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트럼프, 행정명령 서명
자동차와 경형트럭 대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 시간)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수입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명령문에 서명한 뒤 이를 들어보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서울경제]

미국이 다음달 2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발효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6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가 할 일은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이 나라에서 사업을 하면서 수년간 우리의 일자리와 부, 많은 것을 가져간 나라들에게 요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윌 샤프 백악관 문서담당 비서관은 이 자리에서 “자동차와 경형 트럭(light truck)이 관세 부과의 대상”이라며 “이번 조치로 연간 1000억 달러의 정부 세 수입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자동차 관세의 목적이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의 미국내 생산 시설 유치 확대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많은 기업들이 미국으로 돌아오고 있고 이에 그들은 관세를 낼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경을 넘나들고 있는 현재의 자동차 공급망 구조에 대해 비판하며 이제 이같은 공급망이 “한 곳에서 생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추후 국가별 협상 여지도 크지 않다는 점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관세는 영구적(permanent)인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번 조치로 가장 타격을 받을 수 있는 나라로 일본과 독일, 한국 등을 꼽았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국가별 자동차 수입규모는 멕시코가 785억 달러로 가장 크며 이어 일본(397억 달러), 한국(366억 달러), 캐나다(312억 달러), 독일(248억 달러) 순이다. ING리서치의 글로벌 거시경제 책임자인 카르스텐 브르제스키는 자동차 관세가 “최근 유럽에 돌아온 낙관주의에 큰 타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이날 오후 성명을 내고 “미국이 유럽 자동차 수출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결정에 심히 유감”이라고 밝혔다.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은 “자동차 산업은 대서양 양쪽에 깊숙이 통합된 공급망을 통해 혁신·경쟁력·높은 수준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원동력”이라고 지적했다. 뉴욕타임스는 일본의 경우 이번 조치로 잠재성장률의 40% 수준의 성장 둔화가 올 수 있다고 전했다.

자동차 관세는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1월 20일 집권 2기 출범 이후 부과한 3번째 품목별 관세다. 앞서 미국은 모든 무역 상대국에서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과 철강·알루미늄으로 만든 파생상품에 미국 동부 시간으로 지난 12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했다.

이날 이후 가장 가까운 미국의 관세 예정일은 4월 2일로 전 세계 국가를 상대로 상호 관세 계획을 발표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미국에 대한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을 두루 고려해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날이기도 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재확인하면서 “모든 국가”를 상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며 예외를 두지 않을 것임을 밝혔다. 그는 상호관세에 대해선 “우리는 매우 공정할 것”이라면서도 “우리는 매우 관대하게 할 것이다. 많은 경우 관세는 다른 나라가 수십년간 미국에 부과했던 것보다 낮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나는 사람들이 매우 즐겁게 놀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68 미중 대결 속 위기의 차이나타운... 이소룡 동상이 혐오 멈출까 랭크뉴스 2025.03.31
46567 국토부, GTX-A 손실보전금 164억원 지급…삼성역 개통 지연 탓 랭크뉴스 2025.03.31
46566 강아지를 '쥐불놀이'하듯 돌린 학대자···"사육금지제 2년 뒤? 너무 늦다" 랭크뉴스 2025.03.31
46565 앞 유리에 쾅…달리는 차에 ‘맨홀 뚜껑’ 날벼락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3.31
46564 오늘 의대생 복귀 시한…‘2026년 모집인원’ 이르면 이번 주 결정 랭크뉴스 2025.03.31
46563 낙엽 아래 불씨가 '복병'‥최초 발화자 입건 랭크뉴스 2025.03.31
46562 WHO, 미얀마 강진 '3급 비상사태' 선포…117억 자금 요청 랭크뉴스 2025.03.31
46561 2월 산업생산 0.6% 증가…소비 1.5%↑·투자 18.7%↑ 랭크뉴스 2025.03.31
46560 오늘부터 공매도 전면 재개…외국인 돌아오나[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3.31
46559 케이크 가격 4만원 육박…조각은 거의 1만원 랭크뉴스 2025.03.31
46558 전문분야 찾아간 오너?... ‘캉골’ 키운 에스제이그룹, 투자사업에 점점 더 집중 랭크뉴스 2025.03.31
46557 “마은혁 임명 거부는 윤 복귀 음모”…민주, 내일 시한 최후통첩 랭크뉴스 2025.03.31
46556 민간 기업이 무기체계 제안한다… 방사청, 도입형태 변경 랭크뉴스 2025.03.31
46555 국민의힘 36.1%·민주 47.3%…정권 교체 57.1%·연장 37.8%[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3.31
46554 [속보] 2월 산업생산·소비·투자 모두 증가… 1월 부진 기저효과 영향 랭크뉴스 2025.03.31
46553 [마켓뷰] "기댈 곳이 없네" 관세·경기우려에 공매도까지 사면초가 코스피 랭크뉴스 2025.03.31
46552 제2의 티메프 되나… 정산금 밀린 발란, 결국 결제까지 중단 랭크뉴스 2025.03.31
46551 이 회사 없으면 삼성도 TSMC도 없다… "AI산업, 창소년기 접어들어"[김현예의 톡톡일본] 랭크뉴스 2025.03.31
46550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새 6배 넘게 증가" 랭크뉴스 2025.03.31
46549 "미국 해방일" 온다…협상 없는 관세 전쟁 드라이브[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③]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