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의 모습. 연합뉴스
고려대 의대가 26일까지 올해 1학기 미등록·미복학한 학생들을 제적 처리하기로 했다. 재적 학생의 절반가량으로 추산된다. 전국 40개 의대 중 처음으로 제적 처리를 확정했다.

이날 고려대 의대 관계자는 “21일까지 등록을 완료하지 않은 학생과 등록을 하고도 이날까지 복학 신청을 하지 않은 학생들이 제적 대상”이라며 “28일 최종적으로 제적 통보서가 문자와 e메일, 등기로 발송될 예정”이라고 했다. 고려대 의대는 지난 21일까지 등록한 학생(등록금 납부)을 대상으로 이날 오후 5시까지 복학 신청을 받았다.



의대생 절반 제적…본부도 “의대 결정 존중”
의료계에 따르면 21일까지 등록하지 않아 제적 통보된 고려대 의대생은 전체 재적학생의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 재적학생(737명) 수를 고려하면 300~350명 수준이다. 고려대 관계자는 “등록하고 복학하지 않은 학생까지 고려하면 조금 더 늘어날 수도 있겠지만, 대다수 등록 학생들은 복학 신청을 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실질적인 제적 절차는 본교 총장의 승인 이후 진행된다. 고려대 본교 측은 “의대의 결정을 존중해 절차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학교 관계자는 “학생을 제적하는 게 학교에 상당한 부담이지만, 의대생들에게 충분한 기회를 제공해 왔으며 다른 학부 학생과의 형평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지금 등록 안 될까?’ 의대생 200명 면담 쇄도
지난 24일 오후 고려대 의과대학의 한 강의실이 불 꺼진 채 텅 비어 있다. 이후연 기자
고려대 의대는 제적 처리와 별도로 27일부터 학생 상담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휴학·복학에 대한 학생 문의가 쇄도했기 때문이다. 의대 관계자는 “‘복학이 가능한가’ ‘등록 기간을 연장해 줄 수 있느냐’ 등의 문의가 쇄도하면서, 학교 측에서 긴급 면담 시간을 마련했다”며 “전날(25일) 오후 8시 30분 전체 문자를 통해 학생들에게 면담이 가능하다고 공지했는데, 이날까지 신청한 학생만 200명이 넘는다”고 밝혔다. 학교 측은 내일부터 1대 1 교수 면담 등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단, 학교 측은 이 면담이 ‘구제 절차’와는 다르다고 설명했다. 의대 관계자는 “제적 절차는 이미 이날 오후 5시부로 마감된 상태”라며 “그러나 복학을 강력히 희망하거나 등록을 원하는 학생이 예상보다 많다는 점이 확인된 만큼, 제적 절차와는 별개로 학생들을 지도하고 상담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고려대의대 전직 학생대표 5인의 입장문.
대규모 제적 위기 속에서 일부 의대 선배들도 실명으로 글을 올리며 “각 학생이 복귀 여부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다은 제35대 고려대 의예과 학생회장 등 고려대 의대 전 학생 대표 5명은 전날(25일) ‘존경하는 고려대 의대 학우 여러분께’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복귀생) 리스트 작성 및 공유, 무분별한 마녀사냥, 서로에 대한 비난과 감시 등이 이어지는 동안 학우 여러분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한 게 사실”이라며 “더는 불필요한 시선 없이 자신의 거취를 결정할 자유를 보장받아야 한다”고 했다.



학내 갈등 우려도
하지만 의대생 제적이 현실화할 경우 학내 갈등이 고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강경파 의대생들을 중심으로 “실제 복귀자는 많지 않다”는 주장이 계속 나오고 있으며, 복귀 마감을 앞둔 서울대 등에선 ‘집단 투표’를 통해 복귀 여부를 결정하자는 움직임도 이어지는 상황이다. 일부 의대 교수 단체에선 “학생 제적이 이뤄지면 교단을 떠나 단식 투쟁도 고려할 것”이라고 했다.

울산대도 이날 자정까지 등록하지 않은 학생은 제적 대상이 된다. 대학 관계자는 “현재까지 얼마나 등록했는지는 알 수 없다”며 “31일이 개강인만큼 그때까지 더 기다려볼지 추후 논의 예정”이라고 했다. 임영석 울산대 의대 학장은 지난 21일 아산의학관 개관식에서 취재진과 만나 “제적이라는 압박 카드를 사용할 생각은 없다”며 “학생들과 공감대를 넓혀 복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71 권성동 "의회 쿠데타 배후엔 이재명·김어준…野 72명 내란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70 조국혁신당 "한덕수, 월요일까지 마은혁 임명 않으면 즉각 탄핵" 랭크뉴스 2025.03.29
45969 탄핵촉구 단체들 도심 집회·행진…"심판 지연 용납못해" 랭크뉴스 2025.03.29
45968 경북 산불 곳곳 재발화‥오후 바람 거세져 랭크뉴스 2025.03.29
45967 [속보] 권성동 “이재명·김어준·민주당 초선 72명 내란 음모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66 [속보]‘탄핵 예고’에 권성동 “이재명·김어준 등 내란음모죄로 고발하겠다” 랭크뉴스 2025.03.29
45965 美 국무부 “SNS 뒤져 테러 옹호하면 학생비자 발급 거부” 랭크뉴스 2025.03.29
45964 [속보] 권성동 "이재명·김어준·민주 초선 72명 내란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63 [속보] 권성동 "'내각탄핵 예고' 野초선·이재명 등 72명 내란선동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62 성적은 꼴찌인데 이적료만 600억 벌었다...히어로즈 '별난 야구' 랭크뉴스 2025.03.29
45961 [속보] 권성동 "'내각탄핵 예고' 이재명·野초선 72명, 내란선동죄 고발" 랭크뉴스 2025.03.29
45960 산청·하동 진화율 99%‥5개 마을엔 대피령 랭크뉴스 2025.03.29
45959 ‘강진’ 미얀마, 1200명 사망… 부상자 2376명 랭크뉴스 2025.03.29
45958 토허제 발표 이후 송파·서초·강남 매물 뚝…송파는 집값 하락 전환 랭크뉴스 2025.03.29
45957 “내 딸 때렸냐” 11세 아이 다그친 남성… 아동학대일까 랭크뉴스 2025.03.29
45956 서울 전역에 건조주의보… 강원 평창 대설주의보는 해제 랭크뉴스 2025.03.29
45955 헌재 선고 지연에 윤 지지자들도 ‘불안’…도심 곳곳서 탄핵 반대 집회 랭크뉴스 2025.03.29
45954 검찰, 천하람 소환조사…명태균 ‘칠불사 홍매화 회동’ 캐나 랭크뉴스 2025.03.29
45953 ‘버거플레이션’ 현실화…롯데리아·노브랜드·써브웨이 줄인상 랭크뉴스 2025.03.29
45952 "묘지 정리 후 나뭇가지 태웠다"…발화 추정 지점엔 버려진 라이터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