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진화 늦어지면 울진도 위험권…바람 방향 급변하거나 돌풍 불어
진화공백 틈타 전방위 확산…안동·청송·영양·영덕 큰 피해


(안동=연합뉴스) 한무선 기자 =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강한 바람을 타고 동쪽으로 향하면서 동해안 지역을 위협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26일 남풍과 남서풍이 불어 화마가 북상할 우려도 제기됐다.

영덕 바다에 닿은 의성 산불
(영덕=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26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 마을이 산불에 폐허가 돼 있다. 2025.3.26
[email protected]


이런 추세라면 닷새째 잡히지 않고 있는 의성 산불이 영덕 위쪽인 울진까지 위협할 기세다.

26일 산림 당국에 따르면 지난 22일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사흘만인 지난 24일 인접한 안동 길안면을 비롯해 남선면, 임하면 일부 마을까지 확산하며 안동을 덮치기 시작했다.

이 산불은 계속 확산해 발생 나흘째인 지난 25일 안동 전역에 주민 대피령을 내리게 했고, 동진을 이어가면서 청송까지 넘어갔다.

청송으로 퍼진 산불은 같은 날 영덕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또 북동쪽으로도 향해 영양으로도 번지기도 했다.

이처럼 경북 북동부를 강타한 의성 산불은 안동지역에만 산불영향구역이 3만7천여㏊(지자체 자체 추산)로 추정될 만큼 큰 피해를 불러오고 있다.

또 주거지 등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했거나 대피하던 이들을 화마가 덮쳐 영덕 8명, 영양 6명, 안동 4명, 청송 3명 등 20명이 넘는 사망자를 냈다.

회색 연기로 가득한 하회마을
(안동=연합뉴스) 손형주 기자 = 26일 경북 안동시 하회마을이 회색 연기와 연무로 가득하다. 산불은 하회마을에서 직선거리로 7km 떨어진 의성군 안사면에서 발생했는데 바람이 하회마을 방향으로 불면서 연기가 밀려온 것으로 알려졌다. 2025.3.26
[email protected]


산림 당국에 따르면 이날 의성 산불 구역에는 남풍이 주로 불면서 불길이 북쪽으로도 향했다.

이 때문에 위쪽에 위치한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에 화마가 미칠까 봐 이날 내내 주변을 긴장시키기도 했다.

또 바람 방향이 때때로 바뀌거나 돌풍이 불면서 불길이 여기저기로 확산하는 분위기도 보인다.

이날 오후 의성군은 사곡 신감리에서 북서쪽인 의성읍 방향으로 산불이 급속히 진행 중이라며, 주민들에게 안전한 곳으로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하기도 했다.

또 영양까지 번졌던 산불 일부가 26일 오후 풍향이 바뀌면서 안동시 도산면과 예안면 쪽으로도 번지고 있다.

안동 도산면에는 퇴계 이황이 후학을 가르친 곳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도산서원이 있다.

실제 2022년 울진 산불의 경우에도 서풍이 계속 불어 계속 동진하다 어느 순간 동풍이 불어서 불길이 반대 방향으로 향한 적도 있다.

연기 피어오르는 주왕산
(청송=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26일 산불이 번진 경북 청송군 주왕산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2025.3.26
[email protected]


이처럼 바람 방향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가운데 이번 산불이 북쪽 또는 북동쪽으로 계속 번질 경우 원자력 발전소가 있는 울진도 안전하다고 할 순 없는 분위기다.

산림청 관계자는 "봄철은 서풍이 많은 계절이라 의성 산불이 초기부터 주로 동진하면서 확산했지만 어제, 오늘은 남풍과 남서풍이 불었다"며 "국지적으로 바람 방향이 바뀌거나 돌풍이 부는 등 예측할 수 없는 상황들이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99 산불 대응에 ‘10조 추경’ 물꼬 튼 정부…“4월 중 통과 요청” 랭크뉴스 2025.03.30
46398 신정아 "尹 무서워 오줌쌌다"…반윤 검사가 밝힌 '조사실 진실' 랭크뉴스 2025.03.30
46397 ‘왕의 귀환’ 지드래곤 8년 만의 콘서트···73분 지연은 오점 랭크뉴스 2025.03.30
46396 홈플러스, 회생법원에 ‘임원 사흘치 급여’ 지급 허가 신청 랭크뉴스 2025.03.30
46395 “원자폭탄 334개 위력”…미얀마 강진 나흘째, 사망자 1600명 넘어 랭크뉴스 2025.03.30
46394 정산 계획 내놓지 못한 발란…결제서비스까지 전면 중단 ‘잠정 폐업’ 랭크뉴스 2025.03.30
46393 고령 고객 개인정보로 대출 받은 휴대전화 대리점 직원 송치 랭크뉴스 2025.03.30
46392 고려대·충남대·부산대 의대생도 전원 등록…복귀 '대세'로 랭크뉴스 2025.03.30
46391 삼전 주주만 516만 명인데…전자주총땐 발언·의결권 행사 현실적 불가 랭크뉴스 2025.03.30
46390 정부, 산불 피해 대응 등 '10조 추경안' 내놨지만… 여야, '재난 예비비' 공방만 랭크뉴스 2025.03.30
46389 韓, 野 재탄핵 경고에도 침묵… 마은혁 임명 ‘여야 합의’ 고수 랭크뉴스 2025.03.30
46388 민주 "당장 파면 결단‥마은혁 1일까지 임명 안하면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
46387 헌재 앞 탄핵 반대 철야집회 확대…찬성측 파면촉구 서명운동(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386 한덕수 ‘마은혁 임명’ 침묵…민주 “윤 복귀 위한 위헌적 버티기” 랭크뉴스 2025.03.30
46385 내일 공매도 전면 재개…‘공매도 실탄’ 대차잔고 20억주 쌓였다 랭크뉴스 2025.03.30
46384 [뉴스와 경제+] 48조!31조! 잇따른 미국 투자 약속에도‥상호 관세 '임박' 랭크뉴스 2025.03.30
46383 의대생 복귀 확산… 고려대·충남대·부산대 전원 복학 완료 랭크뉴스 2025.03.30
46382 권성동 "야권 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 법안 추진‥국헌문란 시도" 랭크뉴스 2025.03.30
46381 "가족 9명 깔려, 생후 20일 아들까지" 한국서 애타는 미얀마인들 랭크뉴스 2025.03.30
46380 ‘티몬부터 홈플러스·발란까지’... ‘생존 게임’ 나선 유통업계, 약체 기업 줄도산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