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선배 의사들 “제적 현실화된 상황에선 돌아와야”
의대 선배들 “복귀 여부 각자 자유롭게 결정해야"
의협 집행부 비판 ”제적 연기 요청하라” 주장도
서울대 의대 학장단이 수업 거부 학생들에게 제시한 복귀 시한을 하루 앞둔 26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 의과대학 내부에 자율학습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뉴시스


수업 거부 의대생들의 무더기 제적 사태가 당장 이번 주부터 현실화할 것으로 보이자 의료계 내부 동요가 커졌다. 학생들을 향해 "우선 학교로 돌아오라"거나 "단일대오를 강요하지 말고 복귀 여부를 자유롭게 정하도록 해야 한다"고 설득하고 있다.

또, 대한의사협회(의협) 안에서도 "지도부가 직접 나서 제적 시한을 연기해달라고 요청하라"는 주장이 나오는 등 의정갈등 최전선에 의대생을 세워놓고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김택우 회장 체제에 대한 비판도 커지고 있다.

연세대, 오는 28일 미등록 의대생 제적 예정



26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규모 제적 위기 앞에선 의대생의 일부 선배들은 실명으로 글을 올려 "각 학생이 복귀 여부를 자유롭게 정할 수 있도록 하자"고 밝혔다.

김다은 제35대 고려대 의예과 학생회장(현 본과 재학생) 등 고려대 의대 전 학생 대표 5명은 전날 '존경하는 고려대 의대 학우 여러분께'라는 제목의 글에서
"(복귀생) 리스트 작성 및 공유, 무분별한 마녀사냥, 서로에 대한 비난과 감시 등이 이어지는 동안 학우 여러분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한 게 사실"
이라며 "우리는 의견을 자유롭게 개진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더는 불필요한 시선 없이 자신의 거취를 결정할 자유를 보장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고려대 의대에서는 일부 학생들이 온라인 단체 대화방에서 "올해 1학기 등록금 미납 사실을 인증해달라"고 요구하는 방식으로 동료들의 복귀를 방해하는 일이 발생해 경찰이 수사하고 있다.

고려대 전 학생 대표들의 실명 입장문을 두고 지지 표명도 나왔다. 이 대학 의대를 졸업한 최안나 전 의협 대변인(대한의료정책학교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누구도 타인의 희생을 요구할 수 없다"며 "이제 당당하게 할 말 하시라"고 말했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24일 서울 용산구 의협 대회의실에서 열린 의료정책연구원 주최 의대 증원과 의학교육 문제 포럼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스1


기성 의사 사회 내부에서도 "우선 의대생들을 학교로 복귀하도록 설득하는 게 맞다"는 의견이 힘을 얻는다. 오는 28일 연세대를 시작으로 각 의대가 미등록 학생을 제적하겠다고 밝힌 상황에서 일단 급한 비는 피해야 한다는 취지다.

황규석 서울시의사회 회장은 이날 본지 통화에서 개인 의견임을 전제로
"제적이 현실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의대생들은 학교로 돌아가야 한다"며 "정부를 상대로 한 투쟁과 협상은 선배 의사들이 해야 할 시기"
라고 말했다. 앞서 이동욱 경기도의사회장도 24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의협이 책임 있는 결정을 하지 않는다고 꼬집으며 "아무도 위기에 처한 의대생을 도와줄 계획이 없다면 앞길이 창창한 의대생들은 그만하고 돌아가라고 하는 것이 어른의 도리"라고 밝혔다.

의협 내부에서도 현실론을 앞세워 '강경 투쟁'을 잠시 미뤄두고 의대생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일부 지역 의사회 회장은 이날 열리는 의협 상임이사회에서 "의협이 정부에 제적 시한을 연기해달라고 건의해야 한다"는 의견을 낼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의협이 "제적 시한을 연기하고 협상하자"고 요청해도 정부와 각 대학이 이를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이미 의대생들에게 "더는 예외 적용은 없으며 학칙대로 처리하겠다"고 밝힌 데다 다음 달 말까지는 내년도 의대 모집 인원 등 대학입학전형을 확정지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69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천644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9
46068 "불 꺼져도 집에 못 가" 갈 곳 사라진 산불 이재민들 랭크뉴스 2025.03.29
46067 ‘불씨 되살아 날라’…이제는 잔불과의 전쟁 랭크뉴스 2025.03.29
46066 "추억도, 생업도 다 없어져"‥삶의 터전 앗아간 화마 랭크뉴스 2025.03.29
46065 1300㎞ 떨어진 건물도 붕괴...너무 얕은 '10㎞ 진원'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
46064 '산불사태' 인명피해 75명으로 늘어…산청 진화율 99%(종합3보) 랭크뉴스 2025.03.29
46063 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소환통보…“정치 탄압 칼춤” “법 위 군림 안돼” 랭크뉴스 2025.03.29
46062 ‘지진 피해’ 미얀마 군사정권, 국제 사회에 인도적 지원 요청 랭크뉴스 2025.03.29
46061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 명 넘어…‘건물 붕괴’ 지금 방콕은? 랭크뉴스 2025.03.29
46060 외교정책 비판도 ‘테러 옹호’ 규정…SNS 뒤져 비자 문턱 높이겠다는 미국 랭크뉴스 2025.03.29
46059 프로야구 30일 NC-LG 창원 경기 취소… 구조물 추락 사고 여파 랭크뉴스 2025.03.29
46058 산불 피해 반려견 사료 2톤 도난…“청년 대여섯명이 실어가” 랭크뉴스 2025.03.29
46057 산불로 폐허가 된 마을[현장 화보] 랭크뉴스 2025.03.29
46056 창원NC파크서 철제구조물 추락… 여성 2명 중경상 랭크뉴스 2025.03.29
46055 ‘입꾹닫’하고 사는 세상, 용기 내볼까[이다의 도시관찰일기] 랭크뉴스 2025.03.29
46054 ‘고중량 운동’하는 남성, 이 병을 조심하자[수피의 헬스 가이드] 랭크뉴스 2025.03.29
46053 보통 50~60km 깊이인데… 너무 얕은 '10km 진원'이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
46052 “헌재 빨리 판단 내려야”…주말 탄핵 찬반 집회 랭크뉴스 2025.03.29
46051 이재명 "국힘 '골프사진 조작' 비판…진실 직시해야" 랭크뉴스 2025.03.29
46050 일요일 아침 ‘꽃샘추위’ 영하권… 전국 건조하고 강풍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