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북 의성군 산불 발생 나흘째인 25일 의성군 단촌면 하화1리에 강풍에 날아온 산불 불씨로 인한 화재가 발생해 있다. 연합뉴스
" “내륙인 의성에 바닷바람같은 강풍이 불었다” "
경북 의성의 산불 현장을 닷새째 지켜보고 있는 김성근 산림청 대변인은 26일 중앙일보에 이렇게 말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경북 북부 지방은 순간 최대 초속 10m를 넘는 강풍이 불었다. 전날 강한 바람을 일으켰던 저기압이 동쪽으로 물러나면서 전날보다는 약해졌지만, 비바람을 몰고 올 새로운 저기압이 한반도 북부에 접근하고 있어 바람은 점차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우진규 기상청 통보관은 “남쪽에는 강한 고기압이 버티고 있는데, 북쪽에 저기압이 유입될 때마다 기압 차이가 커져 강풍이 분다”고 설명했다. 전날 경북 안동은 순간 최대 풍속이 초속 26.7m까지 올랐다. 중형 태풍의 중심 풍속 수준이다.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25년째 산불 현장을 조사하고 있는데, 어제 내륙에서 몸이 흔들릴 정도의 강한 바람은 처음 만났다”며“이 바람을 탄 솔방울 불티가 어제 40㎞를 3시간 만에 날아가며 안동에서 영덕으로 산불을 옮긴 것으로 보인다”고 현지 상황을 전했다.



기온 오르며 강해진 내륙 바람
경북 의성군 산불 발생 나흘째인 25일 산불이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 마을 인근까지 번지고 있다. 뉴시스
영남권을 덮친 이번 산불에는 기후변화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특히 산불 확산의 주범인 강풍이 여름처럼 뜨거운 낮기온의 영향을 받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남고북저'(남쪽 고기압 북쪽 저기압) 기압계로 인해 서풍이 부는 상황에서 낮 기온이 높게 오르는 지역에서 강한 바람이 나타나고 있다. 내륙의 가파른 기온 상승은 바다와의 기온 차이를 크게 만들어 강풍을 일으키고 있다.

국내 기온은 수십년 간 꾸준히 상승했다. 기상청의 관측 기록을 분석해보면, 지난 10년간(2015~2024년) 3월 전국 평균 최고기온은 13.9도로, 30년 전(1985~1994년) 평균인 11.4도 보다 21% 가량 올랐다. 권춘근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사는 “특히 내륙의 봄철 기온이 크게 상승하면서 상대습도는 감소하고, 바람 세기는 강해졌다”며“이런 변화가 동해안뿐 아니라 내륙에서도 대형 산불을 발생시킬 수 있는 조건을 만들었다”고 전했다.

상대습도는 대기가 머금을 수 있는 수증기량 최대치 대비 현재 수증기량을 뜻한다. 대기는 기온이 오를수록 수증기를 머금을 수 있는 그릇도 커지기 때문에, 상대습도는 낮아진다. 지표면이 건조해진다는 의미다. 또한 내륙의 기온이 오르면 내륙 공기가 상승하기 때문에 바다에서부터 내륙의 빈 자리로 공기가 이동하며 바람이 강해진다.



전세계서 기후변화로 산불 대형화
2022년 3월 경북 울진과 강원 강릉·동해·삼척 등에 기록적인 피해를 남긴 동해안 산불이 발생한 지 1년 뒤에도 강원 동해시의 산림에 화마의 흔적이 남아있다. 연합뉴스
김성근 대변인은 “그간 우리나라의 대형 산불은 주로 양간지풍이 부는 4월 동해안에서 발생했는데, 최근 몇년 사이 대형 산불이 내륙에 동시다발로 발생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산불의 대형화는 전세계 곳곳에서 보고되고 있다. 지난달 26일 일본 이와테현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은 일본 동쪽 바다의 해수온도가 평년 대비 3도가량 상승해 건조하고 강한 바람이 나타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올해 1월 역사상 가장 큰 재산 피해(최대 237조원)를 남긴 미국 LA 산불은 우기인 겨울철에도 가뭄이 이어진 탓에 산불이 한달 내내 잡히지 않았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27 공매도 재개… 고평가·대차 잔고 비중 큰 종목 주의 랭크뉴스 2025.03.31
46526 트럼프 “3선 가능, 농담 아니다”…민주당 “독재자가 하는 짓” 랭크뉴스 2025.03.31
46525 날계란 맞고 뺑소니로 전치 4주 부상에도 집회장 지키는 이유…“아무도 다치지 않길 바라서” 랭크뉴스 2025.03.31
46524 [삶] "서양 양아빠, 한국자매 6년간 성폭행…일부러 뚱뚱해진 소녀" 랭크뉴스 2025.03.31
46523 경기 18건, 경북 9건...산불 죄다 났는데 영남만 피해 큰 까닭 랭크뉴스 2025.03.31
46522 ‘깨지기 쉬운 지반’ 보고서 확인하고도… 서울시, 명일동 ‘안전~보통’ 등급 판단 랭크뉴스 2025.03.31
46521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전 대비 6.1배 많아져 랭크뉴스 2025.03.31
46520 [르포] 누리호 4차 발사 준비 ‘이상 無’… “항우연·한화 원팀 됐다” 랭크뉴스 2025.03.31
46519 "당장 윤 파면‥마은혁 임명 거부 시 중대 결심" 랭크뉴스 2025.03.31
46518 "포켓몬빵보다 잘 팔려요"…편의점 효자상품 떠오른 '이 빵' 랭크뉴스 2025.03.31
46517 오픈AI ‘지브리풍’ 이미지 열풍에 저작권 침해 논란 커져 랭크뉴스 2025.03.31
46516 '불바다' 천년 고찰 목욕탕서 버틴 소방관 11명, 동료들에 극적 구조 랭크뉴스 2025.03.31
46515 [단독]한덕수 내일 국무위원 간담회 소집…상법∙마은혁 논의할 듯 랭크뉴스 2025.03.31
46514 상호 관세 부과국 ‘아직’…“한·일·독이 미국을 조립국으로 만들어” 랭크뉴스 2025.03.31
46513 미얀마 강진 나흘째…인명 피해 ‘눈덩이’ 랭크뉴스 2025.03.31
46512 '탈출은 지능 순'이라는 K증시...개미 지갑만 털리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3.31
46511 ‘산청·하동 산불’ 213시간 만에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3.31
46510 [여명]학도병들은 이제 강의실로 돌려보내자 랭크뉴스 2025.03.31
46509 한덕수 복귀 6일만에 "또 탄핵"…재판관 임기도 늘린다는 野 [view] 랭크뉴스 2025.03.31
46508 [단독] 민주당, 자녀 많을수록 소득세 감면···프랑스식 ‘가족계수제’ 유력 검토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