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산불 진화' 투입  헬기 137대 늘었지만
'고효율' 산불 헬기는 30대→26대 감소
15시간 운항 후 3, 4일간 점검 의무 탓
150시간 운항 후 정밀 점검 '4주 소요'
25일 울산시 울주군 언양읍에서 난 산불을 산림청의 산불 진화 전문 대형 헬기가 진화하고 있다. 산림청은 7대의 대형 헬기를 갖고 있지만 이날 현재 5대만 운용하고 있다. 2대는 한 달씩 소요되는 정기점검을 받고 있다. 울산=연합뉴스


산불이 장기화 하면서 대형 산불 진화 핵심 자산인 헬기의 전력이 급격히 저하하고 있다. 일정 시간 운항하고 나면 며칠씩 걸리는 정기점검을 반드시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초기 대응 실패가 산불을 키웠고, 재난이 장기화 하면서 헬기 기체 피로까지 누적돼 산불과의 전쟁은 더욱 버거워지는 분위기다.

27일 산불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와 산림청에 따르면 전날 전국 산불 현장에 137대의 산불 헬기가 투입됐다.

산림청 관계자는 “137대는 23일 산불 진화에 투입된 헬기(102대) 대비 30%이상 늘어난 규모”라며 “가용할 수 있는 국내 장비를 사실상 ‘풀’로 투입한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산불 진화 투입 헬기 대수만 놓고 보면 공중전 전력은 증강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관건은 산불 진화 전문 헬기의 대수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남성현 국민대 석좌교수(전 산림청장)는 “산불 확산 시 한번에 1만L의 물을 쏟을 수 있는 대형 헬기와 산불 진화 노하우가 축적된 조종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공중 진화력이 투입 헬기 대수에 비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137대 중 산림청 헬기는 26대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소방, 경찰, 군, 지자체에서 투입한 헬기다. 다른 기관에서 지원 나온 헬기는 물탱크 대신 긴 끈으로 연결한 물주머니를 이용한다. 한번에 500~2,500L의 물을 뿌릴 수 있다. 기체에 전용 물탱크가 장착돼 담수량이 3,000~1만L에 이르는 산림청 산불 진화 헬기 담수량에 크게 못 미친다.

산림청 헬기가 산불 진화에 뛰어나지만, 투입 대수는 감소하고 있다. 이날 산림청이 투입한 26대는 23일(30대)보다 4대 감소한 규모다. 운항 시간이 일정 수준에 이르면서 정기점검을 받으러 들어갔기 때문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대형헬기의 경우 비행 15시간(대형), 50시간(중형)마다 감항(堪航ㆍ비행 안전성 확보되는 운항) 능력을 확인하는 정기점검(소점검)을 받아야 한다”며 “소점검에 보통 3, 4일이 걸린다”고 말했다. 일출~일몰 사이 하루 7, 8시간씩 운항한다고 보면 대형 헬기는 ‘2일 운항, 3일 휴식’, 중형 헬기는 ‘7일 운항, 3일 휴식’ 패턴이라는 것이다.

국토부와 업계에 따르면 점검 주기는 기종에 따라 다르지만, 소점검 외에도 대형헬기는 150시간, 중형 헬기는 300시간마다 4주씩 걸리는 대점검도 받아야 한다. 각 점검은 국토부와 헬기 제작사가 하며, 이 정기점검(재감항검사)들을 통과해야 국토부가 발급한 감항증명서 효력이 연장된다. 국내외 모든 항공기는 유효한 감항증명서가 있어야 운항할 수 있다. 산림청 관계자는 “산림청 보유 대형 헬기 7대 중 2대가 기체에서 엔진을 분리한 뒤 이뤄지는 대점검을 받고 있다”며 “그 중 1대는 엔진 재장착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내달 4일쯤 산불 진화 현장에 투입될 것”이라고 말했다.

산불이 더 장기화 할수록 뛸 수 있는 헬기는 감소하고, 주력 진화 장비 감소는 산불 진화를 더욱 어렵게 만드는 악순환으로 이어지는 만큼, 전문가들은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남 교수는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앗아가는 산불 상황은 전쟁과 다를 게 없고, 그 초기 대응엔 무엇보다 대형 산불 헬기의 역할이 크다”며 “가동률을 감안해 갖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44 창원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 피해 여성 끝내 숨져 랭크뉴스 2025.03.31
46743 권성동 "野, 韓탄핵안 발의시 문형배·이미선 후임 지명 협의" 랭크뉴스 2025.03.31
46742 조국혁신당, ‘민주당·김어준 내란죄 고발’ 국민의힘 주진우 무고죄로 맞고발 랭크뉴스 2025.03.31
46741 “이 판단이 그렇게 어려운 일인가”…서울대 교수·연구자 702명 헌재 향해 일갈 랭크뉴스 2025.03.31
46740 [속보] 원·달러 환율 주간 종가 1472.9원…금융위기 후 최고 랭크뉴스 2025.03.31
46739 권성동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韓 대행이 임명할 수 있어” 랭크뉴스 2025.03.31
46738 [맞수다] "헌재 기류 이상?"‥"尹 복귀 시나리오 의심" 랭크뉴스 2025.03.31
46737 “무너진 학교·유치원 접근도 못 해”…미얀마 강진 사망 최소 3천명 랭크뉴스 2025.03.31
46736 美 제재로 中 선박 주문 취소 현실화… 韓 조선엔 호재 랭크뉴스 2025.03.31
46735 [속보] 국회 운영위,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임명촉구 결의안 가결 랭크뉴스 2025.03.31
46734 빌 게이츠가 예상하는 10년 후 AI 때문에 사라질 직업은? 랭크뉴스 2025.03.31
46733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 사고, 20대 여성 관중 결국 사망 랭크뉴스 2025.03.31
46732 '오세훈 아내 강의실 침입 혐의' 강진구 전 더탐사 대표 무죄 확정 랭크뉴스 2025.03.31
46731 "국민 불안 커져"‥국회 측, 尹탄핵심판에 각계 시국선언문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730 윤봉길 의사 "테러실행범" 지칭한 산케이... 추모관 설립에 우익 반대 시위 격화 랭크뉴스 2025.03.31
46729 "을사8적·반역자 될 건가"... 전현희, 헌재에 '윤석열 파면' 압박 랭크뉴스 2025.03.31
46728 "기업회생은 아니라더니" 발란, 결국 '법정관리' 행 랭크뉴스 2025.03.31
46727 [속보]국회 운영위, ‘마은혁 임명 촉구 결의안’ 野 주도로 통과 랭크뉴스 2025.03.31
46726 김혜경 항소심, 이재명 전 수행직원 증인 채택…"4월 14일 종결" 랭크뉴스 2025.03.31
46725 문재인 소환 통보…민주당 “국면 전환 위한 정치 탄압”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