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5일 경북 안동시 임동면의 한 도로 옆 야산으로 불이 번지고 있다. 연합뉴스


경북 의성에서 확산한 초대형 산불이 안동과 청송, 영양, 영덕 등지로 확산하면서 주민 대피령이 떨어졌다.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주왕산국립공원 등지로도 불씨가 확산하면서 산림당국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산불이 동해안 지역까지 위협하면서 경북경찰청은 북부권역 산불 확산에 따라 재난비상 ‘갑호’를 발령했고, 청송교도소 재소자들 역시 긴급 이감이 결정됐다.

25일 산림당국에 따르면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청송군 주왕산국립공원과 영양군 석보면, 영덕군 지품면에 불씨가 옮겨 붙었다. 지역별 발화시각은 청송 주왕산 국립공원 오후 6시 20분, 영양 석보면 오후 5시 40분, 영덕 지품면 오후 6시 40분 등이다.

산불이 청송지역으로 확대되면서 법무부는 경북북부교도소(청송교도소) 재소자들에 대한 긴급 이감을 결정했다. 교정 당국은 안동교도소 800여 명과 청송교도소 4개 기관 2,700여명 등 총 3,500여 명의 수용자를 대구지방교정청 산하 기관으로 이송하기로 했다.

불씨가 동해안 지역까지 위협하면서 영덕군은 이날 오후 6시부터 지품면과 달산면, 영해면, 창수면 주민을 대상으로 긴급 대피할 것을 안내하는 재난문자를 발송했다. 또 인근 마을 주민 1,000여 명이 대피했고, 영덕읍과 눌곡, 신안, 낙평, 수암, 복곡, 원전, 황장, 지품, 기사, 송천리 등 10개 지역에 전기 공급이 중단됐다.

의성 산불은 안동 길안면 현하리 산지로 옮겨 길안면 전체와 남선면, 임하면 일부 주민들이 대피한 데 이어 이날 오후에는 풍천면까지 번졌다. 소방당국은 청송 주왕산국립공원과 영양군 석보면, 영덕군 지품면 등으로까지 불이 번지면서 최고 수준인 대응 3단계로 높여 진화 작업에 나서고 있지만, 강풍 탓에 완전 진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소방 대응 단계는 재난 규모에 따라 총 3단계로 구분되는데, 1단계는 1개 소방서, 2단계는 2~4개 소방서, 3단계는 5개 이상의 소방서 인력과 자원 동원 시 발령된다. 현재 전국 특수구조대 9개가 경북으로 출동했고, 안동 하회마을 등에는 대용량 포방사시스템이 배치됐다. 대용량포방사시스템은 대형 화재나 재난 현장에 주로 활용되는 장비로, 1분에 최대 7만5000ℓ의 물을 130m까지 방출할 수 있다.

경찰도 긴급 대응에 나섰다. 경북경찰청은 이날 재난비상 ‘갑호'를 발령했다. 이에 따라 경북도내22개(울릉서 제외) 경찰서는 이날 오후 6시부터 화재 진압 완료 시까지 비상근무에 돌입했다.

한편 경북 청송군에서 불에 탄 시신이 발견됐다. 25일 경찰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7시쯤 청송군 청송읍 한 도로 외곽에서 여성 A(65)씨가 소사한 상태로 행인에 의해 발견됐다. A씨는 산불 대피 명령에 따라 자가용을 타고 대피하던 중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발견 당시 A씨는 차에서 빠져나온 상태였다. 경찰 관계자는 "A씨가 대피하던 중 산불에 휩싸여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다른 사망 원인이 있는지도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2일 경남 창녕군에서 공무원과 진화대원 등 4명이 산불 진화에 투입됐다 숨졌다. 경북 북부권역 산불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망자는 이번이 처음이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주민 대피 명령이 내려진 지역의 경우 각 지방자치단체가 주민들이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지원하라"고 지시했다. 산림청에는 "지자체와 소방청, 국방부 등과 협조해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장비와 인력을 동원함으로써 산불 조기 진화에 최선을 다하라"고 주문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93 ‘경북 산불’ 사망자 1명 늘어… 총 30명 숨져 랭크뉴스 2025.03.29
45892 '착한 침대'가 돈까지 벌어다줬다…2년 연속 매출왕 오른 비결 [비크닉] 랭크뉴스 2025.03.29
45891 "오늘 안에 주불 잡는다" 지리산 국립공원 진화 총력...경북·경남 산불 사망자 30명 랭크뉴스 2025.03.29
45890 안동·의성서 다시 발생한 산불 진화 완료…"재발화 아닌 잔불" 랭크뉴스 2025.03.29
45889 미얀마 7.7 강진에…美 지질조사국 “사망자 1만명 넘을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888 미얀마 강진 사망자 694명으로 늘어…부상자 1,670명 랭크뉴스 2025.03.29
45887 중대본 “산불 피해 면적 4만8천㏊…30명 사망” 랭크뉴스 2025.03.29
45886 ‘파기자판’ 뭐길래…국힘, ‘이재명 무죄’에도 왜 물고 늘어질까 랭크뉴스 2025.03.29
45885 '경남·북 산불' 사망자 1명 늘어 총 30명‥구호성금 554억 원 모여 랭크뉴스 2025.03.29
45884 미얀마 강진 사망자 694명으로 급증…부상자 1천670명 랭크뉴스 2025.03.29
45883 점복 대신 데이, 레몬 대신 귤…'폭삭', 한국적 소재로 어떻게 세계를 울렸나 랭크뉴스 2025.03.29
45882 '산불사태' 사망자 1명 늘어 총 30명…구호성금 554억원 모여 랭크뉴스 2025.03.29
45881 韓 대행 "이재민 온전한 일상 회복때까지.. 모든 지원 아끼지 않겠다" 랭크뉴스 2025.03.29
45880 경북 지역 밤사이 재발화 잇따라‥70명 사상 랭크뉴스 2025.03.29
45879 산불 ‘예비비’ 공방…여 “예산 부족 거짓말”, 야 “엉터리 숫자 놀음” 랭크뉴스 2025.03.29
45878 방심위, ‘의료계 블랙리스트’ 메디스태프에 시정 요구 “게시물 삭제해야” 랭크뉴스 2025.03.29
45877 ‘동맹 흔들리면 달러도 안전할 수 있나’…유럽, 통화시스템 다시 본다 랭크뉴스 2025.03.29
45876 韓대행 "산불 이재민 일상회복 때까지 모든 지원 아끼지 않을것"(종합) 랭크뉴스 2025.03.29
45875 [속보] 미얀마 강진 사망자 694명으로 껑충…부상자 1천670명 랭크뉴스 2025.03.29
45874 “지금 사도 안늦었나요?”...비트코인보다 더 잘나가는 ‘이것’ 랭크뉴스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