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설직, 보건·의료직, 연구·개발직 종사자 불안감 커


직장인 10명 중 6명은 현재 하고 있는 일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불안감을 느끼는 이들이 가장 많은 직무는 건설직, 보건·의료직, 연구·개발직 등이었다. 사회 초년생인 20대 10명 중 9명은 직무를 전환하고 싶은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벼룩시장이 직장인 1224명을 대상으로 '직무 불안정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응답자의 59.0%가 '현재 직무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고, '보통'이라는 응답은 31.7%, '불안감을 느끼고 있지 않다'는 응답은 9.3%로 나타났다.

직무별로 살펴보면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는 응답자의 비중은 △건설직(78.6%) △보건·의료직(69.2% △연구·개발직(67.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금융직(26.1%) △교육직(48.7%) △사회복지직(50.0%) △생산직(51.6%)의 경우 상대적으로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고 답한 이들의 비중이 낮았다.

불안감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낮은 급여(22.3%)'였다. △나이에 영향을 받는 직업이라서(16.4%) △비전이 불확실한 직업이라서(13.5%) △워라밸이 좋지 않은 직업이라서(12.6%) 등의 답변도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AI 등 기술·기계로 대체하기 쉬운 직업이라서(10.6%) △수요가 줄어들고 있는 직업이라서(10.5%) 등의 답변도 있었다.

직무를 바꿀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87.7%가 '그렇다'고 답했다.

'직무 전환 의사가 있다'는 응답자가 45.2%로 가장 많았고, △직무 전환 의사는 있지만 불가능할 것 같다(25.9%) △현재 직무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16.7%)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 전환 의사가 없다'는 답변은 12.3%였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의 경우 '직무 전환 의사가 있다'는 답변이 91.0%에 달하는 반면, 30대와 40대, 50대의 경우 '직무 전환 의사는 있지만 불가능할 것 같다'는 답변이 각각 33.8%, 34.5%, 45.0%로 나타났다.

직무 전환 의사는 있지만 불가능할 것 같다고 답한 이들은 가장 큰 이유로 '실패에 대한 두려움(23.6%)'을 꼽았다. 이어 △현재까지 쌓아온 커리어를 포기할 수 없어서(21.0%) △스스로 자격 미달·기술 부족이라고 생각해서(19.1%) △특별한 대안이 없어서(17.8%) 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밖에 △전환 준비 과정에서 경제적 부담이 클 것 같아서(12.7%) △퇴직이 얼마 남지 않아서(5.7%) 등의 답변도 있었다.

한편 전환하고 싶은 직무로는 '사무직(30.8%)'을 꼽는 이들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개발직(13.8%) △사회복지직(11.2%) △서비스직(10.2%) △문화·예술직(8.6%) △영업·판매직(7.8%)이 뒤를 이었다. 이어 △보건·의료직(5.0%) △교육직(4.3%) △생산직(3.4%) △금융직(2.8%) △건설직(2.2%) 순으로 집계됐다.

직무 전환 시 최우선 고려 요소로는 '나이'를 꼽는 이들이 많았다. 응답자의 24.8%가 '나이와 관계없이 오래 일할 수 있는 직무인지'를 가장 먼저 살펴볼 것 같다고 답했으며 △적성(18.2%) △미래 전망(13.8%) △급여 수준(11.7%) △워라밸(9.5%)을 꼽는 이들도 많았다. 이외에도 △일자리 수요(8.9%) △AI 등 기술·기계로 대체하기 어려운 직무(7.6%)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직무(5.4%) 등의 답변이 있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782 지리산 번진 산청산불 진화율 96%, 역대 ‘최장’ 산불될까 랭크뉴스 2025.03.29
45781 [한국의 스타 셰프들]⑧윤남노, 한계를 즐기며 접시 위에 진심을 담다 랭크뉴스 2025.03.29
45780 경북 산불…역대 최단 시간 최대 면적 피해 랭크뉴스 2025.03.29
45779 경북 안동 일대 산불 재확산‥중앙선 남안동IC~서안동IC 차단 랭크뉴스 2025.03.29
45778 챗GPT '지브리 스타일' 폭발적 인기에 "서버 녹을 정도"...'저작권 침해' 우려도 랭크뉴스 2025.03.29
45777 "2개월 만에 24억 올랐네"…압구정 초고가 아파트 광풍[집슐랭] 랭크뉴스 2025.03.29
45776 산불 재확산...경북 안동서 재발화 랭크뉴스 2025.03.29
45775 "기부 취소·지역 변경"…"애도는커녕 춤과 노래" 랭크뉴스 2025.03.29
45774 공직만 56년, 오뚝이 총리의 마지막 행보 [배계규 화백의 이 사람] 랭크뉴스 2025.03.29
45773 변수 대부분 정리된 尹탄핵심판…헌재, 평결 앞 고심하는 듯 랭크뉴스 2025.03.29
45772 간 기능 향상 돕는 '간의 채소' 부추로 만든 영양 만점 레시피 [쿠킹] 랭크뉴스 2025.03.29
45771 '파와하라'가 日신입사원 구했다…벚꽃 명당에 뜬 '29만원 직업' [세계한잔] 랭크뉴스 2025.03.29
45770 주불 진화 하루 만에…밤새 경북 안동IC 부근서 재발화 랭크뉴스 2025.03.29
45769 로봇이 떠난 뒤 깨달았다, 우리는 가족이었음을[오마주] 랭크뉴스 2025.03.29
45768 “기장님 없이 갈 수도 없고” 아시아나항공 여권 분실로 15시간 지연 랭크뉴스 2025.03.29
45767 [속보]안동지역 산불 재발화…중앙고속도로 남안동IC∼서안동IC 전면 차단 랭크뉴스 2025.03.29
45766 [르포]11m 막타워 오르니 아찔…극한 공포 이겨내고 거침없이 강하[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3.29
45765 전한길 지원사격, 김어준 유튜브… 4·2 재보선 '尹 탄핵 찬반' 대결 랭크뉴스 2025.03.29
45764 민심 타들어 가는데 여야 여전히 산불 예비비 두고 '숫자 공방' 랭크뉴스 2025.03.29
45763 “지금 사도 안늦었나요?”...자고 일어나면 오른다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