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9년 1450억원에 인수한 美 에이본
화장품 방문 판매… 회사 4년 연속 적자
이정애 대표 취임 이후 M&A 기조 변화
LG생활건강 “에이본 매각은 사실무근”

LG생활건강 로고.

이 기사는 2025년 3월 26일 15시 58분 조선비즈 머니무브(MM) 사이트에 표출됐습니다.

LG생활건강이 미국 손자회사인 에이본(The Avon Company) 매각 가능성을 저울질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LG생활건강은 과거 차석용 대표이사 부회장 시절 적극적인 인수·합병(M&A) 전략을 폈고 이 과정에서 성공 사례가 많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잦은 M&A로 인한 후유증 또한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LG생활건강은 대표 교체 이후 내실화에 주력하고 있다.

2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LG생활건강은 에이본 매각을 추진 중이며 원금인 1500억원 이상을 보장받고자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미 인프라를 확보하기 위해 사들였으나, 실적 악화로 매각에 착수한 것으로 보인다.

LG생활건강은 2019년 4월 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서버러스(Cerberus)로부터 에이본(옛 뉴에이본) 지분 100%를 1450억원에 인수했다. 이듬해 자회사인 LG H&H USA에 에이본 주식을 100% 현물 출자했다. 에이본이 LG생활건강의 자회사에서 손자회사가 된 것이다.

북미 진출을 위한 전초 기지로 삼고자 했던 에이본은 방문 판매라는 방식이 트렌드와 맞지 않아 실적에 큰 보탬이 되지 못했다. 인수 다음 해인 2020년 2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흑자로 돌아섰지만, 2021년(-55억원), 2022년(-470원), 2023년(-404억원), 2024년(-280억원) 내리 적자를 기록했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경영진 입장에서 충분히 매각을 고민해 볼 만한 사업부”라며 “에이본이 전체 실적에 크게 도움을 주는 상황이 아니라 정리하는 게 합리적인 판단이라고 결정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에이본 인수 당시 LG생활건강을 이끌던 최장수 최고경영자(CEO) 차 전 부회장은 ‘M&A의 귀재’로 불렸지만, 2022년 실적 악화와 함께 18년 만에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는 재임 시절 코카콜라음료와 더페이스샵, 해태음료, 에버라이프 등을 인수하며 사세를 키웠다.

차 부회장의 자리는 LG그룹 사상 첫 여성 사장인 이정애 대표가 이어받았다. 이 대표 체제 아래 LG생활건강의 M&A 기조는 변했다. 그는 기존의 M&A 및 IR 부문을 해체하고 전략부문을 신설했다. 굵직한 M&A도 2023년 비바웨이브(425억원)와 2022년 더크렙샵(1485억원) 인수 두 건뿐이다.

에이본(Avon)은 130년 역사의 화장품 직접판매 회사로, 2016년 본사였던 미국법인을 포함한 북미사업과 해외사업을 분리해 북미사업을 사모펀드 서버러스(Cerberus)에 매각했다. LG생활건강이 산 북미사업부 뉴에이본이 사명 변경으로 에이본이 된 것이다.

IB 업계 한 관계자는 “LG그룹의 경우 자회사 매각 때 별도의 자문사를 고르지 않는 경우가 잦다”며 “평소 자문사 역할을 하는 곳들이 인수 의사가 있는 기업들을 추천하면 LG가 별도로 연락을 취하는 형식”이라고 전했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에이본 매각 여부에 대해 “사실무근”이란 입장을 밝혔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47 초유의 야구장 관중 사망 사고…KBO리그 4월 1일 모든 경기 취소 랭크뉴스 2025.03.31
46846 "갈치구이 1인당 '10만원', 제주 비싸다는 대표적 사례"…지사까지 나섰다 랭크뉴스 2025.03.31
46845 [속보] 총리실 “야당 면담요청, 통상 등 현안부터 대응 후 검토” 랭크뉴스 2025.03.31
46844 K배터리 '닭 쫓던 개' 될 판… 中과 점유율 격차 더 벌어진다 랭크뉴스 2025.03.31
46843 탄핵 각오했나…돌연 이천 간 한덕수, 상법 거부권도 서두른다 랭크뉴스 2025.03.31
46842 “이곳저곳 전전, 몸도 지치고 너무 불안합니더” 랭크뉴스 2025.03.31
46841 경찰, '故 김새론 명예훼손' 유튜버 수사…유족에 접근금지도 랭크뉴스 2025.03.31
46840 한덕수, 이재명 면담 요청에 “국가 경제·민생 현안에 우선 대응한 뒤 검토” 랭크뉴스 2025.03.31
46839 국민의힘,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 법안에 “헌재 사유화법·명백한 위헌” 반발 랭크뉴스 2025.03.31
46838 주한미군 개념 바뀌나…중국견제·방위비·전작권 복잡성 증대 랭크뉴스 2025.03.31
46837 일단 수업 정상화부터…온라인 강의로 '첫발' 뗀 의대 랭크뉴스 2025.03.31
46836 野 주도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 법안, 법사소위 통과 랭크뉴스 2025.03.31
46835 끝났어, 1500원 아메리카노…메가커피도 가격 인상 랭크뉴스 2025.03.31
46834 여야 원내대표 회동 빈손 종료…풀리지 않는 얼어붙은 정국 랭크뉴스 2025.03.31
46833 자동차·철강 25%에 무차별 관세 20% 추가? 한국산 최대 45% 부담 랭크뉴스 2025.03.31
46832 공수처, 최상목 수사 착수…마은혁 재판관 임명 보류 혐의 랭크뉴스 2025.03.31
46831 ‘김건희 명품백 사건’ 처리 뒤 숨진 권익위 전 간부, 순직 인정 랭크뉴스 2025.03.31
46830 공수처, 최상목 경제부총리 수사 착수…'마은혁 임명 보류' 고발 건 랭크뉴스 2025.03.31
46829 공수처, 마은혁 임명 보류 최상목 사건 자료 확보‥국회사무처 임의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828 野 "최상목, 환율위기에 美국채 베팅" 崔측 "자녀유학 준비로 보유"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