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물리겠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전세계를 상대로 한 품목별 관세가 부과된 것은 철강 및 알루미늄에 이어 두번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시간 26일 워싱턴 DC의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자동차 수입 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특히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품 가운데 가장 비중이 크기 때문에 한국에도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직접 브리핑을 열고 “미국에서 제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미국에서 사업을 하고 미국의 일자리를 빼앗고, 미국의 부를 빼앗아 간 것에 대해 비용을 청구하겠다”고 말했다. 관세 부과 시점은 트럼프 대통령이 전세계 개별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를 발표하기로 예고한 다음달 2일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그들이 친구이든 적이든 미국에서 많은 것을 빼앗아갔다”며 “솔직히 말해서 친구들이 종종 적들보다 훨씬 더 나빴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에서 자동차를 만들면 관세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자동차에 대한 25%의 일률적 관세 부과가 미국에 자동차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을 비롯해 독일과 일본 등 우방국 기업들을 겨냥했음을 의미하는 말로 풀이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시간 26일 워싱턴 DC의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자동차 수입 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과 자동차에 25%의 일률적인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반도체, 목재, 의약품 등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뜻을 재확인했다. 그는 “가장 큰 반도체 회사는 지금은 대만에서 반도체를 만들고 있지만 여기(미국)에 공장을 짓어 반도체 시장의 거의 40%를 미국에게 주게 될 것”고 말했다. 이밖에 목재와 의약품에 대해서도 예고한대로 고율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국의 또다른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가 확정돼 부과될 경우 자동차와 함께 한국에 적지 않은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당장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품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 규모는 347억 4400만 달러(약 51조원)에 달한다. 전체 수출 가운데 미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707억8900만 달러로 절반(49.1%)를 차지한다.
정근영 디자이너

이와 관련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지난 24일 직접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향후 4년간 210억 달러(약 31조원)을 투자해 미국 내 자동차 생산을 연간 120만대 규모로 확대할 계획을 밝혔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그룹의 투자 계획과 관련 “이번 투자는 관세가 매우 효과적이라는 확실한 증거”라며 “현대차는 미국에서 철강과 자동차를 생산하고 그 결과 (미국 생산 물량에 대해선)관세를 부과받지 않게 된다”고 강조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24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루즈벨트 룸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오른쪽 두번째),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왼쪽), 제프 랜드리 루이지애나 주지사와 함께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품목별 관세뿐만 아니라 예고했던 국가별 상호관세도 그대로 발표하겠다는 뜻을 재확인했다. 그는 “4월 2일은 미국의 진정한 해방일이 될 것”이라며 “그것은 또 다른 라운드가 될 것이며, 미국을 다시 위대하고 만들고 다시 강하고 번영하게 만들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에 대한 유연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미국의 8대 무역수지 적자국인 한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24 주불 진화한 경북 산불... 사망자 2명 늘어 26명 랭크뉴스 2025.03.29
45823 미국 지질조사국 "미얀마 강진 사망자 1만 명 넘을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822 4월 탄핵 선고 3가지 시나리오…윤석열 파면·복귀, 아니면 헌재 불능 랭크뉴스 2025.03.29
45821 트럼프 “푸틴과 러시아의 ‘북한 무기’ 구매 관련 논의한 적 없어” 랭크뉴스 2025.03.29
45820 미국 지질조사국 "미얀마 강진 사망자 1만명 넘을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819 [속보] ‘경북 산불’ 영양·의성서 사망자 2명 추가… 총 26명 숨져 랭크뉴스 2025.03.29
45818 '산불사태' 인명피해 70명으로 늘어…안동·의성 재발화(종합) 랭크뉴스 2025.03.29
45817 “통장 0원 찍혔지만…” 번식장 60마리 구한 주인공 [개st하우스] 랭크뉴스 2025.03.29
45816 헌재 “피청구인 윤석열 파면” 선언할 때다 [김민아의 훅hook] 랭크뉴스 2025.03.29
45815 뉴턴 사과나무도 직접 본다…'한강의 기적' 함께한 이곳 개방 랭크뉴스 2025.03.29
45814 [속보] 경북 안동·의성 산불, 부분 재발화‥헬기 투입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3.29
45813 미얀마 7.7 강진에…美 "사망자 1만명 넘을 가능성 70% 넘어" 랭크뉴스 2025.03.29
45812 “애타는 이재민·가족들 위해” 지리전공 대학생들이 만든 ‘대피 지도’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3.29
45811 안동·의성 산불 재발화…긴급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3.29
45810 "51번째 주라고? 캐나다가 美 인수 가능" 이런 계산 나왔다 [세계한잔] 랭크뉴스 2025.03.29
45809 우의장, 한 대행에 권한쟁의심판…여 “또 헌재·한 대행 겁박” 랭크뉴스 2025.03.29
45808 [속보] 도로공사 "중앙고속도 남안동∼서안동IC 통행 재개" 랭크뉴스 2025.03.29
45807 안동 이어 의성 산불 재발화...산림당국 "헬기 투입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3.29
45806 韓 기업들 어쩌나...트럼프 때문에 '초비상' 랭크뉴스 2025.03.29
45805 안동·의성 산불, 부분 재발화…헬기 투입 진화작업(종합)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