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의대협 측에 투표 결과 공유”
의대생 집단행동 분기점될 듯
서울대 의대의 복귀 기한인 27일을 하루 앞둔 가운데 서울대 의대생들이 어떤 선택을 할 지 관심이 쏠린다. 사진은 23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모습. 연합뉴스

서울대 의대생들이 ‘복귀 마지노선’을 하루 앞둔 26일 밤 등록 및 휴학 여부를 놓고 투표를 진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투표 결과는 향후 의대생 집단행동 방향의 가늠자가 될 전망이다.

26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대 의대생들은 이날 오후 10시쯤 등록 및 휴학 여부를 놓고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투표 결과는 27일 새벽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는 의과대학 학생단체인 대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 측에도 공유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투표는 27일로 예정된 ‘복귀 마지노선’ 날에 앞서 서울대 의대생들이 등록 및 휴학 여부에 대해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절차로 보인다.

서울대 의대 태스크포스(TF)는 앞서 몇 차례에 걸쳐 학년별 간담회를 열어 학생들의 의견을 듣고 논의해왔다. 현재 상당수 학생은 등록하지 않은 채 휴학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정부와 교육부는 이들의 복귀를 압박하고 있다.

앞서 서울대 의대생들은 지난 1월 복학 여부에 대해 비공개 투표를 진행한 바 있다. 의대협 측이 지난 5일 각 의대 학생회에 “2025학년도 투쟁을 휴학계 제출로 진행한다”고 공지한 데 따른 후속 조치였다.

당시 투표 결과 복학 찬성 의견이 23%로 지난해(17%)보다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복학 찬성률이 높아진 데는 휴학이 장기화하며 부담이 쌓이고, 정부 측에서도 의대 증원과 관련해 사과 입장을 낸 데다 25학번 신입생들이 들어오던 상황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됐다.

2025학년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다시금 의대생들의 복귀 압박이 거세졌다. 정부가 의대생 전원 복귀를 조건으로 의대 정원을 기존의 3058명으로 복원시키겠다고 공표하며 집단휴학의 명분이 약해졌기 때문이다. 서울대 의대의 경우 복귀 시한은 27일이다.

서울대 의대 학장단은 지난 25일 의대생과 학부모에게 보낸 공지문에서 “교육의 질과 학사관리 원칙을 유지하면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 27일”이라며 “27일 이후에는 모든 결정이 비가역적으로 의대 학장단의 통제를 벗어나며 ‘학생 보호’라는 의대의 원칙, 의지와 전혀 다른 심각한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일부 학생들 사이에선 일단 학교에 등록한 후 휴학을 하는 ‘등록 후 휴학’ 대안도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의대생들이 취하는 ‘미등록 휴학’ 대신 등록금을 납부하고 곧바로 휴학한 후 내년 상반기나 올해 6월에 복귀하는 방안이다.

하지만 등록 후 휴학에 대해선 전체 의대생의 미등록 휴학 단일대오에 균열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의대생들의 목소리가 단일화되지 못하면 정부와의 협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러한 조건 속에서 학생들은 단순한 복귀 여부만이 아니라, 향후 복학 가능성과 협상 전략, 학교 및 정부의 대응 가능성까지 고려해 판단을 내려야 하는 상황이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91 삼전 주주만 516만 명인데…전자주총땐 발언·의결권 행사 현실적 불가 랭크뉴스 2025.03.30
46390 정부, 산불 피해 대응 등 '10조 추경안' 내놨지만… 여야, '재난 예비비' 공방만 랭크뉴스 2025.03.30
46389 韓, 野 재탄핵 경고에도 침묵… 마은혁 임명 ‘여야 합의’ 고수 랭크뉴스 2025.03.30
46388 민주 "당장 파면 결단‥마은혁 1일까지 임명 안하면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
46387 헌재 앞 탄핵 반대 철야집회 확대…찬성측 파면촉구 서명운동(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386 한덕수 ‘마은혁 임명’ 침묵…민주 “윤 복귀 위한 위헌적 버티기” 랭크뉴스 2025.03.30
46385 내일 공매도 전면 재개…‘공매도 실탄’ 대차잔고 20억주 쌓였다 랭크뉴스 2025.03.30
46384 [뉴스와 경제+] 48조!31조! 잇따른 미국 투자 약속에도‥상호 관세 '임박' 랭크뉴스 2025.03.30
46383 의대생 복귀 확산… 고려대·충남대·부산대 전원 복학 완료 랭크뉴스 2025.03.30
46382 권성동 "야권 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 법안 추진‥국헌문란 시도" 랭크뉴스 2025.03.30
46381 "가족 9명 깔려, 생후 20일 아들까지" 한국서 애타는 미얀마인들 랭크뉴스 2025.03.30
46380 ‘티몬부터 홈플러스·발란까지’... ‘생존 게임’ 나선 유통업계, 약체 기업 줄도산 랭크뉴스 2025.03.30
46379 데드라인 하루 앞두고 부산대·충남대 의대생도 전원 복귀 랭크뉴스 2025.03.30
46378 "메리츠를 '한국의 버크셔'로"…주총서 CEO 건강 챙긴 주주들 랭크뉴스 2025.03.30
46377 ‘불쏘시개’ 침엽수 위주 숲가꾸기 사업, 산림청은 왜 귀닫고 있나 랭크뉴스 2025.03.30
46376 경남북 산불 주불 진화 공식 발표…"사망 30명 등 사상자 75명"(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375 '이대남 코인러' 200만…억대 큰손은 40대男·50대女 많아 랭크뉴스 2025.03.30
46374 국토부, 산불 피해 이재민에 긴급지원주택‥2년간 무상 거주 랭크뉴스 2025.03.30
46373 꽃샘추위에 73분 늦은 '초인'... 지드래곤 "내년엔 빅뱅으로 만날 것" 랭크뉴스 2025.03.30
46372 힘들게 터 잡은 청년농부들, 피땀 어린 삶의 터전도 잿더미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