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해리 S. 트루먼호' 함재기 출격 ‥미국의 후티 공습 작전

미국 동부시각 3월15일 오후 2시.

미국은 예멘의 후티 세력에 대해 대대적인 공격을 감행했습니다.

중동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 중인 항공모함 '해리 S. 트루먼'호의 함재기가 출격했고, 후티 기지와 지휘부가 있는 예멘 수도 사나, 북부의 사다·하자를 쑥대밭으로 만들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압도적이고 치명적인 힘을 사용하겠다"고 다짐할 만큼 이번 공습은 무겁고 중대한 군사작전이었습니다.




누군가 모든 작전계획을 알고 있었다!

그런데 이 모든 군사 작전을 사전에 알고 있었던 언론 매체가 있었습니다.

바로 미국의 유명 월간지 애틀랜틱 몬슬리와 매체의 편집인 제프리 골드버그.

공격에 동원된 무기의 종류와 목표물, 공격 순서, 타격 시기 등 최고 전쟁 기밀 사항을 모두 알고 있었던 것이죠.

이 모든 사항은 시그널(Signal)이라는 상업용 채팅방에서 낱낱이 공개된 것입니다.

JD 밴스 부통령과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등 미국의 핵심 안보 책임자인 이른바 프린시펄(Principal)들이 '후티 공격'을 위한 채팅방을 만들고 구체적인 작전을 논의했는데, 이 채팅방에 실수로 언론인 제프리 골드버그가 초대됐던 것입니다.

바로 이 채팅방에서 헤그세스 국방장관은 매우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군사작전 계획을 모두 공개해 버렸습니다.

채팅방에는 미국의 외교안보 핵심인사 18명이 참여했는데, 언론인 골드버그는 침묵을 유지한 채 논의를 지켜봤고, 아무도 그의 존재를 알지 못했다고 합니다.

결국 골드버그 편집인은 자신이 본 내용 가운데 세부 군사계획을 제외한 내용을 잡지 웹사이트를 통해 보도했습니다.




채팅방엔 누가 초대했나?

골드버그 편집인은 3월11일 '마이크 왈츠'라는 인물로부터 접속 요청을 받았다고 합니다.

이때까지 골든버그 편집인은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이라고는 상상을 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누군가 자신을 함정에 빠뜨리기 위한 속임수일 수도 있다는 생각까지 했다고 하죠.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대화의 수준은 높았고, 작전 내용은 구체적이었다고 합니다.

실화? 라고 생각했던 내용은 결국 현실이 되었고, 상상초월의 대형 보안사고가 확인된 것입니다.




왈츠 경질설‥그러나 트럼프 대응은 "기밀정보 없었다"

역대급 보안 사고가 터지자 치명적인 실수를 저지른 왈츠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이 퇴출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전쟁 계획을 일반 메신저에서 논의했고, 그 과정에서 언론인을 채팅방에 초대했으며, 이후 어떠한 해명도 내놓지 못했던 잘못까지.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할 만한 중대한 사고라는 것을 부인할 수는 없었습니다.

미국 의회 상원 정보위 청문회에도 "황당한 일", "중대한 실수"라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하지만 청문회에 참석한 당국자들은 채팅방 논란에 대해 "합법적이었고, 기밀이 없었다"며 진화를 시도했고, 트럼프 대통령의 선택도 왈츠였습니다.

트럼프는 NBC뉴스와 인터뷰에서 "기밀 정보는 없었고, 작은 결함(glitch)"일 뿐이라고 했습니다.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에 대해 "마이크 왈츠는 교훈을 얻었고 그는 좋은 사람"이라고까지 두둔했습니다.

왈츠 보좌관이 사퇴하는 일은 없다는 뜻을 분명히 한 건데, 연간 1천조 원이 넘는 군사비를 지출하는 미국의 안보와 군사 보안이 이렇게 허술할 수 있냐는 비판은 여전히 미국 정가를 뜨겁게 달구고 있습니다.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492 “보험사만 배불려” 도수치료 등 관리급여 전환 추진에…의사들 난리났다 랭크뉴스 2025.03.28
45491 [2보] 미얀마 내륙서 규모 7.3 강진 랭크뉴스 2025.03.28
45490 [속보] 미얀마 내륙서 규모 7.3 지진 랭크뉴스 2025.03.28
45489 유상증자에 주가 폭락했는데… 이재명 덕에 한숨 돌린 형지I&C 투자자들 랭크뉴스 2025.03.28
45488 혁신당 의원 전원 "한덕수·최상목 당장 탄핵‥상시 본회의 열어야" 랭크뉴스 2025.03.28
45487 “영덕 주불 진화” 경북 북동부 산불 진화 속도 랭크뉴스 2025.03.28
45486 산림청 “영덕군 주불 진화 완료” 랭크뉴스 2025.03.28
45485 [속보] 영덕 산불 드디어 다 잡았다…나흘 만에 진화율 100% 랭크뉴스 2025.03.28
45484 송언석 기재위원장 "'산불 재원 충분' 이재명 대국민 사기" 랭크뉴스 2025.03.28
45483 "산불 피해견 줄 사료 2톤 도난" 동물구조단체 반환 호소 랭크뉴스 2025.03.28
45482 ‘미역국에 김치’… 6시간 불 끄고 온 소방관 짠한 저녁 식사 화제 랭크뉴스 2025.03.28
45481 불황에 거품 꺼지는 명품시장…‘미정산’ 발란에, 판매자 전전긍긍 랭크뉴스 2025.03.28
45480 공수처, ‘전과기록 누설’ 이정섭 검사 불구속기소 랭크뉴스 2025.03.28
45479 택지 안 팔리니 '벌떼입찰' 허용한다고?…국토부 "사실무근" 랭크뉴스 2025.03.28
45478 이재용 등 만난 시진핑 "中은 안전 투자처"…삼성에 청신호? 랭크뉴스 2025.03.28
45477 정계선 목에 '죄수 칼' 씌웠다…여야 도넘은 '판사 좌표찍기' 랭크뉴스 2025.03.28
45476 [단독] 냉장고-벽 틈에 82세 어르신 주검…“얼마나 뜨거우셨으면” 랭크뉴스 2025.03.28
45475 [속보]고려아연, 최윤범 회장측 이사 5명 선임…경영권 방어 랭크뉴스 2025.03.28
45474 산불 피해 지원에 100억 쾌척…단일 역대 최고액 기부한 이곳 랭크뉴스 2025.03.28
45473 ‘백현동 개발 특혜’ 민간업자 1심 선고 일주일 연기 랭크뉴스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