연속이다. 또 어디로 대피해야 안전한지 혼란스럽기만 하다.

산불로 인한 연무에 미세먼지까지 짙어져 마스크를 껴도 메케한 냄새로 일상생활에 제약받고 있다.

[그래픽] 경북 북부 산불 발생 범위(종합)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이재윤 김민지 기자 = 닷새째 확산 중인 경북 의성 산불이 강풍을 타고 북동부권 4개 시·군으로 계속해서 번지면서 산불로 인한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26일 산림 당국은 의성, 안동, 영양, 청송, 영덕 등에 진화 헬기와 인력을 투입해 주불을 끄는 데 힘을 쏟고 있다.
[email protected]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713 美 3월 미시간대 소비심리 3개월째 급락…기대 인플레 5%로 상승 랭크뉴스 2025.03.29
45712 의대생 ‘일단 복귀’ 기류 물꼬 텄나…서울대 이어 울산대 의대 ‘전원’ 복학 신청 랭크뉴스 2025.03.29
45711 "국민버거 맞나요?" 불고기버거 세트 배달시키니 가격에 '헉'…롯데리아, 3.3% 인상 랭크뉴스 2025.03.29
45710 지리산 산불, 일몰 전 주불 진화 못해…야간 진화 계속 랭크뉴스 2025.03.29
45709 "귀찮게 밥을 왜 먹어요?"…50일 만에 무려 '200만봉' 팔린 식사대용 스낵 랭크뉴스 2025.03.29
45708 "투표하면 200만달러 쏜다" 머스크, 이번엔 위스콘신 선거 지원 랭크뉴스 2025.03.29
45707 농담인줄 알았는데 갈수록 묘한 기류… 캐나다 기절초풍 랭크뉴스 2025.03.29
45706 군 헬기까지 모든 자원 총동원… 오후 5시 “주불 진화 완료” 선언 랭크뉴스 2025.03.29
45705 이집트서 3600년 전 파라오 무덤 발견…"약탈된 흔적 있어" 랭크뉴스 2025.03.29
45704 "사랑니 대신 멀쩡한 이빨 뽑혀"…고통 호소하던 여성 사망에 中 '발칵' 랭크뉴스 2025.03.29
45703 EU, 알코올 0.5% 이하 와인도 '무알코올' 광고 허용 랭크뉴스 2025.03.29
45702 중도층 '탄핵 찬성' 다시 70% 대로‥선고 지연에 찬성여론 올라갔나? 랭크뉴스 2025.03.29
45701 4개의 판 위에 있는 미얀마... "단층 활발한 지진 위험지대" 랭크뉴스 2025.03.29
45700 연세대 의대, '제적' 1명 빼고 전원 등록…인하대는 미등록 고수 랭크뉴스 2025.03.29
45699 우원식 "한덕수, 마은혁 미임명은 위헌"…헌재에 권한쟁의 청구 랭크뉴스 2025.03.29
45698 이스라엘, 휴전 후 첫 베이루트 공습(종합) 랭크뉴스 2025.03.29
45697 민주 "국힘, 이재명 호흡 소리를 '욕설'로 주장…도 넘었다" 랭크뉴스 2025.03.29
45696 "경험도 경력" 외교부 인증 '심우정 총장 딸의 35개월 경력'의 비밀 랭크뉴스 2025.03.29
45695 'SKY 회군' 이어 성대·울산대 의대생도 복귀...인하대는 "미등록" 랭크뉴스 2025.03.29
45694 미얀마 7.7 강진으로 144명 사망…건물·다리·궁전 붕괴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