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요르단을 상대로 선제골을 터뜨리고 기뻐하는 이재성. 김종호 기자
한국 축구대표팀이 '손톱 전술(손흥민 원톱)'을 펼치고도 요르단과 전반을 리드하지 못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25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요르단과의 2026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8차전 홈경기에서 전반전을 1-1로 비겼다.

지난 20일 오만과의 7차전에서 1-1로 비기자, 홍 감독은 요르단을 상대로 주민규(대전), 오세훈(마치다 젤비아) 등 전문 스트라이커를 빼고 측면 공격수인 '캡틴' 손흥민(토트넘)을 최전방에 배치하고 미드필더 이재성(마인츠)을 뒤를 받치게 했다. 부상 당한 이강인(PSG)을 대신해선 황인범(페예노르트)이 나섰다.

홍 감독의 변칙 전술은 경기 초반까지만 해도 적중한 것처럼 보였다. 한국은 전반 2분 만에 손흥민이 올린 날카로운 코너킥을 골문으로 쇄도하던 이재성이 왼발로 밀어 넣어 골망을 흔들었다.

하지만 선제골의 기쁨도 잠시, 요르단 공격수 마흐무드 알마르디(알후세인)가 전반 29분 오른발 터닝슛에 성공하며 동점을 만들었다. 요르단은 까다로운 상대다. 한국은 지난해 10월 예선 3차전 원정에서 요르단에 2-0으로 이겼다. 하지만 같은 해 2월 아시안컵 준결승에선 0-2로 패해 탈락했다.

홍명보호는 후반 교체를 통해 추가 골에 도전한다. 요르단을 이기지 못하면 오는 6월 예선 9차전(원정 이라크전)과 10차전(홈 쿠웨이트전)이 부담스럽다. 현재 B조 선두인 한국(4승3무·승점 15)은 2위권 요르단·이라크(이상 승점 12)에 승점 3차로 쫓기고 있다. 한편 손흥민은 이날 133번째 A매치에 출전했다. 이운재와 함께 역대 한국 남자 선수 중 최다 A매치 출전 공동 3위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904 오늘도 광장은…윤석열 탄핵 선고 지연에 “파면” “각하” 양측 총집결 랭크뉴스 2025.03.29
45903 김동연 “文 소환 통보, 기가 찰 노릇…검찰은 누구에게 충성하나” 랭크뉴스 2025.03.29
45902 강진 덮친 미얀마… 美 “도울 것” 中 “구조팀 급파” 日 “마음 아파” 랭크뉴스 2025.03.29
45901 3200만 구독자 '中 쯔양' 충격 고백…"난 여성 아닌 여장 남자" 랭크뉴스 2025.03.29
45900 한덕수 “산불 이재민 일상 회복 때까지 총력 지원…뒷불 감시 집중해야” 랭크뉴스 2025.03.29
45899 미얀마강진 사망자 700명으로 급증…"1만명 이상 사망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898 尹탄핵심판 '4월 선고' 전망 속 전국서 주말 탄핵찬반 집회 랭크뉴스 2025.03.29
45897 미얀마 강진 사망자 700명으로 급증… "1만 명 이상 사망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896 아이유가 '매표 알바' 하던 그곳..."광주극장이 넷플에 떴어요" 랭크뉴스 2025.03.29
45895 9일째 접어든 산청 산불…험준한 산세에 지리산 주불 진화 지연(종합2보) 랭크뉴스 2025.03.29
45894 경북경찰청, '경북산불' 발화 추정 지점 현장조사 실시 랭크뉴스 2025.03.29
45893 ‘경북 산불’ 사망자 1명 늘어… 총 30명 숨져 랭크뉴스 2025.03.29
45892 '착한 침대'가 돈까지 벌어다줬다…2년 연속 매출왕 오른 비결 [비크닉] 랭크뉴스 2025.03.29
45891 "오늘 안에 주불 잡는다" 지리산 국립공원 진화 총력...경북·경남 산불 사망자 30명 랭크뉴스 2025.03.29
45890 안동·의성서 다시 발생한 산불 진화 완료…"재발화 아닌 잔불" 랭크뉴스 2025.03.29
45889 미얀마 7.7 강진에…美 지질조사국 “사망자 1만명 넘을 확률 71%” 랭크뉴스 2025.03.29
45888 미얀마 강진 사망자 694명으로 늘어…부상자 1,670명 랭크뉴스 2025.03.29
45887 중대본 “산불 피해 면적 4만8천㏊…30명 사망” 랭크뉴스 2025.03.29
45886 ‘파기자판’ 뭐길래…국힘, ‘이재명 무죄’에도 왜 물고 늘어질까 랭크뉴스 2025.03.29
45885 '경남·북 산불' 사망자 1명 늘어 총 30명‥구호성금 554억 원 모여 랭크뉴스 2025.03.29