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5일 경북 안동시 남후면 무릉리 야산이 불타고 있다. 지난 22일 의성군에서 시작한 산불이 강한 바람을 타고 인접한 안동시와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까지 빠르게 번지고 있다. 안동시와 청송·영덕군은 이날 오후 전 주민에게 대피령을 내렸다. [뉴스1]
거센 바람이 풀무질을 하면서 전국에서 동시다발로 발생한 산불이 25일 다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경북 의성군의 산불이 안동시, 청송·영양·영덕군으로 퍼졌다. 안동시는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대피령을 내렸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하회마을도 산불 위험지대에 들어갔다. 청송군과 영덕군은 전 군민 대피령을 내렸다. 영양군도 주민 대피령을 내렸다. 경남 산청·하동군과 울산시 울주군에서 발생한 산불도 계속되고 있다. 이날 청송군에서 60대 여성이 화재로 숨진 채 발견되면서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는 사망 5명을 포함해 16명으로 늘어났다. 닷새째 불길이 잡히지 않으면서 정부는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높였다.

이날 산림당국에 따르면 정부는 경북 의성군 지역 주불을 잡기 위해 진화헬기 77대, 인력 3708명, 진화장비 530대를 동원해 산불 진화에 주력했다. 전날 70%선을 오르내리던 산불 진화율은 이날 오후 60%선으로 뒷걸음질했다. 소방청도 이날 오후 의성군 산불에 소방 대응태세를 3단계로 상향 조정하고 전국 특수구조대 9개를 경북 지역으로 출동 조치했다.

산불이 잡히기는커녕 확산하면서 금성·가음·사곡면 등 의성군 곳곳에 주민 대피 문자가 울렸다. 주택 26채, 창고 33동, 공장 1동 등 101개 건물이 피해를 보았고, 1552명의 의성군 주민이 대피한 상황이다. 의성군 서북지역 안사면사무소는 일부가 소실됐다. 천년 고찰인 대한불교 조계종 고운사도 불탔다.

의성군에서 시작한 불길은 인접한 안동시 길안면·풍천면으로 번졌고, 청송군 경계선까지 넘어선 상황이다. 산림당국은 하회마을이 산불 위험권에 들어가면서 주민들에게 인근에 있는 경북도청 신도시로 대피준비 명령을 내렸다.



안동, 차량 대피 줄이어…초속 27m 강풍 ‘괴물 산불’ 키웠다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 한 주유소 건물은 불이 번져 소실됐고, 안동시 길안면 백자리마을도 거센 산불에 휩싸였다. 안동시에서 대피소로 피신한 이영희(65)씨는 “집 뒤까지 불길이 왔다. 40년 넘게 안동에서 살고 있지만 이렇게 지독한 산불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대피령이 내려지자 안동시에서 차량이 대거 빠져나가는 상황 때 안동으로 진입하던 차량과 뒤엉키면서 일부 도로에선 일대 혼란이 빚어졌다. 국도를 장악한 연기가 수십㎞ 구간을 잠식하면서 운전 시야가 좁아진 차량간 추돌사고도 발생했다.

경북 지역에 발생한 초대형 산불이 25일 기상청 천리안 2A호 위성에 포착됐다. 붉은 영역이 산불이 탐지된 지역이다. [사진 기상청]
소방청은 하회마을을 산불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대용량포방사시스템을 배치했다. 대용량포방사시스템은 1분에 최대 7만5000L의 물을 방사할 수 있는 특수장비다.

청송군도 같은 날 저녁 6시쯤 전 군민 대피령을 내렸다. 청송군은 안전안내문자를 통해 “전 군민은 산불과 멀리 떨어져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길 바란다”고 알렸다. 청송군 산불은 주왕산국립공원 방향으로도 확산하고 있다. 산불이 청송군까지 번지자 법무부 교정본부는 경북북부교도소(옛 청송교도소)와 안동교도소에 있는 재소자 3500여 명을 인근 교도소로 대피시켰다.

산불 진화작업을 마무리하던 다른 지역도 강한 바람 때문에 오히려 불씨가 되살아나는 상황이다. 앞서 산불이 발생했던 울산시 울주군은 25일까지 진화율이 96%를 기록했지만, 20㎞ 떨어진 화장산 일원에서 다시 산불이 나 주민 대피령이 내려졌다. 오후 한때 90%에 도달한 경남 산청군 산불 진화율은 오후 6시 기준 87%로 떨어졌다. 불길이 지리산국립공원 방면으로 번지자 산청군은 오후 5시쯤 시천면 신촌·보안마을 관광객 및 주민 대피명령을 내렸다.

이처럼 전국 각지에서 산불이 좀처럼 잡히지 않는 건 25일 낮 최고기온이 28도까지 오르는 등 날씨가 덥고 건조한 데다 강한 바람이 불었기 때문이다. 안동 하회에서는 이날 최대 순간풍속 27.6m(시속 99㎞)의 태풍급 바람이 불었다. 강풍을 타고 불씨가 광범위하게 퍼지며 산불도 급속도로 번지는 상황이다.

산림청은 이날 오후 4시 전국 모든 지역에 대해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높였다. 심각 경보는 대형 산불이나 동시다발적 산불 등으로 광범위한 피해가 우려될 때 발령한다. 심각 단계가 내려진 지역엔 소속 공무원의 4분의 1 이상과 공익근무요원 절반 이상을 배치한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산림청은 지방자치단체·소방청·국방부 등과 협조해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장비·인력을 동원해 산불 조기 진화에 최선을 다하고, 지방자치단체는 주민들이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전 행정력을 동원하라”며 긴급 지시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45 4m 불쓰나미 덮치고 방호복 녹아도 뛰어든다, 산불특전사 그들 랭크뉴스 2025.03.28
45244 "한미동맹 조용한 위기…美,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압박할 듯" 랭크뉴스 2025.03.28
45243 [르포] '산소 카페'서 '잿빛 마을'로… 평생 일군 사과밭선 연기만 랭크뉴스 2025.03.28
45242 '비위' 파나마 前대통령, 정부 허가받고 옥살이 피해 망명 랭크뉴스 2025.03.28
45241 10명 중 8명 "너무 심각하다"…대한민국 불태운 갈등 뭐길래 랭크뉴스 2025.03.28
45240 美의회 "4년후 연방부채 GDP 107%…2차대전 직후의 최고치 돌파" 랭크뉴스 2025.03.28
45239 역대 최악 산불인데 '인공강우'로도 못 끈다…이유 보니 랭크뉴스 2025.03.28
45238 트럼프 "의회서 싸워달라"…'유엔대사 내정' 하원의원 지명 철회 랭크뉴스 2025.03.28
45237 “낙엽층서 계속 재발화” 주민·공무원들, 지리산 사수 ‘안간힘’ 랭크뉴스 2025.03.28
45236 뉴욕증시, 자동차 관세 여파에도 반등 출발 랭크뉴스 2025.03.28
45235 美국무 "베네수엘라, 가이아나 공격 시 나쁜 하루 맞을 것" 랭크뉴스 2025.03.28
45234 액상 전자담배, 니코틴 하나도 없다더니…소비자원 "무더기 검출" 랭크뉴스 2025.03.28
45233 "또 너냐"…트럼프, 정권 주요 사건 거푸 맡은 판사 '좌표 찍기' 랭크뉴스 2025.03.28
45232 美국무 "美대학가 反이스라엘 시위 관련 비자 취소 300명 넘어" 랭크뉴스 2025.03.28
45231 반차 내고, 휴강하고 거리로…총파업 참여한 시민 “헌재 신속히 선고” 랭크뉴스 2025.03.28
45230 주북 러대사 "北, 미∙러 접촉 재개에 긍정적…밀착 우려 안해" 랭크뉴스 2025.03.28
45229 역대 최악 산불인데 '인공강우'로도 못 끈다…안되는 이유 보니 랭크뉴스 2025.03.28
45228 금감원, 한화에어로 유증 ‘제동’...“신고서 정정해야” 랭크뉴스 2025.03.28
45227 최악 산불, 비 만들어서 못 끄나…'인공강우' 안되는 이유 보니 랭크뉴스 2025.03.28
45226 걸리면 치료제도 없는 이 병…하수관서 바이러스 검출에 ‘발칵’ 랭크뉴스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