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기 대선 현실화땐 대항마 없어
헌재에 ‘尹 신속 파면 결정’ 촉구
李-美 주지사 면담 뒤늦게 공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6일 경북 안동체육관에 마련된 이재민 대피소를 찾아 한 이재민을 위로하고 있다. 이 대표는 이날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에서 무죄가 선고되자 곧바로 고향인 안동으로 향했다. 안동=권현구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보다 공직선거법 항소심 판결이 먼저 나오는 상황에 마음 졸였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오히려 극적 반전을 맞았다. 2심 무죄 선고로 조기 대선이 현실화할 경우 큰 장애물이 사라지면서 당내 이 대표 구심력은 더 힘을 받게 됐다. 민주당은 이제 헌법재판소의 조속한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촉구하는 데 당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 대표가 26일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자 당내에서는 내부 변수가 사실상 사라졌다는 평가가 나왔다. 헌재의 윤 대통령 탄핵 인용으로 조기 대선이 열려 경선을 하게 되더라도 내부에서는 경쟁자가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비명(비이재명)계가 활동할 공간이 더욱 좁아졌다는 뜻이다. 한 중진 의원은 “이 대표 중심 체제가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며 “이제는 조기 대선을 통해 국정을 안정시킬 필요가 커졌다. 민생 문제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명계 인사들도 이 대표 무죄 선고를 환영한다는 입장을 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애초부터 야당 대표를 겨냥한 정치보복성 수사이자 무리한 기소였다”며 “그간 고생하신 이 대표께도 위로와 함께 축하를 드린다”고 밝혔다. 김동연 경기지사도 “검찰의 과도한 기소를 이제라도 바로잡아 다행”이라는 입장을 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진행된 항소심 선고공판에 출석한 뒤 차량에 탑승해 동료 의원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이 대표는 이날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한 항소심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았다. 사진공동취재단

헌재의 탄핵심판 선고 지연으로 어수선하던 정치 지형도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야권은 기대하고 있다. 이 대표가 사법 리스크를 일단 털어내면서 ‘계엄 대 반계엄’ ‘찬탄 대 반탄’ 구도가 더 선명해졌다는 게 민주당의 설명이다.

민주당은 헌재의 신속한 윤 대통령 파면 결정을 촉구하는 데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 대표는 이날 광화문 천막당사에서 “(윤 대통령은) 국민이 맡긴 총칼로 국민에게 위협을 가하지 않았나. 온 국민이 다 봤는데 무슨 또 증거가 필요하냐”며 “이유 없이 (선고를) 계속 미룬다는 것은 그 자체가 헌정질서에 대한 위협”이라고 헌재를 압박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도 “헌재가 이제 응답할 차례다. 오늘 중에 선고기일을 지정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당은 오후 비공개 의원총회를 열고 헌재 선고와 관련한 전반적인 상황을 점검했다. 당내에서는 이 대표 무죄 선고에 따라 헌재 내부의 이상기류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잠잠해지는 분위기다. 당 관계자는 “이 대표 무죄로 헌재도 어느 정도 입장을 정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대권 주자로서의 이 대표 면모를 부각하는 전략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이 대표가 방한 중인 마이크 던리비 미국 알래스카 주지사를 만난 사실도 뒤늦게 공개했다.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굳건한 한·미동맹의 토대 위에서 미래 지향적 협력을 지속하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며 “이 대표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안부를 전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79 데드라인 하루 앞두고 부산대·충남대 의대생도 전원 복귀 랭크뉴스 2025.03.30
46378 "메리츠를 '한국의 버크셔'로"…주총서 CEO 건강 챙긴 주주들 랭크뉴스 2025.03.30
46377 ‘불쏘시개’ 침엽수 위주 숲가꾸기 사업, 산림청은 왜 귀닫고 있나 랭크뉴스 2025.03.30
46376 경남북 산불 주불 진화 공식 발표…"사망 30명 등 사상자 75명"(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375 '이대남 코인러' 200만…억대 큰손은 40대男·50대女 많아 랭크뉴스 2025.03.30
46374 국토부, 산불 피해 이재민에 긴급지원주택‥2년간 무상 거주 랭크뉴스 2025.03.30
46373 꽃샘추위에 73분 늦은 '초인'... 지드래곤 "내년엔 빅뱅으로 만날 것" 랭크뉴스 2025.03.30
46372 힘들게 터 잡은 청년농부들, 피땀 어린 삶의 터전도 잿더미 랭크뉴스 2025.03.30
46371 "삼일절 연휴 급여 달라"는 홈플러스 임원들…법원에 조기변제 신청 논란 랭크뉴스 2025.03.30
46370 휴대전화 수리 맡겼다가…대리점 여직원에 2억 뜯긴 90대, 뭔일 랭크뉴스 2025.03.30
46369 미얀마, 여진 속 필사의 '맨손' 구조활동…국제사회 지원 속도 랭크뉴스 2025.03.30
46368 글로벌 관세 전쟁, 서비스 분야로 확대될 수도… “美 빅테크에 보복관세” 랭크뉴스 2025.03.30
46367 한덕수의 침묵... 총리실 "마은혁 임명에 아무 말도 없다" 랭크뉴스 2025.03.30
46366 강민국, '연쇄 탄핵' 압박에 "이런 국회 해산해야‥총사퇴 각오" 랭크뉴스 2025.03.30
46365 화재 취약한 침엽수 위주 ‘숲가꾸기 사업’, 산림청은 왜 귀닫고 있나 랭크뉴스 2025.03.30
46364 기동대 숙박비만 13억 썼다…尹선고 지연에 피로 쌓이는 경찰 랭크뉴스 2025.03.30
46363 야권,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권한쟁의심판·재탄핵···늦어지는 탄핵심판에 카드 총동원 랭크뉴스 2025.03.30
46362 한예슬에 "나잇값 좀 하자"…벌금형 받은 악플러 2심 무죄, 왜 랭크뉴스 2025.03.30
46361 BTS 뮤직비디오 ‘피 땀 눈물’ 유튜브 10억뷰 돌파 랭크뉴스 2025.03.30
46360 "가족 9명 깔려, 생후 20일 아들까지"…한국서 애타는 미얀마인들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