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의대협 측에 투표 결과 공유”
의대생 집단행동 분기점될 듯
서울대 의대의 복귀 기한인 27일을 하루 앞둔 가운데 서울대 의대생들이 어떤 선택을 할 지 관심이 쏠린다. 사진은 23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모습. 연합뉴스

서울대 의대생들이 ‘복귀 마지노선’을 하루 앞둔 26일 밤 등록 및 휴학 여부를 놓고 투표를 진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투표 결과는 향후 의대생 집단행동 방향의 가늠자가 될 전망이다.

26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대 의대생들은 이날 오후 10시쯤 등록 및 휴학 여부를 놓고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투표 결과는 27일 새벽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는 의과대학 학생단체인 대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 측에도 공유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투표는 27일로 예정된 ‘복귀 마지노선’ 날에 앞서 서울대 의대생들이 등록 및 휴학 여부에 대해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절차로 보인다.

서울대 의대 태스크포스(TF)는 앞서 몇 차례에 걸쳐 학년별 간담회를 열어 학생들의 의견을 듣고 논의해왔다. 현재 상당수 학생은 등록하지 않은 채 휴학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정부와 교육부는 이들의 복귀를 압박하고 있다.

앞서 서울대 의대생들은 지난 1월 복학 여부에 대해 비공개 투표를 진행한 바 있다. 의대협 측이 지난 5일 각 의대 학생회에 “2025학년도 투쟁을 휴학계 제출로 진행한다”고 공지한 데 따른 후속 조치였다.

당시 투표 결과 복학 찬성 의견이 23%로 지난해(17%)보다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복학 찬성률이 높아진 데는 휴학이 장기화하며 부담이 쌓이고, 정부 측에서도 의대 증원과 관련해 사과 입장을 낸 데다 25학번 신입생들이 들어오던 상황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됐다.

2025학년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다시금 의대생들의 복귀 압박이 거세졌다. 정부가 의대생 전원 복귀를 조건으로 의대 정원을 기존의 3058명으로 복원시키겠다고 공표하며 집단휴학의 명분이 약해졌기 때문이다. 서울대 의대의 경우 복귀 시한은 27일이다.

서울대 의대 학장단은 지난 25일 의대생과 학부모에게 보낸 공지문에서 “교육의 질과 학사관리 원칙을 유지하면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 27일”이라며 “27일 이후에는 모든 결정이 비가역적으로 의대 학장단의 통제를 벗어나며 ‘학생 보호’라는 의대의 원칙, 의지와 전혀 다른 심각한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일부 학생들 사이에선 일단 학교에 등록한 후 휴학을 하는 ‘등록 후 휴학’ 대안도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의대생들이 취하는 ‘미등록 휴학’ 대신 등록금을 납부하고 곧바로 휴학한 후 내년 상반기나 올해 6월에 복귀하는 방안이다.

하지만 등록 후 휴학에 대해선 전체 의대생의 미등록 휴학 단일대오에 균열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의대생들의 목소리가 단일화되지 못하면 정부와의 협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러한 조건 속에서 학생들은 단순한 복귀 여부만이 아니라, 향후 복학 가능성과 협상 전략, 학교 및 정부의 대응 가능성까지 고려해 판단을 내려야 하는 상황이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75 산불지역 초미세먼지 ‘60배’·유독가스 ‘10배’ 치솟았다 랭크뉴스 2025.03.31
46474 트럼프 “푸틴에게 화났다, 협상 결렬시 러 원유 관세” 랭크뉴스 2025.03.31
46473 이재명 대표, 3연속 증인 불출석…‘과태료 부과’ 다음은? 랭크뉴스 2025.03.31
46472 우크라 "러, 한주간 전역에 대규모 공격…동부 전투 치열" 랭크뉴스 2025.03.31
46471 트럼프 “이란, 핵 합의 없으면 폭격과 2차 관세 직면할 것” 랭크뉴스 2025.03.31
46470 트럼프 "러, 우크라전 휴전합의 안하면 러 원유에 25% 관세" 랭크뉴스 2025.03.31
46469 美국방 "北∙러, 억제 역할은 동맹국 넘긴다…방위비 증액 압박" 랭크뉴스 2025.03.31
46468 [사설] 민주당은 총탄핵 겁박 말고, 한 대행은 마은혁 임명해야 랭크뉴스 2025.03.31
46467 "지연된 정의는 불의" vs "빨갱이들 한칼에 날려야"…주말에도 尹 탄핵 찬반 '결집' 랭크뉴스 2025.03.31
46466 “마취제, 필수 의약품 부족”…미얀마에 각국 구조대·구호품 급파 랭크뉴스 2025.03.31
46465 외교부 “심우정 딸 채용특혜 사실 아냐”…구체적 근거는 안 밝혀 랭크뉴스 2025.03.31
46464 英해리왕자, 공동설립 자선단체 운영 둘러싸고 논란 랭크뉴스 2025.03.31
46463 트럼프 "푸틴에 화나… 휴전 협상 잘못되면 러 원유 25% 2차관세" 랭크뉴스 2025.03.31
46462 원폭 334개 위력 강진에 “사망자 1만명 넘을 수도”…미얀마 ‘최악 위기’ 랭크뉴스 2025.03.31
46461 김수현, 오늘 기자회견…'미성년 교제의혹' 김새론 논란 입 연다 랭크뉴스 2025.03.31
46460 폐허 속 삐져 나온 어머니의 손‥쿠데타 정권은 이 와중 또 '포격' 랭크뉴스 2025.03.31
46459 김수현, 직접 입 연다…故김새론 관련 긴급 기자회견 랭크뉴스 2025.03.31
46458 의대생 ‘막판 복귀’ 이어져...대학들 “수업 거부 ‘꼼수’ 엄정 대응” 랭크뉴스 2025.03.31
46457 명품 플랫폼 '발란' 정산도, 결제도 중단‥돈 떼일까 '전전긍긍' 랭크뉴스 2025.03.31
46456 유럽 스타트업, 첫 궤도 로켓 실패... 발사 40초 만에 추락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