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북 영양군 영양군민회관에 마련된 대피소에서 26일 저녁 주민들이 저녁 식사를 하고 있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시작된 산불이 전날 태풍급 바람을 타고 직선거리로 50여㎞ 떨어진 영양군을 덮쳤다. 김태형 기자 [email protected]

경북 의성에서 난 산불은 닷새 동안 이어지며 안동, 청송, 영양, 영덕까지 경북 북부권을 집어삼켰다.

26일 동해를 바라보고 선 작은 바닷가 마을,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는 화염에 녹아내렸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 최초 발화지점에서 70여㎞나 떨어진 곳이다. 가파른 절벽에 자리잡은 집들은 폭격이라도 맞은 듯했다. 탈 때까지 타버린 지붕은 폭삭 주저앉았다. 집의 한 부분이었을 플라스틱은 흘러내렸다. 무엇이었는지도 모를 것들이 건어물처럼 오그라들어 주렁주렁 매달리고 바닥에 나뒹굴었다.

해안절벽의 집들이 따개비를 닮았다고 해 ‘따개비마을’이라고 불리는 이 마을의 집을 밤새 시커멓게 태운 불은 미처 몸을 피하지 못한 어르신의 목숨을 앗아가고도 악착같이 열기를 토해냈다.

영덕읍 매정1리도 폐허가 됐다. 마을 주민 3명이 새카맣게 탄 집 곳곳에 물을 뿌려댔다. 집주인은 보이지 않았다. 남은 불씨가 혹여나 다시 번질세라 참지 못한 이들이 마을 들머리에 있는 소방호스를 꺼내 들었다. 전날 밤부터 끊긴 전기와 물은 이날 정오께가 돼서야 돌아왔다.

이 마을 주민 윤외생(78)씨는 “(25일) 저녁에 해 다 지고 불이 넘어온다는 마을 방송을 듣고 나왔는데 불티가 펄떡펄떡 날아서 저 바닥에 뒹굴뒹굴 굴러다니더라”며 “이웃 차를 타고 대피했다가 돌아와서 집에 문을 열어 슥 봤는데 전신에(전부 다) 끄슬림(그을음)이라. 열어보기도 싫다”고 했다.

26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매정1리가 산불로 폐허가 됐다. 주성미 기자

이 마을 주민 2명도 목숨을 잃었다. 강풍을 타고 넘나드는 불씨가 포탄처럼 집 위로 떨어졌단다. 불탄 집은 바람을 타고 날아다니는 불씨만큼이나 어지러웠다. 전날 영덕군 주민들의 대피 행렬이 이어졌다는 7번 국도를 거슬러 올라가는 차들은 희뿌연 연기로 빨려 들어가는 것 같았다. 왕복 4차선 도로 양쪽이 새카맣게 타들어갔고, 곳곳에 전깃줄이 끊겨 바람에 흔들렸다. 불씨는 여전히 건물과 산, 공장 곳곳을 태웠다. 연기가 피어오르고 나무를 태워 타닥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소방차는 한참 동안 오지 않았다. 넓게 퍼진 불씨에 비해 손이 부족한 탓이다.

영덕군 전 지역에는 전날 밤 9시께부터 전기가, 밤 10시께부터 통신이 끊겼다. 군은 이날 새벽 2시께 복구했다고 밝혔으나 휴대전화 통화와 무선인터넷은 여전히 불안정하다. 경북 청송군 파천면 지경리에 사는 김선아(40대)씨는 다 타버린 집과 비닐하우스를 말없이 바라봤다. 그는 전날 오후 4시10분께 약 2~3㎞ 떨어진 산에 불이 붙은 것을 보고 영덕으로 대피했다. 아직 불이 반대쪽 산에 있어 여유가 있을 줄 알았지만 착각이었다. 김씨는 “분명히 불이 저쪽 산에 있었는데 불이 먼지처럼 날아올랐다”고 했다. 불은 바람을 타고 마을 인근으로 빠르게 번졌다. 차 2대에 나눠 여섯식구가 몸을 피하자마자 집은 곧바로 불길에 휩싸였다. 김씨는 “돌아와 보니 물도 그렇고 다 부족하다. 아직도 연기가 나고 있는데 이걸 수습할 길이 없다”고 했다.

대피소도 안전하지 않았다. 애초 대피소였던 청송국민체육센터 인근에 불이 번져 주민들은 걸어서 13분 거리인 청송문화예술회관으로 자리를 옮겨야 했다. 덕천3리 주민 서순자(69)씨는 “대피소도 위험하다는 안내를 받아서 밤에 다시 이동했다. 무서워서 잠도 거의 못 잤다”고 했다.

경북 및 경남 산불 현황. 송권재 기자 [email protected]

불줄기가 약 5㎞ 앞까지 다가온 경북 안동시 풍천면 하회마을 주민들도 피난길에 나섰다. “어젯밤에 놀라서 맨손으로 풍산에 있는 손녀 아파트로 도망쳤어. 열아홉살에 처음 이 마을에 와서 이제 아흔이 다 되어가는데 이런 난리는 없었어.”

하회마을에서 만난 이순용(85)씨는 검은색 승용차 조수석에 앉아 창문을 살짝 내린 채 물건을 챙기는 딸을 바라보며 말했다. 결혼 뒤 하회마을에 와 처음으로 피난을 떠난다는 이씨는 “물건을 아무것도 못 챙겨서 오늘은 잠깐 필요한 것만 챙겨서 나가려고. 별일이 없어야 할 텐데…”라고 읊조렸다.

유희억(85)씨는 “살림살이 하나라도 더 챙겨 가야 하니까 아직 여기 있는 거지 불이 가까워지면 피난을 갈 것”이라며 “여기서 나서 평생을 살았는데 정말 이런 일은 상상도 못 했다”고 했다.

영양군으로 퍼진 산불을 피해 영양군민회관으로 대피한 박아무개(80·입암면)씨는 “100m 정도 떨어진 산에 시뻘건 불이 막 올라오고 있었고 바람도 강하게 불어 금방이라도 우리 집까지 넘어올 것 같아 뒤도 돌아보지 않고 왔다”고 했다. 화매리의 집이 모두 불탔다는 한 주민은 눈물을 흘렸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63 헌재 사무처장 “마은혁 미임명은 위헌…헌법절차 작동돼야” 랭크뉴스 2025.03.31
46762 한화 김승연 회장, ㈜한화 지분 11.32% 세 아들에 증여…경영권 승계 마무리 랭크뉴스 2025.03.31
46761 [속보]한화 김승연 회장, ㈜한화 지분 11.32% 세 아들 증여…경영승계 완료 랭크뉴스 2025.03.31
46760 野, 마은혁 자동임명법 상정…대통령 몫 헌재 임명권 제한 나서 랭크뉴스 2025.03.31
46759 권성동 "野, 韓탄핵 돌입시 정부와 문형배·이미선 후임 협의" 랭크뉴스 2025.03.31
46758 김혜수가 광고하던 발란은 어쩌다 ‘제2의 티메프’가 됐나 랭크뉴스 2025.03.31
46757 "9년간 고통스러운 시간"… '성폭행 혐의' 장제원 고소인, 동영상·감정 결과 증거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756 가좌역 선로에 물 고여 경의중앙선 DMC∼공덕 5시간째 운행중지(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755 국회 운영위,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임명촉구 결의안 가결…여당 불참 랭크뉴스 2025.03.31
46754 헌법재판소 “마은혁 미임명은 위헌…헌법절차 작동돼야” 랭크뉴스 2025.03.31
46753 [속보] 권성동 "野, 韓탄핵 돌입시 정부와 문형배·이미선 후임 협의" 랭크뉴스 2025.03.31
46752 헌재 사무처장 "尹사건 신중 검토…재판관 임기연장 입장 없다" 랭크뉴스 2025.03.31
46751 서울대 교수·연구자 702명 “헌재, 내란=위헌 판단이 그렇게 어렵나” 랭크뉴스 2025.03.31
46750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공매도 여파에 상호관세 경계감이 키운 환율 [김혜란의 FX] 랭크뉴스 2025.03.31
46749 벌써 딥시크 '짝퉁' 논란…쏟아지는 유사상표에 '화들짝' 랭크뉴스 2025.03.31
46748 [속보] 김승연 한화 회장, ㈜한화 지분 11.32% 세아들에 증여 랭크뉴스 2025.03.31
46747 "尹 사건 젤 먼저 한댔잖아요!" 묻자 헌재 관계자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3.31
46746 윤건영 “검찰, 윤석열 구속취소 전후 문재인 전 대통령에 2차례 소환 요구” 랭크뉴스 2025.03.31
46745 첫 위헌 심판대 오른 ‘중대재해법’…노동계 “노동자 안전 외면” 랭크뉴스 2025.03.31
46744 창원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 피해 여성 끝내 숨져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