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시프트업·크래프톤·엔씨소프트, ‘연봉 1억 클럽’ 이름 올려
시프트업 ‘니케’·크래프트 ‘배틀그라운드’ 히트 영향
데브시스터즈·카카오게임즈는 감소폭 커

그래픽=정서희

지난해 업황 악화에 국내 게임사들의 직원 평균 연봉이 양극화 양상을 보였다. 신작이 히트한 게임사는 인센티브 증가로 직원 연봉이 뛰었다. 이에 3곳의 게임사가 ‘연봉 1억원 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실적이 부진한 일부 게임사들은 임금 인하가 불가피했다.

2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게시된 국내 주요 게임사들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을 넘긴 곳은 시프트업, 크래프톤, 엔씨소프트 등 3개사다. 시프트업의 지난해 직원 평균 연봉은 1억3000만원으로 업계 1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하반기 상장한 시프트업은 재작년 연봉 정보가 없다. 크래프톤의 지난해 직원 평균 연봉은 1억900만원으로 2023년(9800만원) 대비 11.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엔씨소프트는 1억700만원에서 1억800만원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시프트업과 크래프톤은 지난해 양호한 실적을 바탕으로 업계 최고 수준의 보상을 제공했다. 시프트업의 지난해 매출은 2199억원, 영업이익은 1486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30.4%, 33.8% 증가했다. 같은 기간 크래프톤의 매출은 2조7098억원, 영업이익은 1조182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각 41.8%, 54.0% 증가한 수치로 역대 최고치다. 두 회사 모두 히트작이 실적을 견인했다. 시프트업은 ‘승리의 여신: 니케’와 ‘스텔라 블레이드’가,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의 흥행이 이어지며 직원들에게 높은 급여와 보너스를 지급했다.

엔씨소프트는 지난해 억대 연봉을 기록했지만, 2022년(1억1400만원)에 비하면 2년 새 5.2%가 줄었다. 여기에는 부진한 실적이 발목을 잡았다. 엔씨소프트의 지난해 매출은 1조5781억원, 영업손실은 1092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전년 대비 11%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다. 신작 공백과 리니지W·M 등 기존 게임의 매출 감소가 이어지면서 성과급이 줄어든 영향이다. 엔씨소프트는 지난해 대규모 권고사직과 희망퇴직을 진행했고 1년 새 직원 수가 1191명이나 줄었다.

시프트업의 모바일 게임 ‘승리의 여신: 니케’./시프트업 제공

그 외 연봉이 인상된 게임사들의 증가율은 미미했다. 넥슨 자회사인 넥슨게임즈의 직원 평균 연봉은 전년(9352만원) 대비 1.3% 증가한 9480만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컴투스와 넷마블의 연봉은 각각 1.2%, 2.6% 증가한 8200만원과 7700만원으로 확인됐다.

반면 직원 연봉이 감소한 게임사도 있다. 데브시스터즈는 국내 게임사 중 연봉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이 회사의 지난해 직원 평균 연봉은 6600만원으로 전년(8300만원) 대비 20.4% 하락했다. 데브시스터즈 관계자는 “2023년 말 희망퇴직 시행에 따른 위로금 지급 등의 영향으로 작년도 급여가 줄었다”며 “올해 급여액은 정상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카카오게임즈도 지난해 직원 평균 연봉이 8800만원을 기록하며 전년(9800만원) 대비 10.2% 감소했다. 앞서 카카오게임즈는 2020년 상장 후 직원들이 꾸준히 스톡옵션을 행사하면서 국내 게임사 중 가장 많은 연봉(1억3800만원)을 기록했다. 다만 최근 주가가 부진하자 스톡옵션 행사가 예전만 못한 것이다. 회사 이익이 감소하면서 직원 성과급도 줄었다. 카카오게임즈 관계자는 “2020년 상장을 계기로 직원들의 스톡옵션 행사이익 때문에 연봉이 높게 잡혔던 것이며, 이후 매년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위메이드와 네오위즈의 직원 평균 연봉은 전년 대비 각각 9.7%, 2.3% 감소한 8300만원과 8200만원을 기록했다. 위메이드의 경우 스톡옵션 행사금액을 포함한 직원 평균 급여액은 1억1000만원이었으나, 이는 지난해 장현국 전 위메이드 대표(현 넥써쓰 대표)가 스톡옵션 행사로 97억원을 수령하면서 빚어진 ‘평균의 함정’이다. 스톡옵션 행사금액을 제외한 직원 평균 연봉은 8300만원에 그쳤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01 탄핵 선고 D-1···길 위에선 시민들, “윤석열 파면하라” 한목소리 랭크뉴스 2025.04.03
48300 찢긴 채 쓰레기통서 발견된 '1억2700만원' 수표…무슨 일인가 보니 랭크뉴스 2025.04.03
48299 민주 “대검이 심우정 국선 변호인 행세…법무부 감찰해야” 랭크뉴스 2025.04.03
48298 탄핵 선고 하루 전…이 시각 헌법재판소 랭크뉴스 2025.04.03
48297 “부동산 쏠림 해결 안하면 저성장 고착화” 금융당국 수장들의 경고 랭크뉴스 2025.04.03
48296 챗GPT 지브리 열풍…'짝퉁' 앱까지 신났다 랭크뉴스 2025.04.03
48295 ‘원피스’ 감독 “지브리를 더럽히다니, 챗GPT 용서하지 않겠다” 랭크뉴스 2025.04.03
48294 ‘신고가 행진’ 압구정·목동…"불붙는 집값 제동 위해 불가피"[집슐랭] 랭크뉴스 2025.04.03
48293 자녀 가방에 녹음기 넣어 아동학대 신고…2심 “교사 정직 정당” 랭크뉴스 2025.04.03
48292 탄핵 선고 앞 법조계 “너무 많은 분열…헌재가 국민 통합할 때” 랭크뉴스 2025.04.03
48291 트럼프 "中, 다른 대통령엔 관세 안냈다" 거짓…한국 車·쌀 관련 수치는 비교적 정확 랭크뉴스 2025.04.03
48290 최상목 미 국채 투자 논란에…기재부 “권익위에 이해충돌방지 위반 여부 확인하겠다” 랭크뉴스 2025.04.03
48289 "거제서 18%P차 지면 서울은? 상상도 싫다" 與 재보선 쇼크 랭크뉴스 2025.04.03
48288 [이준희 칼럼]  대한민국의 밑바닥 드러낸 넉 달 랭크뉴스 2025.04.03
48287 ‘트럼프는 25%, 백악관 문건엔 26%’ 숫자 안 맞아 혼란 랭크뉴스 2025.04.03
48286 국민의힘 "이재명, '12·3 계엄 1만 명 학살계획' 허위사실 유포" 랭크뉴스 2025.04.03
48285 개헌론 띄운 與 “87체제 극복” 랭크뉴스 2025.04.03
48284 경찰, ‘낙상 마렵다’ 신생아 학대 사건 수사 착수···추가 피해 가능성도 랭크뉴스 2025.04.03
48283 검찰, '강제추행 혐의' 배우 오영수에 2심서도 실형 구형 랭크뉴스 2025.04.03
48282 내 생각과 다르면 헌재 선고 '승복 불가' 44%... 결론 어느 쪽이든 분열 불가피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