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설직, 보건·의료직, 연구·개발직 종사자 불안감 커


직장인 10명 중 6명은 현재 하고 있는 일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불안감을 느끼는 이들이 가장 많은 직무는 건설직, 보건·의료직, 연구·개발직 등이었다. 사회 초년생인 20대 10명 중 9명은 직무를 전환하고 싶은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벼룩시장이 직장인 1224명을 대상으로 '직무 불안정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응답자의 59.0%가 '현재 직무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고, '보통'이라는 응답은 31.7%, '불안감을 느끼고 있지 않다'는 응답은 9.3%로 나타났다.

직무별로 살펴보면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는 응답자의 비중은 △건설직(78.6%) △보건·의료직(69.2% △연구·개발직(67.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금융직(26.1%) △교육직(48.7%) △사회복지직(50.0%) △생산직(51.6%)의 경우 상대적으로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고 답한 이들의 비중이 낮았다.

불안감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낮은 급여(22.3%)'였다. △나이에 영향을 받는 직업이라서(16.4%) △비전이 불확실한 직업이라서(13.5%) △워라밸이 좋지 않은 직업이라서(12.6%) 등의 답변도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AI 등 기술·기계로 대체하기 쉬운 직업이라서(10.6%) △수요가 줄어들고 있는 직업이라서(10.5%) 등의 답변도 있었다.

직무를 바꿀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87.7%가 '그렇다'고 답했다.

'직무 전환 의사가 있다'는 응답자가 45.2%로 가장 많았고, △직무 전환 의사는 있지만 불가능할 것 같다(25.9%) △현재 직무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16.7%)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 전환 의사가 없다'는 답변은 12.3%였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의 경우 '직무 전환 의사가 있다'는 답변이 91.0%에 달하는 반면, 30대와 40대, 50대의 경우 '직무 전환 의사는 있지만 불가능할 것 같다'는 답변이 각각 33.8%, 34.5%, 45.0%로 나타났다.

직무 전환 의사는 있지만 불가능할 것 같다고 답한 이들은 가장 큰 이유로 '실패에 대한 두려움(23.6%)'을 꼽았다. 이어 △현재까지 쌓아온 커리어를 포기할 수 없어서(21.0%) △스스로 자격 미달·기술 부족이라고 생각해서(19.1%) △특별한 대안이 없어서(17.8%) 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밖에 △전환 준비 과정에서 경제적 부담이 클 것 같아서(12.7%) △퇴직이 얼마 남지 않아서(5.7%) 등의 답변도 있었다.

한편 전환하고 싶은 직무로는 '사무직(30.8%)'을 꼽는 이들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개발직(13.8%) △사회복지직(11.2%) △서비스직(10.2%) △문화·예술직(8.6%) △영업·판매직(7.8%)이 뒤를 이었다. 이어 △보건·의료직(5.0%) △교육직(4.3%) △생산직(3.4%) △금융직(2.8%) △건설직(2.2%) 순으로 집계됐다.

직무 전환 시 최우선 고려 요소로는 '나이'를 꼽는 이들이 많았다. 응답자의 24.8%가 '나이와 관계없이 오래 일할 수 있는 직무인지'를 가장 먼저 살펴볼 것 같다고 답했으며 △적성(18.2%) △미래 전망(13.8%) △급여 수준(11.7%) △워라밸(9.5%)을 꼽는 이들도 많았다. 이외에도 △일자리 수요(8.9%) △AI 등 기술·기계로 대체하기 어려운 직무(7.6%)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직무(5.4%) 등의 답변이 있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45 [속보] 총리실 “야당 면담요청, 통상 등 현안부터 대응 후 검토” 랭크뉴스 2025.03.31
46844 K배터리 '닭 쫓던 개' 될 판… 中과 점유율 격차 더 벌어진다 랭크뉴스 2025.03.31
46843 탄핵 각오했나…돌연 이천 간 한덕수, 상법 거부권도 서두른다 랭크뉴스 2025.03.31
46842 “이곳저곳 전전, 몸도 지치고 너무 불안합니더” 랭크뉴스 2025.03.31
46841 경찰, '故 김새론 명예훼손' 유튜버 수사…유족에 접근금지도 랭크뉴스 2025.03.31
46840 한덕수, 이재명 면담 요청에 “국가 경제·민생 현안에 우선 대응한 뒤 검토” 랭크뉴스 2025.03.31
46839 국민의힘,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 법안에 “헌재 사유화법·명백한 위헌” 반발 랭크뉴스 2025.03.31
46838 주한미군 개념 바뀌나…중국견제·방위비·전작권 복잡성 증대 랭크뉴스 2025.03.31
46837 일단 수업 정상화부터…온라인 강의로 '첫발' 뗀 의대 랭크뉴스 2025.03.31
46836 野 주도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 법안, 법사소위 통과 랭크뉴스 2025.03.31
46835 끝났어, 1500원 아메리카노…메가커피도 가격 인상 랭크뉴스 2025.03.31
46834 여야 원내대표 회동 빈손 종료…풀리지 않는 얼어붙은 정국 랭크뉴스 2025.03.31
46833 자동차·철강 25%에 무차별 관세 20% 추가? 한국산 최대 45% 부담 랭크뉴스 2025.03.31
46832 공수처, 최상목 수사 착수…마은혁 재판관 임명 보류 혐의 랭크뉴스 2025.03.31
46831 ‘김건희 명품백 사건’ 처리 뒤 숨진 권익위 전 간부, 순직 인정 랭크뉴스 2025.03.31
46830 공수처, 최상목 경제부총리 수사 착수…'마은혁 임명 보류' 고발 건 랭크뉴스 2025.03.31
46829 공수처, 마은혁 임명 보류 최상목 사건 자료 확보‥국회사무처 임의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828 野 "최상목, 환율위기에 美국채 베팅" 崔측 "자녀유학 준비로 보유" 랭크뉴스 2025.03.31
46827 "尹 파면" 시국선언 서울대 교수에…"관상이 좌파상" 학내 저격 랭크뉴스 2025.03.31
46826 김수현 “미성년자 교제 아녔다”···고 김새론 유족 반박하며 소송전 알려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