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자체 17곳 중 경북 고령인구비율 26%…평균 넘겨
연락 안 되는 가족에 지역상황 서로 실시간 공유하기도
“재난은 약자들을 먼저 덮쳐” 노인 ‘비가시화’ 지적도
25일 경북 안동시 남선면 마을에서 주민들이 야산에 번진 산불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경북 지역 산불에 따른 사망자 대부분이 60~70대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해당 지역의 인구 고령화가 인명 피해를 키운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산림청과 경상북도는 26일 오전 9시 기준 경북 의성군에서 난 산불로 안동 2명, 청송 3명, 영양 6명, 영덕 7명 등 18명이 숨졌다고 밝혔다. 모두 지난 밤사이 불길이 거세게 번지면서 숨진 이들이다. 이들은 대부분 60∼70대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탓에 대피 과정에서 화를 당한 이들도 있어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영덕군 영덕읍 매정리 한 실버타운에서는 25일 밤 9시께 거동이 불편한 입소자 3명이 차를 타고 대피하다가 화를 당했다. 산불에 번진 화염이 차량을 덮치면서 차량 폭발로 차에 타고 있던 6명 가운데, 직원 1명, 입소자 2명 등 3명이 숨졌다.

네이버에서 마련한 실시간 산불 상황 제보 페이지에는 산불 피해 지역에 홀로 사는 부모와 조부모의 안전을 우려하는 글들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할머니께서 어제 저녁부터 전화를 안 받으시는데 청송 덕천마을 쪽 상황 아시는 분 없느냐”, “어머니께서 (영덕군) 강구에서 차 돌려서 대구로 가신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부모님께서 축산항 쪽에 살고 계시는데 연락이 안 된다”, “할머니가 강구 오포리에 사시는데 오전에 통화는 됐는데 동네 주민분들이 대피 안 하고 집에 계신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등의 글이다.

26일 경북 영양군 석보면 화매1리 계곡 마을이 산불에 초토화돼 있다. 석보면에서는 산불로 인해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연합뉴스

실제로 경북 지역은 전국 17개 지자체 가운데 고령화 문제가 가장 심각한 지역 가운데 하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고령인구비율(전체 인구에서 만 65살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27.2%)이며 경북이 26%로 그 뒤를 이었다. 전국 평균은 20%다. 반대로 청년인구비율(해당 지역 인구총조사 총인구 대비 19~39살 청년인구의 비율)은 2023년 기준 전남이 21.3%로 가장 낮았고 경북이 22.6%로 그 뒤를 이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도 고령화 문제를 지적하는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 안동에 산다고 밝힌 한 누리꾼은 “주변이 너무 시골이라 노인분들이 너무 많다. 어르신들 몸도 불편하신 분들도 많은데 대피하느라 고생이다”라고 썼고, 또 다른 누리꾼은 “이번 의성 산불로 지역의 고령화 실태가 보인다”고 했다. 지자체에서 대피장소 등을 안내하는 재난문자를 발송해도 휴대전화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들이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는 현실을 지적하는 누리꾼도 있었다.

권영숙 민주주의와노동연구소 소장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산골, 변경, 노인 주민들의 ‘비가시화’를 지적하며 “재난은 약자들을 먼저 덮친다”고 지적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89 韓, 野 재탄핵 경고에도 침묵… 마은혁 임명 ‘여야 합의’ 고수 랭크뉴스 2025.03.30
46388 민주 "당장 파면 결단‥마은혁 1일까지 임명 안하면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
46387 헌재 앞 탄핵 반대 철야집회 확대…찬성측 파면촉구 서명운동(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386 한덕수 ‘마은혁 임명’ 침묵…민주 “윤 복귀 위한 위헌적 버티기” 랭크뉴스 2025.03.30
46385 내일 공매도 전면 재개…‘공매도 실탄’ 대차잔고 20억주 쌓였다 랭크뉴스 2025.03.30
46384 [뉴스와 경제+] 48조!31조! 잇따른 미국 투자 약속에도‥상호 관세 '임박' 랭크뉴스 2025.03.30
46383 의대생 복귀 확산… 고려대·충남대·부산대 전원 복학 완료 랭크뉴스 2025.03.30
46382 권성동 "야권 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 법안 추진‥국헌문란 시도" 랭크뉴스 2025.03.30
46381 "가족 9명 깔려, 생후 20일 아들까지" 한국서 애타는 미얀마인들 랭크뉴스 2025.03.30
46380 ‘티몬부터 홈플러스·발란까지’... ‘생존 게임’ 나선 유통업계, 약체 기업 줄도산 랭크뉴스 2025.03.30
46379 데드라인 하루 앞두고 부산대·충남대 의대생도 전원 복귀 랭크뉴스 2025.03.30
46378 "메리츠를 '한국의 버크셔'로"…주총서 CEO 건강 챙긴 주주들 랭크뉴스 2025.03.30
46377 ‘불쏘시개’ 침엽수 위주 숲가꾸기 사업, 산림청은 왜 귀닫고 있나 랭크뉴스 2025.03.30
46376 경남북 산불 주불 진화 공식 발표…"사망 30명 등 사상자 75명"(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375 '이대남 코인러' 200만…억대 큰손은 40대男·50대女 많아 랭크뉴스 2025.03.30
46374 국토부, 산불 피해 이재민에 긴급지원주택‥2년간 무상 거주 랭크뉴스 2025.03.30
46373 꽃샘추위에 73분 늦은 '초인'... 지드래곤 "내년엔 빅뱅으로 만날 것" 랭크뉴스 2025.03.30
46372 힘들게 터 잡은 청년농부들, 피땀 어린 삶의 터전도 잿더미 랭크뉴스 2025.03.30
46371 "삼일절 연휴 급여 달라"는 홈플러스 임원들…법원에 조기변제 신청 논란 랭크뉴스 2025.03.30
46370 휴대전화 수리 맡겼다가…대리점 여직원에 2억 뜯긴 90대, 뭔일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