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피장소 4번 바꾼 청송군…아수라장 속 대피하던 주민 사망 속출
영양서 대피 일가족 6명 참변…"꽉막힌 차량 사이 불덩이가 비처럼 내려"
불길 피해 항구까지 피신한 이재민 104명 해경 구조


산불 사망자 발생한 차량
(영덕=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26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한 도로에 산불에 불탄 차량이 세워져 있다.
이 차량에서는 산불 사망자 3명이 나왔다. 2025.3.26 [email protected]


(영덕·청송=연합뉴스) 김선형 강태현 기자 = 순간 최대 초속 20m 강풍을 탄 '괴물 산불'이 경북 북부권을 휩쓸던 지난 25일 7번 국도는 말그대로 아비규환 그 자체였다.

수 시간 동안 이어진 대피 명령과 정전, 통신 두절 사태에 7번 국도는 대피 행렬이 이어져 대혼란을 겪었다.

남쪽을 향한 피난 행렬에 7번 국도는 한순간에 꽉 막혀버렸다.

주민 A(영덕읍)씨는 "꽉 막힌 차량 사이로 불덩이가 비처럼 내려 자동차에 불이 붙었다"며 "운전자들이 불붙은 차에서 간신히 빠져나오고, 아비규환이었다"라고 말했다.

또다른 영덕읍 주민은 "자동차가 달리는 속도로 불이 날아다녔다"며 "피난 행렬로 길이 막히자 교통 통제를 나온 경찰이 오히려 길을 막았다는 오해를 샀다"고 전했다.

지난 25일 대피 행렬 이어진 7번 국도
[독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왕좌왕하던 사이 동쪽 땅끝 고래산 마을 상원리와 도곡리 마을에까지 불이 붙자 일대 항구에는 이재민들이 쏟아져 나왔다.

석리항·축산항·경정3리항 방파제로 몰려든 주민 104명은 짙은 해무와 연기에 고립돼 오도가도 못하던 끝에 울진해경에 구조됐다.

오후 8시께 영덕경찰서 소속 순찰차는 지품면에 고립된 주민을 구조하고 일대 교통정리를 하러 출동했다가 화염에 휩싸여 전소됐다.

순찰차에 타고 있던 경찰관 3명과 주민 1명은 가까스로 순찰차에서 탈출했다.

그러나 1시간 뒤 영덕읍 매정리 매정길에서는 실버타운 입소자들을 태우고 대피하던 차량에 산불이 붙어 차량이 폭발했다.

차량에는 직원 2명과 입소자 4명이 탑승 중이었으며, 이 중 입소자 3명이 사망했다.

대혼란은 산불이 번진 모든 시·군에서 빗발쳤다.

산불에 전소된 차량
(영양=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26일 경북 영양군 석보면 삼의리 삼의계곡에 전날 발생한 산불에 불탄 차량이 보존돼 있다. 이 차량 인근에서 산불 대피하다 숨진 3명이 발견됐다. 2025.3.26 [email protected]


청송군 주왕산 국립공원 인근에 거주하는 김모(60대) 씨는 "화염이 번지는데도 어느 방향이 안전하다거나 어느 방향이 위험하다는 안내가 없었다"라며 "그저 빨리 대피하라고만 하니 밖으로 나왔는데, 명확하고 적극적인 지시가 없어서 아쉬웠다"라고 말했다.

같은 마을 주민 이모(60대) 씨는 "오후 3시께는 파천면으로 대피하라고 했다가 30분 뒤에는 또 안덕으로 가라고 하고, 오후 4∼5시께는 청송군민 전체가 안전지대로 대피하라고 하더라"라며 "급하게 안내 문자를 보냈던 거 같긴 한데 짧은 시간에 너무 많은 긴급 문자를 받으니 오히려 마음이 불안하고 무서웠다"라고 말했다.

그는 결국 마지막에는 관내 대형 리조트로 대피하라는 안내 지시를 받고 재이동했다.

이날 청송에서는 차를 타고 대피하던 60대 여성이 산불에 타 숨졌다.

영양군 석보면 삼의계곡에는 대피 도중 도랑에 빠지거나 가드레일에 부딪힌 채 불에 탄 차량 수십 대를 줄지어 볼 수 있었다.

영양에서는 대피 도중 일가족 등 6명이 숨졌다.

안동 임하면에서는 집을 빠져나오던 70대 여성이 질색해 숨지는 등 2명이 대피 도중 사망했다.

산불 대피 고립된 주민 구조하는 해경
(울진=연합뉴스) 경북 울진해양경찰서는 26일 산불로 항구나 방파제에 고립된 주민을 구조했다고 밝혔다.
울진해경은 이날 새벽 영덕 경정3리항 방파제 고립자 61명, 석리항 방파제 고립자 40명, 축산항 고립자 3명 등 모두 104명을 구조해 인근 대피시설로 이동시켰다. 2025.3.26 [울진해양경찰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11 정전된 대피소서 음식 나누고 부둥켜안고... 이재민들 온기로 두려움 달랬다 랭크뉴스 2025.03.30
46410 트럼프 최측근 머스크에 찍힐라…기업들 엑스에 광고 재개 랭크뉴스 2025.03.30
46409 “유효 기간? 영구적”…트럼프, 관세 드라이브 ‘더 크게’ 건다 랭크뉴스 2025.03.30
46408 文 "계엄 내란 광기 원형 찾을 수 있어"…제주 4·3 관련 책 추천 랭크뉴스 2025.03.30
46407 천주교 시국선언 "군경으로 국회 장악, 단죄 식별 그렇게 어렵나" 랭크뉴스 2025.03.30
46406 하루종일 ‘진화율 99%’…힘겨웠던 주불 진화 선언 랭크뉴스 2025.03.30
46405 “민주당 해산” “내각 줄탄핵” 헌재 바라보다 격해진 여야 랭크뉴스 2025.03.30
46404 부산대 의대생 600명 전원 복귀 결정…전산망 열어 신청 접수 랭크뉴스 2025.03.30
46403 기후변화에 '괴물 산불' 예상해 대책 세웠지만...속절없이 당했다 랭크뉴스 2025.03.30
46402 이재용은 시진핑·정의선은 트럼프… 국가 대신 뛰는 총수들 랭크뉴스 2025.03.30
46401 꿀벌이 美과일 75% 맺어주는데…올겨울 원인모를 떼죽음에 비상 랭크뉴스 2025.03.30
46400 “헌재는 윤석열을 파면하라” 탄원 서명…9시간 만에 20만명 동참 랭크뉴스 2025.03.30
46399 산불 대응에 ‘10조 추경’ 물꼬 튼 정부…“4월 중 통과 요청” 랭크뉴스 2025.03.30
46398 신정아 "尹 무서워 오줌쌌다"…반윤 검사가 밝힌 '조사실 진실' 랭크뉴스 2025.03.30
46397 ‘왕의 귀환’ 지드래곤 8년 만의 콘서트···73분 지연은 오점 랭크뉴스 2025.03.30
46396 홈플러스, 회생법원에 ‘임원 사흘치 급여’ 지급 허가 신청 랭크뉴스 2025.03.30
46395 “원자폭탄 334개 위력”…미얀마 강진 나흘째, 사망자 1600명 넘어 랭크뉴스 2025.03.30
46394 정산 계획 내놓지 못한 발란…결제서비스까지 전면 중단 ‘잠정 폐업’ 랭크뉴스 2025.03.30
46393 고령 고객 개인정보로 대출 받은 휴대전화 대리점 직원 송치 랭크뉴스 2025.03.30
46392 고려대·충남대·부산대 의대생도 전원 등록…복귀 '대세'로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