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우크라·러, 미 중재로 흑해서 ‘무력 사용 중단’ 합의
구체적 협의 내용 불분명한 와중 러, 추가 조건 제시
유럽 “트럼프, 조기 종전 위해 국제 안보 훼손 우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미국 중재로 에너지·인프라 분야를 비롯해 흑해에서의 무력 사용을 중단하는 데 합의했다. 개전 3년이 넘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을 향해 의미 있는 걸음을 내디뎠지만, 정확한 휴전 조건과 시점 등을 놓고 이견이 노출되는 등 갈등의 불씨가 남았다.

미국 백악관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와 릴레이 실무 회담을 거친 끝에 25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내고 “미국과 러시아가 흑해에서 안전한 항해를 보장하고, 무력 사용을 배제하며, 군사 목적으로 상업용 선박을 사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크렘린궁도 성명을 내 이를 확인했고, 우크라이나 국방부 역시 SNS에서 합의 내용을 수용했다고 공표했다.

백악관은 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에너지 시설 공격을 30일간 중단하기로 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가운데 사진)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오른쪽) 간 최근 합의를 이행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도 미·러가 합의했다고 전했다. 크렘린궁과 우크라이나 국방부도 같은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흑해와 에너지·인프라 분야 휴전의 구체적 합의 사항은 여전히 불분명한 상태로 남았다. 러시아는 이날 흑해 해상 휴전의 전제 조건으로 ‘농산물 수출에 대한 서방 국가들의 제재 해제’를 내걸었다. 크렘린궁은 러시아 국영 농업은행(로셀호그)과 국제 결제 시스템인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의 연결 복원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항만 서비스와 식품·비료 무역거래를 하는 러시아 선박에 대한 제재 해제 등도 조건에 포함했다.

미국은 이에 관해 “러시아의 농산물·비료 수출을 위한 세계 시장 접근성을 복원하고, 해상 보험 비용을 낮추며, 이런 거래를 위한 항만 및 결제 시스템 접근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휴전 조건으로 명시하진 않았지만 일종의 합의 유인책을 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뉴욕타임스(NYT)는 “미국이 러시아의 요구를 들어준다면 대러 경제 제재를 푸는 첫 단계가 될 것”이라며 “대러 압박을 강화하려는 서방의 정책을 실질적으로 뒤집는 것”이라고 짚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왼쪽)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미국과 합의한 휴전이 25일 즉각 시작돼야 한다며 러시아가 내민 휴전 조건이 “우크라이나의 입지를 약화시킨다”고 반발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합의 내용을 왜곡하려 하고, 미국과 전 세계를 속이려 하고 있다”며 “러시아가 합의를 어기면 미국에 추가 제재 부과를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의 요구대로 농업 부문 수출 제재를 해제하려면 유럽연합(EU)의 승인이 필요한데, 현재로선 그럴 가능성이 작다고 NYT는 분석했다. 우크라이나뿐 아니라 유럽 국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빠른 종전’이란 목표를 위해 푸틴 대통령의 요구에 굴복해 안보를 훼손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에너지·인프라 분야 휴전에 대해서도 젤렌스키 대통령은 25일 발효돼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러시아는 성명을 통해 지난 18일 시작돼 30일간 유효한 것이라고 명시했다. 러시아는 협정 기한은 합의에 따라 연장될 수 있지만, 한쪽이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파기할 수 있다는 단서를 달았다. 공격 유예 대상이 되는 에너지 시설 목록도 러시아만 공개했다. 정유공장과 석유 저장 시설, 석유·가스관 시설, 발전소와 변전소 등 전력 생산·송전 시설, 원자력발전소와 수력발전소 등이 포함됐다.

결국 이번에 합의한 부분 휴전이 언제 어떻게 실행될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BBC는 “합의 내용은 우크라이나 내 전투를 어느 정도 줄이기 위한 불안정한 조치일 뿐이며 상호 불신 분위기 속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고 논평했다. 그러면서 “합의가 유지된다 하더라도 미국이 애초 원했던 전면적이고 완전한 휴전과는 여전히 거리가 멀다”고 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02 강진 덮친 미얀마… 美 “도울 것” 中 “구조팀 급파” 日 “마음 아파” 랭크뉴스 2025.03.29
45901 3200만 구독자 '中 쯔양' 충격 고백…"난 여성 아닌 여장 남자" 랭크뉴스 2025.03.29
45900 한덕수 “산불 이재민 일상 회복 때까지 총력 지원…뒷불 감시 집중해야” 랭크뉴스 2025.03.29
45899 미얀마강진 사망자 700명으로 급증…"1만명 이상 사망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898 尹탄핵심판 '4월 선고' 전망 속 전국서 주말 탄핵찬반 집회 랭크뉴스 2025.03.29
45897 미얀마 강진 사망자 700명으로 급증… "1만 명 이상 사망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896 아이유가 '매표 알바' 하던 그곳..."광주극장이 넷플에 떴어요" 랭크뉴스 2025.03.29
45895 9일째 접어든 산청 산불…험준한 산세에 지리산 주불 진화 지연(종합2보) 랭크뉴스 2025.03.29
45894 경북경찰청, '경북산불' 발화 추정 지점 현장조사 실시 랭크뉴스 2025.03.29
45893 ‘경북 산불’ 사망자 1명 늘어… 총 30명 숨져 랭크뉴스 2025.03.29
45892 '착한 침대'가 돈까지 벌어다줬다…2년 연속 매출왕 오른 비결 [비크닉] 랭크뉴스 2025.03.29
45891 "오늘 안에 주불 잡는다" 지리산 국립공원 진화 총력...경북·경남 산불 사망자 30명 랭크뉴스 2025.03.29
45890 안동·의성서 다시 발생한 산불 진화 완료…"재발화 아닌 잔불" 랭크뉴스 2025.03.29
45889 미얀마 7.7 강진에…美 지질조사국 “사망자 1만명 넘을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888 미얀마 강진 사망자 694명으로 늘어…부상자 1,670명 랭크뉴스 2025.03.29
45887 중대본 “산불 피해 면적 4만8천㏊…30명 사망” 랭크뉴스 2025.03.29
45886 ‘파기자판’ 뭐길래…국힘, ‘이재명 무죄’에도 왜 물고 늘어질까 랭크뉴스 2025.03.29
45885 '경남·북 산불' 사망자 1명 늘어 총 30명‥구호성금 554억 원 모여 랭크뉴스 2025.03.29
45884 미얀마 강진 사망자 694명으로 급증…부상자 1천670명 랭크뉴스 2025.03.29
45883 점복 대신 데이, 레몬 대신 귤…'폭삭', 한국적 소재로 어떻게 세계를 울렸나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