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의대협 측에 투표 결과 공유”
의대생 집단행동 분기점될 듯
서울대 의대의 복귀 기한인 27일을 하루 앞둔 가운데 서울대 의대생들이 어떤 선택을 할 지 관심이 쏠린다. 사진은 23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모습. 연합뉴스

서울대 의대생들이 ‘복귀 마지노선’을 하루 앞둔 26일 밤 등록 및 휴학 여부를 놓고 투표를 진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투표 결과는 향후 의대생 집단행동 방향의 가늠자가 될 전망이다.

26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대 의대생들은 이날 오후 10시쯤 등록 및 휴학 여부를 놓고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투표 결과는 27일 새벽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는 의과대학 학생단체인 대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 측에도 공유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투표는 27일로 예정된 ‘복귀 마지노선’ 날에 앞서 서울대 의대생들이 등록 및 휴학 여부에 대해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절차로 보인다.

서울대 의대 태스크포스(TF)는 앞서 몇 차례에 걸쳐 학년별 간담회를 열어 학생들의 의견을 듣고 논의해왔다. 현재 상당수 학생은 등록하지 않은 채 휴학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정부와 교육부는 이들의 복귀를 압박하고 있다.

앞서 서울대 의대생들은 지난 1월 복학 여부에 대해 비공개 투표를 진행한 바 있다. 의대협 측이 지난 5일 각 의대 학생회에 “2025학년도 투쟁을 휴학계 제출로 진행한다”고 공지한 데 따른 후속 조치였다.

당시 투표 결과 복학 찬성 의견이 23%로 지난해(17%)보다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복학 찬성률이 높아진 데는 휴학이 장기화하며 부담이 쌓이고, 정부 측에서도 의대 증원과 관련해 사과 입장을 낸 데다 25학번 신입생들이 들어오던 상황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됐다.

2025학년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다시금 의대생들의 복귀 압박이 거세졌다. 정부가 의대생 전원 복귀를 조건으로 의대 정원을 기존의 3058명으로 복원시키겠다고 공표하며 집단휴학의 명분이 약해졌기 때문이다. 서울대 의대의 경우 복귀 시한은 27일이다.

서울대 의대 학장단은 지난 25일 의대생과 학부모에게 보낸 공지문에서 “교육의 질과 학사관리 원칙을 유지하면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 27일”이라며 “27일 이후에는 모든 결정이 비가역적으로 의대 학장단의 통제를 벗어나며 ‘학생 보호’라는 의대의 원칙, 의지와 전혀 다른 심각한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일부 학생들 사이에선 일단 학교에 등록한 후 휴학을 하는 ‘등록 후 휴학’ 대안도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의대생들이 취하는 ‘미등록 휴학’ 대신 등록금을 납부하고 곧바로 휴학한 후 내년 상반기나 올해 6월에 복귀하는 방안이다.

하지만 등록 후 휴학에 대해선 전체 의대생의 미등록 휴학 단일대오에 균열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의대생들의 목소리가 단일화되지 못하면 정부와의 협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러한 조건 속에서 학생들은 단순한 복귀 여부만이 아니라, 향후 복학 가능성과 협상 전략, 학교 및 정부의 대응 가능성까지 고려해 판단을 내려야 하는 상황이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35 한덕수 ‘마은혁 임명’ 굳게 닫힌 입…윤 복귀 위한 ‘위헌 버티기’ 비판 랭크뉴스 2025.03.30
46334 "당장 뱃살부터 빼야겠네"…남성 허리둘레 늘어나니 암 발병 확률도 '쑥' 랭크뉴스 2025.03.30
46333 정부, 산불 피해 복구 등 ‘10조 추경’ 추진 랭크뉴스 2025.03.30
46332 지진속 '그 건물만' 무너졌다…태국 정부, 中시공사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331 이재명 "헌재 고뇌·고충 막중할 것‥현명한 결정 신속히 해달라" 랭크뉴스 2025.03.30
46330 [단독] 롯데리아, 주문당 쿠폰 5개 중복 가능…버거플레이션 속 숨통 랭크뉴스 2025.03.30
46329 민주 초선들, 권성동 '내란선동죄 고발'에 "무고죄 맞고발" 랭크뉴스 2025.03.30
46328 정부 '10조 필수추경' 추진‥"여야, 취지 동의한다면 조속편성" 랭크뉴스 2025.03.30
46327 왜 이 건물만?…태국 정부, 지진에 무너진 33층 건물 中시공사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326 정부 '10조 필수추경' 추진…"여야, 취지 동의한다면 조속편성"(종합2보) 랭크뉴스 2025.03.30
46325 문재인 전 대통령 “계엄내란 광기의 원형, 제주 4·3서 찾을 수 있어” 랭크뉴스 2025.03.30
46324 “눈만 감으면 그날 생각에”… 산불에 길어지는 대피소 생활 랭크뉴스 2025.03.30
46323 [속보] 중대본 “경북·경남 산불 주불 모두 진화…75명 사상” 랭크뉴스 2025.03.30
46322 왜 이 건물만 혼자 ‘와르르’?…중국 시공사 조사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30
46321 70대 몰던 승용차 역주행 사고…3명 숨지고, 6명 다쳐 랭크뉴스 2025.03.30
46320 '안 맞을 순 없다, 덜 맞자'…트럼프 상호관세에 정부 전략 수정 랭크뉴스 2025.03.30
46319 정부, 산불 피해 복구 등 ‘10조 필수 추경’ 추진…“4월 중 국회 통과 요청” 랭크뉴스 2025.03.30
46318 “中 SMIC, 위장회사 설립해 대만 반도체 인력 빼돌려…11개사 적발” 랭크뉴스 2025.03.30
46317 "햄버거 하나 먹겠다고 7시간 줄 섰는데"…中서 몰락하는 美수제버거, 왜? 랭크뉴스 2025.03.30
46316 "여보, 우리 베트남 가족여행 미룰까"…'살짝 접촉만 해도 감염' 홍역 초비상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