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북 영양군 영양군민회관에 마련된 대피소에서 26일 저녁 주민들이 저녁 식사를 하고 있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시작된 산불이 전날 태풍급 바람을 타고 직선거리로 50여㎞ 떨어진 영양군을 덮쳤다. 김태형 기자 [email protected]

경북 의성에서 난 산불은 닷새 동안 이어지며 안동, 청송, 영양, 영덕까지 경북 북부권을 집어삼켰다.

26일 동해를 바라보고 선 작은 바닷가 마을,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는 화염에 녹아내렸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 최초 발화지점에서 70여㎞나 떨어진 곳이다. 가파른 절벽에 자리잡은 집들은 폭격이라도 맞은 듯했다. 탈 때까지 타버린 지붕은 폭삭 주저앉았다. 집의 한 부분이었을 플라스틱은 흘러내렸다. 무엇이었는지도 모를 것들이 건어물처럼 오그라들어 주렁주렁 매달리고 바닥에 나뒹굴었다.

해안절벽의 집들이 따개비를 닮았다고 해 ‘따개비마을’이라고 불리는 이 마을의 집을 밤새 시커멓게 태운 불은 미처 몸을 피하지 못한 어르신의 목숨을 앗아가고도 악착같이 열기를 토해냈다.

영덕읍 매정1리도 폐허가 됐다. 마을 주민 3명이 새카맣게 탄 집 곳곳에 물을 뿌려댔다. 집주인은 보이지 않았다. 남은 불씨가 혹여나 다시 번질세라 참지 못한 이들이 마을 들머리에 있는 소방호스를 꺼내 들었다. 전날 밤부터 끊긴 전기와 물은 이날 정오께가 돼서야 돌아왔다.

이 마을 주민 윤외생(78)씨는 “(25일) 저녁에 해 다 지고 불이 넘어온다는 마을 방송을 듣고 나왔는데 불티가 펄떡펄떡 날아서 저 바닥에 뒹굴뒹굴 굴러다니더라”며 “이웃 차를 타고 대피했다가 돌아와서 집에 문을 열어 슥 봤는데 전신에(전부 다) 끄슬림(그을음)이라. 열어보기도 싫다”고 했다.

26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매정1리가 산불로 폐허가 됐다. 주성미 기자

이 마을 주민 2명도 목숨을 잃었다. 강풍을 타고 넘나드는 불씨가 포탄처럼 집 위로 떨어졌단다. 불탄 집은 바람을 타고 날아다니는 불씨만큼이나 어지러웠다. 전날 영덕군 주민들의 대피 행렬이 이어졌다는 7번 국도를 거슬러 올라가는 차들은 희뿌연 연기로 빨려 들어가는 것 같았다. 왕복 4차선 도로 양쪽이 새카맣게 타들어갔고, 곳곳에 전깃줄이 끊겨 바람에 흔들렸다. 불씨는 여전히 건물과 산, 공장 곳곳을 태웠다. 연기가 피어오르고 나무를 태워 타닥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소방차는 한참 동안 오지 않았다. 넓게 퍼진 불씨에 비해 손이 부족한 탓이다.

영덕군 전 지역에는 전날 밤 9시께부터 전기가, 밤 10시께부터 통신이 끊겼다. 군은 이날 새벽 2시께 복구했다고 밝혔으나 휴대전화 통화와 무선인터넷은 여전히 불안정하다. 경북 청송군 파천면 지경리에 사는 김선아(40대)씨는 다 타버린 집과 비닐하우스를 말없이 바라봤다. 그는 전날 오후 4시10분께 약 2~3㎞ 떨어진 산에 불이 붙은 것을 보고 영덕으로 대피했다. 아직 불이 반대쪽 산에 있어 여유가 있을 줄 알았지만 착각이었다. 김씨는 “분명히 불이 저쪽 산에 있었는데 불이 먼지처럼 날아올랐다”고 했다. 불은 바람을 타고 마을 인근으로 빠르게 번졌다. 차 2대에 나눠 여섯식구가 몸을 피하자마자 집은 곧바로 불길에 휩싸였다. 김씨는 “돌아와 보니 물도 그렇고 다 부족하다. 아직도 연기가 나고 있는데 이걸 수습할 길이 없다”고 했다.

대피소도 안전하지 않았다. 애초 대피소였던 청송국민체육센터 인근에 불이 번져 주민들은 걸어서 13분 거리인 청송문화예술회관으로 자리를 옮겨야 했다. 덕천3리 주민 서순자(69)씨는 “대피소도 위험하다는 안내를 받아서 밤에 다시 이동했다. 무서워서 잠도 거의 못 잤다”고 했다.

경북 및 경남 산불 현황. 송권재 기자 [email protected]

불줄기가 약 5㎞ 앞까지 다가온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마을 주민들도 피난길에 나섰다. “어젯밤에 놀라서 맨손으로 풍산에 있는 손녀 아파트로 도망쳤어. 열아홉살에 처음 이 마을에 와서 이제 아흔이 다 되어가는데 이런 난리는 없었어.”

하회마을에서 만난 이순용(85)씨는 검은색 승용차 조수석에 앉아 창문을 살짝 내린 채 물건을 챙기는 딸을 바라보며 말했다. 결혼 뒤 하회마을에 와 처음으로 피난을 떠난다는 이씨는 “물건을 아무것도 못 챙겨서 오늘은 잠깐 필요한 것만 챙겨서 나가려고. 별일이 없어야 할 텐데…”라고 읊조렸다.

유희억(85)씨는 “살림살이 하나라도 더 챙겨 가야 하니까 아직 여기 있는 거지 불이 가까워지면 피난을 갈 것”이라며 “여기서 나서 평생을 살았는데 정말 이런 일은 상상도 못 했다”고 했다.

영양군으로 퍼진 산불을 피해 영양군민회관으로 대피한 박아무개(80·입암면)씨는 “100m 정도 떨어진 산에 시뻘건 불이 막 올라오고 있었고 바람도 강하게 불어 금방이라도 우리 집까지 넘어올 것 같아 뒤도 돌아보지 않고 왔다”고 했다. 화매리의 집이 모두 불탔다는 한 주민은 눈물을 흘렸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67 [속보] 권성동 “이재명·김어준·민주당 초선 72명 내란 음모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66 [속보]‘탄핵 예고’에 권성동 “이재명·김어준 등 내란음모죄로 고발하겠다” 랭크뉴스 2025.03.29
45965 美 국무부 “SNS 뒤져 테러 옹호하면 학생비자 발급 거부” 랭크뉴스 2025.03.29
45964 [속보] 권성동 "이재명·김어준·민주 초선 72명 내란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63 [속보] 권성동 "'내각탄핵 예고' 野초선·이재명 등 72명 내란선동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62 성적은 꼴찌인데 이적료만 600억 벌었다...히어로즈 '별난 야구' 랭크뉴스 2025.03.29
45961 [속보] 권성동 "'내각탄핵 예고' 이재명·野초선 72명, 내란선동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60 산청·하동 진화율 99%‥5개 마을엔 대피령 랭크뉴스 2025.03.29
45959 ‘강진’ 미얀마, 1200명 사망… 부상자 2376명 랭크뉴스 2025.03.29
45958 토허제 발표 이후 송파·서초·강남 매물 뚝…송파는 집값 하락 전환 랭크뉴스 2025.03.29
45957 “내 딸 때렸냐” 11세 아이 다그친 남성… 아동학대일까 랭크뉴스 2025.03.29
45956 서울 전역에 건조주의보… 강원 평창 대설주의보는 해제 랭크뉴스 2025.03.29
45955 헌재 선고 지연에 윤 지지자들도 ‘불안’…도심 곳곳서 탄핵 반대 집회 랭크뉴스 2025.03.29
45954 검찰, 천하람 소환조사…명태균 ‘칠불사 홍매화 회동’ 캐나 랭크뉴스 2025.03.29
45953 ‘버거플레이션’ 현실화…롯데리아·노브랜드·써브웨이 줄인상 랭크뉴스 2025.03.29
45952 "묘지 정리 후 나뭇가지 태웠다"…발화 추정 지점엔 버려진 라이터 랭크뉴스 2025.03.29
45951 "살려줘요" 비명에 맨손 구조…사망자 1002명 '아비규환' 미얀마 랭크뉴스 2025.03.29
45950 "즉각 파면" "탄핵 무효"...주말 도심 곳곳 대규모 탄핵 찬반 집회 랭크뉴스 2025.03.29
45949 탄핵 선고 미루는 헌재, 까맣게 타들어 가는 마음 [.txt] 랭크뉴스 2025.03.29
45948 민주당, 검찰 문재인 소환에 “아직 정신 못 차려…윤석열 정권 최후 발악”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