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국과 우크라이나, 미국과 러시아가 23일(현지 시각)부터 3일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벌인 고위급 대표 회담을 통해 흑해에서의 무력 사용 중단에 합의했다.

왼쪽부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FP연합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25일 소셜미디어 성명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의 3국간 합의 내용을 밝혔다. 성명에 따르면 교전 당사국(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은 흑해에서의 안전한 항해를 보장하고, 무력 사용을 배제하며 상선이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하자는 데 동의했다.

양국은 상대국의 에너지 시설에 대해 공격을 상호 금지하기로 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에너지 및 해양 분야에서 합의 이행을 도울 제3국(미국)의 중재’를 양국 모두 받아들이기로 했다.

이외에도 미국이 전쟁 포로 교환과 민간인 억류자 석방, 강제 이주된 우크라이나 아동의 귀환 등을 지원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미국 백악관도 같은 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미국과 러시아는 흑해에서 안전한 항해를 보장하고, 무력 사용을 배제하며, 군사 목적으로 상업 선박을 사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미·러 양국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에너지 시설에 대한 상호 공격을 금지하기로 한 지난 18일 양국 정상 간 최근 합의를 이행하기 위한 조치를 마련하기로 합의했다”고 했다.

이후 러시아도 합의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크렘린궁은 성명을 통해 “러시아와 미국은 양국 정상 합의에 따라 흑해 내 안전한 항해, 무력 사용 금지, 상선의 군사 목적 사용 금지 및 이를 감시하기 위한 적절한 통제 조치 수립을 포함한 흑해 협정 이행을 보장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30일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있는 에너지 시설에 대한 공격을 중단한다는 양국 대통령의 합의를 이행하기 위한 조치를 개발하기로 합의했다”고 했다. 다만, “(흑해 안전 통행 등의) 합의 사항은 러시아의 농산물·비료 수출에 대한 금융 제재가 해제되고 국제 결제 시스템(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연결이 복원된 뒤에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국은 부분 휴전안을 놓고 미국의 중재로 지난 23일부터 실무회담을 벌여왔다. 미국은 23일 우크라이나와 회담 후 24일 러시아와 회담하고, 25일 다시 우크라이나와 회담해 양측의 입장을 조율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81 '산불 헬기' 예산 172억 날아간 이유…이재명·한동훈도 설전 랭크뉴스 2025.03.30
46080 8년만 콘서트 73분 늦게 시작한 GD…"돌풍 때문" 뒤늦은 사과 랭크뉴스 2025.03.30
46079 군정이 통제하는 미얀마‥피해 집계·구조는 더디기만 랭크뉴스 2025.03.29
46078 "선고 지연 이유없다‥헌재 계속 신뢰해야 하나" 들끓는 여론 랭크뉴스 2025.03.29
46077 경남 산청 산불 진화율 '마지막 1%' 남았다...야간 진화 돌입 랭크뉴스 2025.03.29
46076 '산불사태' 역대 최대 피해 규모…축구장 6만 7000개 크기 잿더미 랭크뉴스 2025.03.29
46075 "헌법 수호 의지 있는가"‥尹에 노·박 전 대통령 대입하면 랭크뉴스 2025.03.29
46074 미얀마 강진 인명피해 급증‥사망 1천644명·부상 3천408명 랭크뉴스 2025.03.29
46073 편의점서 젤리 훔친 6살 아이 지적하자…父 "왜 도둑 취급해" 난동 랭크뉴스 2025.03.29
46072 미얀마 강진 사망자 1644명으로 늘어… 부상자 3408명 랭크뉴스 2025.03.29
46071 러 "우크라, 에너지 시설 공격 계속…수자 가스계측시설 파괴" 랭크뉴스 2025.03.29
46070 강남구 아파트서 아내 살해한 60대 남성 체포 랭크뉴스 2025.03.29
46069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천644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9
46068 "불 꺼져도 집에 못 가" 갈 곳 사라진 산불 이재민들 랭크뉴스 2025.03.29
46067 ‘불씨 되살아 날라’…이제는 잔불과의 전쟁 랭크뉴스 2025.03.29
46066 "추억도, 생업도 다 없어져"‥삶의 터전 앗아간 화마 랭크뉴스 2025.03.29
46065 1300㎞ 떨어진 건물도 붕괴...너무 얕은 '10㎞ 진원'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
46064 '산불사태' 인명피해 75명으로 늘어…산청 진화율 99%(종합3보) 랭크뉴스 2025.03.29
46063 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소환통보…“정치 탄압 칼춤” “법 위 군림 안돼” 랭크뉴스 2025.03.29
46062 ‘지진 피해’ 미얀마 군사정권, 국제 사회에 인도적 지원 요청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