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의성 산불 하루 만에 4개 시·군으로
청송에선 60대 여성 불에 타 숨져
영남 산불 피해 역대 세 번째 규모
경북 의성 산불 발생 나흘째인 25일 단촌면 하화1리가 불길에 휩싸이고 있다.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나흘째 이어지면서 안동을 지나 청송, 영양, 영덕까지 확대됐다. 이에 따라 안동과 청송 전 지역에는 초유의 전 주민 대피령이 내려졌다. 연합뉴스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나흘째 이어지면서 안동을 지나 청송, 영양, 영덕까지 확대됐다. 이에 따라 안동과 청송 전 지역에는 초유의 전 주민 대피령이 내려졌다.

산림 당국은 25일 의성 산불이 청송군 주왕산국립공원과 영양군 석보면, 영덕군 지품면까지 확대됐다고 밝혔다. 불과 하루 만에 산불이 4개 시·군으로 크게 번진 것이다.

산불은 한 때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하회마을과 병산서원과 10㎞가량 떨어진 곳까지 도달하기도 했다. 청송에선 한 도로 외곽에서 60대 여성이 불에 타 사망했다. 교정당국은 이날 경북북부교도소(옛 청송교도소)에 있던 3500여명의 수용자를 이감했다.

진화대원과 공무원 등 4명의 목숨을 앗아간 경남 산청 산불은 강풍으로 불길이 확산하면서 시천면 등 인근 마을 주민들에게 추가 대피령이 내려졌다. 산청 인근인 하동군도 옥종면 9개 마을 주민에게 ‘강한 바람으로 인해 산불이 급속도로 확산 중이니 지금 즉시 대피 바란다’고 안내했다. 산불은 진주까지 옮겨 붙었다.

울산 울주 산불도 건조한 대기와 강한 바람의 영향으로 확산 중이다. 특히 산불이 대단지 아파트까지 위협하면서 언양읍 등에 대피 명령이 내려졌다.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인근 지역에서 고속도로 차량 통행과 철도 운행이 중단됐다.

한국도로공사는 25일 오후 10시를 기해 서산영덕고속도로 동상주 나들목(IC)∼영덕 IC 구간(105.5㎞) 양방향, 중앙고속도로 의성 IC∼풍기 IC 구간(73.3㎞) 양방향을 안전상 전면 통제했다. 산불 확산에 따라 서산영덕고속도로는 서쪽으로, 중앙고속도로는 북쪽으로 통제 구간이 확대되고 있다. 또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중앙선 영주∼경주 구간 약 139㎞에서 열차 운행을 중단했다. 이 구간에서는 KTX-이음 5대와 일반 열차 6대의 운행이 중단됐다.

이번 산불영향구역이 1만㏊를 훌쩍 넘어감에 따라 이번 영남 산불은 2000년 4월 강원 강릉·동해·삼척·고성 산불(2만3913㏊), 2022년 3월 경북 울진·강원 강릉·동해·삼척 산불(2만523㏊)에 이어 국내 산불 피해 규모로는 세 번째로 큰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크게 번져 국가유산과 문화재들도 잇따라 피해를 입으면서 국가유산청은 이날 전국의 국가유산 재난 국가위기 경보 수준을 ‘심각’ 단계로 발령했다. 국가유산 재난 국가위기 경보가 심각 단계로 발령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오후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산불 상황 긴급회의를 열고 “주민대피와 관계기관 합동순찰, 위험지역 출입통제, 구조활동 전개에 소방·경찰·지자체 등 모든 기관이 총력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90 정부, 산불 피해 대응 등 '10조 추경안' 내놨지만… 여야, '재난 예비비' 공방만 랭크뉴스 2025.03.30
46389 韓, 野 재탄핵 경고에도 침묵… 마은혁 임명 ‘여야 합의’ 고수 랭크뉴스 2025.03.30
46388 민주 "당장 파면 결단‥마은혁 1일까지 임명 안하면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
46387 헌재 앞 탄핵 반대 철야집회 확대…찬성측 파면촉구 서명운동(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386 한덕수 ‘마은혁 임명’ 침묵…민주 “윤 복귀 위한 위헌적 버티기” 랭크뉴스 2025.03.30
46385 내일 공매도 전면 재개…‘공매도 실탄’ 대차잔고 20억주 쌓였다 랭크뉴스 2025.03.30
46384 [뉴스와 경제+] 48조!31조! 잇따른 미국 투자 약속에도‥상호 관세 '임박' 랭크뉴스 2025.03.30
46383 의대생 복귀 확산… 고려대·충남대·부산대 전원 복학 완료 랭크뉴스 2025.03.30
46382 권성동 "야권 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 법안 추진‥국헌문란 시도" 랭크뉴스 2025.03.30
46381 "가족 9명 깔려, 생후 20일 아들까지" 한국서 애타는 미얀마인들 랭크뉴스 2025.03.30
46380 ‘티몬부터 홈플러스·발란까지’... ‘생존 게임’ 나선 유통업계, 약체 기업 줄도산 랭크뉴스 2025.03.30
46379 데드라인 하루 앞두고 부산대·충남대 의대생도 전원 복귀 랭크뉴스 2025.03.30
46378 "메리츠를 '한국의 버크셔'로"…주총서 CEO 건강 챙긴 주주들 랭크뉴스 2025.03.30
46377 ‘불쏘시개’ 침엽수 위주 숲가꾸기 사업, 산림청은 왜 귀닫고 있나 랭크뉴스 2025.03.30
46376 경남북 산불 주불 진화 공식 발표…"사망 30명 등 사상자 75명"(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375 '이대남 코인러' 200만…억대 큰손은 40대男·50대女 많아 랭크뉴스 2025.03.30
46374 국토부, 산불 피해 이재민에 긴급지원주택‥2년간 무상 거주 랭크뉴스 2025.03.30
46373 꽃샘추위에 73분 늦은 '초인'... 지드래곤 "내년엔 빅뱅으로 만날 것" 랭크뉴스 2025.03.30
46372 힘들게 터 잡은 청년농부들, 피땀 어린 삶의 터전도 잿더미 랭크뉴스 2025.03.30
46371 "삼일절 연휴 급여 달라"는 홈플러스 임원들…법원에 조기변제 신청 논란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