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퇴진전국대학생시국회의’ 등 대학생 청년단체 회원들이 25일 서울 광화문 앞에서 민주노총의 27일 총파업을 지지하는 ‘전국 시민 총파업 청년학생 긴급행동 기자회견’을 마친 뒤 ‘윤석열 파면’ 등을 외치며 헌법재판소까지 삼보일배를 하고 있다. 윤운식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이 끝난 지 한달이 된 25일에도 헌법재판소는 윤 대통령 사건 선고와 관련된 아무런 공지도 내놓지 않았다. 윤 대통령 탄핵소추일로부터 100일이 넘어가도록 결론이 나오지 않으면서 시민들의 불안은 커지고 빠른 선고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헌재는 이날도 오후 2시부터 재판관 평의를 했다. 다른 사건 변론이나 선고가 있는 날에도 시간을 쪼개 평의를 이어가고 있다. 노무현·박근혜 두 전직 대통령의 탄핵 선고가 마지막 변론 이후 2주 안에 나왔던 것과 비교해하면 ‘역대급 평의’다. 비상계엄 선포 등 윤 대통령 행태의 위헌·위법성이 명백하기 때문에 전원일치 결론이 예상됐지만, 실제로는 재판관들이 의견을 모으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전날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사건 결정에서 재판관들의 의견이 파면·기각·각하까지 제각각 갈리면서 시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특히 김복형 재판관이 한 총리의 재판관 불임명은 위헌이 아니라고 판단하면서 우려가 가중되는 모양새다.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정형식·조한창 재판관에 김 재판관까지 가세하면 윤 대통령 탄핵 사건에서 파면을 위한 정족수(6명)를 채우지 못하게 된다. 대학생 심규원(24)씨는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김 재판관이 한 총리의) 재판관 불임명을 위헌이 아니라고 본 건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다”며 “8 대 0으로 탄핵이 돼야 이후 사회 통합이 빠르게 이뤄질 텐데 어제 결정문 읽어보니 8 대 0이 안 나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면서 이러다 ‘(윤 대통령 탄핵 사건이) 기각되면 이제 어떻게 되는 거지’라는 불안감이 들기도 한다”고 말했다. 직장인 박지혜(37)씨도 “윤 대통령은 박근혜 전 대통령 이상으로 위법을 저질렀는데 왜 이렇게 (헌재가 선고에) 시간을 질질 끄는 건지 모르겠다. 진짜 이러다 탄핵이 기각되는 건 아닌가 걱정되고 스트레스 받는다”고 말했다. 윤아무개(27)씨는 “한덕수 탄핵 심판보다 윤석열 탄핵심판이 더 급한 건데 원래 급한 일부터 처리해야 하는 거 아닌가”라며 “윤 대통령 탄핵안이 기각되면 2차 계엄을 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 불안하다”고 말했다.

헌재가 이날도 선고기일을 통지하지 않으면서 이번주 선고가 가능한 날짜는 27·28일만 남았다. 헌재는 월례 정기선고일인 27일 헌법소원 40건을 선고할 예정이고, 시각은 오후 2시가 아닌 오전 10시로 앞당겼다. 이날도 평의를 이어갈 공산이 크다. 28일에도 선고하지 않으면 결론은 4월로 넘어간다.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이미선 재판관의 퇴임일은 4월18일이다.

법조계에서는 12·3 비상계엄 뒤 무너진 헌정질서를 헌재가 윤 대통령 파면을 통해 회복시켜야 한다며 빠른 선고를 촉구하고 있다. ‘헌정회복을 위한 헌법학자회의’는 지난 20일 긴급성명에서 “헌재가 이 이상 지체하면 위기만 더 커진다. 돌다리를 두들겨 건너려다 너무 두들겨 깨져버리면 건널 수조차 없게 된다. 과감한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윤 대통령을 즉각 파면해 헌정을 조속히 회복해야 한다”고 밝혔다. 헌법연구관 출신인 승이도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정치적 갈등을 헌정질서 안에서 해소하고 이를 통해 분열된 사회를 빠른 시일 내에 통합하는 것이 헌법재판의 주요 기능임을 고려할 때, 헌재는 심리를 조속히 마무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072 미얀마 강진 사망자 1644명으로 늘어… 부상자 3408명 랭크뉴스 2025.03.29
46071 러 "우크라, 에너지 시설 공격 계속…수자 가스계측시설 파괴" 랭크뉴스 2025.03.29
46070 강남구 아파트서 아내 살해한 60대 남성 체포 랭크뉴스 2025.03.29
46069 [속보] 미얀마 군정 "강진 사망자 1천644명으로 늘어" 랭크뉴스 2025.03.29
46068 "불 꺼져도 집에 못 가" 갈 곳 사라진 산불 이재민들 랭크뉴스 2025.03.29
46067 ‘불씨 되살아 날라’…이제는 잔불과의 전쟁 랭크뉴스 2025.03.29
46066 "추억도, 생업도 다 없어져"‥삶의 터전 앗아간 화마 랭크뉴스 2025.03.29
46065 1300㎞ 떨어진 건물도 붕괴...너무 얕은 '10㎞ 진원'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
46064 '산불사태' 인명피해 75명으로 늘어…산청 진화율 99%(종합3보) 랭크뉴스 2025.03.29
46063 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소환통보…“정치 탄압 칼춤” “법 위 군림 안돼” 랭크뉴스 2025.03.29
46062 ‘지진 피해’ 미얀마 군사정권, 국제 사회에 인도적 지원 요청 랭크뉴스 2025.03.29
46061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 명 넘어…‘건물 붕괴’ 지금 방콕은? 랭크뉴스 2025.03.29
46060 외교정책 비판도 ‘테러 옹호’ 규정…SNS 뒤져 비자 문턱 높이겠다는 미국 랭크뉴스 2025.03.29
46059 프로야구 30일 NC-LG 창원 경기 취소… 구조물 추락 사고 여파 랭크뉴스 2025.03.29
46058 산불 피해 반려견 사료 2톤 도난…“청년 대여섯명이 실어가” 랭크뉴스 2025.03.29
46057 산불로 폐허가 된 마을[현장 화보] 랭크뉴스 2025.03.29
46056 창원NC파크서 철제구조물 추락… 여성 2명 중경상 랭크뉴스 2025.03.29
46055 ‘입꾹닫’하고 사는 세상, 용기 내볼까[이다의 도시관찰일기] 랭크뉴스 2025.03.29
46054 ‘고중량 운동’하는 남성, 이 병을 조심하자[수피의 헬스 가이드] 랭크뉴스 2025.03.29
46053 보통 50~60km 깊이인데… 너무 얕은 '10km 진원'이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